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성범 교도 / 신림교당

문 : '고1밖에 안된 녀석들이 벌써 담배피고 술 마시고 하면 커서 무엇이 될까요?'
답 : '고등학교 2학년이 됩니다.'

얼마 전 인터넷에서 유행하던 우스갯소리다. 그러나 작금의 원불교의 현실을 바라보면 교당을 잘 다니던 학생회원이 커서 청년회원이 되는 것만은 아닌 것 같다. 교당을 다니던 학생회원은 교당에 다녔었던 대학생이 된다. 청년교화가 불황이라면, 그 시작인 대학생 교화는 부재에 가깝다.

현재 대학에 진학하면 각 학교 교우회에 소속되는 것을 통해 원불교와 다시금 인연을 맺게 된다. 학교의 진학과 함께 살던 지역에서 벗어난 학생들을 동아리의 형태로 원불교에 참여하게 하는 것이다. 학교 교우회의 모태가 되는 '원불교 대학생 연합회', '서울 대학생 연합회' 등의 교우회 연합회는 교우회의 활동을 지원하고 대학생 교우들의 단합을 위한 행사를 기획한다. 대학생 교화를 위한 체계는 마련되어 있는 셈이다. 그렇지만 더욱 효율적인 교화를 위해서는 교당과 교우회의 교화 방향을 통일 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학생 교우회는 지역교당과 연계하여 교화 역량을 집중하는 것이 시급하다.

현재 대학생 교화의 모습을 바라보면, 교당에서의 청년 교화는 교우회 대학생 교화의 방해요소가 되고, 교우회의 대학생 교화는 교당 청년 교화의 걸림돌이 되는 모양새다. 하지만 대학생들도 결국에는 교당에 나가야만 완전한 교화가 이루어진다. 현재의 원불교인도 중요하지만 대학교 졸업과 동시에 사회인이 되어서도 교당에 다니는 청년이 돼야 하는 것이다.

또한, 교당의 입장에서 청년 교화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교화의 기반이 될 청년들이 필요하다. 기존 교당의 청년, 학생을 흡수하고, 교당이 위치한 지역의 신입교도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씨앗이 될 사람들이 있어야만 한다. 그렇게 교당 청년의 기반이 탄탄해 졌을 때, 원불교 대학생의 외연이 확장될 수 있다. 또한, 교당이 교우회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게 될 때 교당의 교화도, 교우회의 교화도 활발히 이루어 질 수 있다. 교우회 연합회가 중심이 된 대학생 교화는 한계에 직면했다. 각 교당의 청년교화 역량을 충분히 이용해야만 한다. 그리고 서로가 소통해야 한다.

교당을 배제한 교도가 있을 수 없다. 그것을 알기에 교우회에서도 교당과의 연계활동을 장려하고 있다. 하지만 제대로 이루어지는지를 돌아봐야 한다. 특히 특정한 행사의 진행이나 연합활동 등을 진행하는데 있어서, 일선 교당과 교우회 간의 공감대를 이끌어 내는 일이 쉽지 않다. 그렇다고 해서 소통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 행사들이 겹치거나, 심지어 정례 법회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물론 모든 것을 고려하는 것이 불가능 할지 모르지만, 교화 방향의 충돌을 해소하기 위해 어떤 노력이 있었는지 의문된다. 교화를 이끌어가는 주체는 다원화 하되 목표를 위해서 힘을 하나로 모아야 한다.

이웃종교도 마찬가지로 동아리를 통한 대학생 교화가 침체기를 맞고 있다. 그 가운데서 우리 교우회는 다양하고 새로운 시도를 통하여 대학생 교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새내기 새로배움터', '여름 농활', '대학선방' 등의 행사를 통해서 알 수 있듯, 다년간의 축적된 노하우로 교우회는 대학생들이 가장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이제, 더욱 발전하는 대학생 교화를 위하여 일선 교당과 교우회가 상부상조 하는 모습이 필요하다. 물론 교당과 교우회가 첨예한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아직은 교당보다, 교우회 보다, 그리고 어떤 단체보다 교단 전체의 미래를 보는 사람들이 많다. 원불교가 가진 장점이고, 우리의 무기다. 그리고 대학생 교화의 성공은 교단의 미래에 이바지 할 것이다. 교우회는 교당활동을 장려하고, 교당은 교우회 활동을 지지해야 한다. 기반과 방법이 있다면 이제는 실행을 바르게 할 때이다.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