▲ 일당귀 약재.

▲ 김경용
세종한의원(안양) 원장
당귀(當歸)라는 약재가 어떤 효능을 가지고 있고, 어떤 증상에 사용할 수 있는지, 어떤 약재들과 친구로 같이 사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야 한다.

첫째, 보혈(補血), 생혈(生血) 작용을 한다. 당귀는, 한약재 중에서 혈(血)을 보하는 가장 대표적인 약이다. 피를 보충해준다는 개념 뿐만 아니라, 필요한 곳에 원활하게 공급해 준다는 개념도 포함된다.

얼굴빛이 핏기가 없이 창백하거나 누렇게 뜨는 경우, 입술이나 손톱이 핏기가 없고 윤택하지 않은 경우, 머리쪽 눈쪽에 혈액이 부족하여 빈혈증상 현기증이 나는 경우, 출산시 다량의 출혈로 인한 혈(血)부족 증상의 산후조리, 심장에 혈액이 부족하여 가슴이 두근거리고 건망증·불면증이 생기는 경우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보혈(補血) 작용을 할 때는 숙지황, 작약 등과 친구가 되어 같이 쓰인다. 혈(血)을 보하는 처방인 사물탕(숙지황 작약 당귀 천궁)이 대표적인 예이다. 당귀는 혈(血)을 보하기 때문에, 기운(氣)을 보하는 황기와 친구가 되어 기(氣)와 혈(血)을 함께 보하는 작용을 하기도 한다. 당귀보혈탕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심혈허(心血虛)로 가슴이 두근거리고 건망증 불면증 등이 올 수 있다.

고기가 물이 없으면 팔짝팔짝 뛰듯이, 심장이나 뇌에 혈이 부족하거나 공급필요량이 많아지면 몸에서 느껴질 정도로 두근두근거릴 수 있다. 마르고 내성적이고 인내하는 성격에 더 많다. 이럴때는 당귀가 용안육이나 대추와 친구가 되어 보혈안신(補血安神)작용으로 마음을 편안하게 한다.

둘째, 활혈(活血), 거어(祛瘀), 조경(調經), 지통(止痛) 작용을 한다. 당귀는 성질이 따뜻하고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한다. 따라서 혈액순환장애 및 어혈로 인해서 생기는 증상들에 쓰인다. 사고나 타박상 등으로 인해 생기는 피멍이나 근골통증, 출산후 오로배출이 잘 안될 때, 생리불순이나 생리통 생리가 안나올 때 등 부인과 증상에 사용할 수 있다.

사고나 타박상 등으로 인해 생기는 피멍이나 근골통증에는 적작약·소목·홍화 같은 어혈을 없애는 약재와 친구가 되어 사용된다. 이때는 당귀미(當歸尾)가 사용된다. 당귀수산이라는 처방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출산 후에는 보름에서 20일 정도 하혈을 하게 된다. 태반이 떨어져 나온 자궁벽에 난 상처에서 출혈이 되는 것이다. 이때 나오는 출혈을 오로(惡露)라고 하는데, 이 오로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으면 몸속에 어혈이 되므로 당귀가 천궁과 친구가 되어 사용된다. 궁귀탕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당귀는 따뜻한 성질로 자궁쪽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하고 어혈도 없애며 생리를 조화롭게 하여 통증을 없애는 작용이 있으므로, 여성의 생리불순이나 생리통, 생리가 안나오는 경우 등에 쓰는 가장 대표적인 약재이다. 그래서 당귀를 부인과 질환의 대표약이라고 한다. 정서적 원인의 생리불순에는 향부자와 친구가 되고, 혈(血)의 원인에 의한 생리불순에는 천궁, 도인 등과 친구가 된다.

셋째, 보혈(補血), 윤조(潤燥), 활장(滑腸), 윤피부·모발의 작용을 한다. 당귀는 보혈하고 정유성분이 있고 성질이 윤택하므로, 혈액부족으로 건조한 증상을 개선한다. 장조(腸燥)·혈조(血燥)로 인한 변비, 건조하고 푸석한 피부, 노인성 피부질환, 가려움증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노인성변비나 장에 진액이 부족하고 혈이 말라서 생기는 장조변비(腸燥便秘), 혈조변비(血燥便秘)에는 도인과 친구가 되어 쓰인다.

당귀는 피부에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멜라닌색소 형성에 관여하는 효소(티로신효소)의 활성을 억제하여 피부의 노화를 막고 건강한 피부에 도움을 준다. 건조하고 푸석푸석하고 기미·주근깨가 있는 피부나 윤기가 없고 잘 끊어지는 모발에는 구기자나 하수오, 검은깨와 친구가 되어 사용된다.

건조하고 혈허(血虛)한 것과 관련된 피부질환에는 방풍·백질려 같은 약재와 친구가 되어 사용된다. 대표적인 사례가 당귀음자라는 처방이다.

<자료제공/한방건강TV>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