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직업윤리 공평성 강조
개인 선택 중시

▲ 캐롤 크레이븐 박사
미주선학대학원 원불교학과 교수
In conversations with American Won Buddhist members, I often hear comments about their concern for the kyomunims. They observe that the temple kyomus have a great deal of work to do and that it sometimes affects their health because they cannot say no to any new or additional work that has to be done by them.

At the same time, many lay members who are eager to volunteer to help out in any way they can, eventually reach a point where they feel that the demands on their time and energy are endless and unfair. Unfortunately, sometimes their response is to stop coming to the temple because they have no answer for the explanation that the more work you do, the more merit you gain.

American culture has a deep history of public discussions about fairness in the workplace. It has come to be a major American principle that the people doing the work for a company or organization should not feel that they are being exploited.

It is also an important value to balance work and leisure time, time for getting things done and time for caring for oneself, resting and participating in some form of recreation. The studies of psychologists and othe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have shown undeniably that this is an important element in a healthy and happy life. Sometimes, though, we have the impression that, although they would certainly never complain, the kyomus do not have the chance to achieve such a balance in their lives.

In my work with the students in the Won Buddhist Studies program, who will soon be temple kyomus themselves, I often feel concern for their welfare. They sometimes react to the stress of doing graduate work in English, while also fulfilling all of their other responsibilities, by being overly tired or showing signs of physical stress. Also, the kyomus who are members of the Won Institute staff and faculty show signs of overwork that can sometimes affect their health. Sometimes their American friends become quite concerned about them.

It is understood that the work ethic of the kyomus in the Won Buddhist Order is to do everything in their power to advance the cause of Master Sotaesan's vision, and that they gain great merit by working very hard.

Also, the lay members are very grateful to them for their work and try to support them as much as possible. However, it sometimes seems that the work ethic goes too far - that there is a feeling that, no matter how much you are doing, you can always do more, always work harder. There are many fond stories about kyomus and grandmothers who, for love of the lay members or love of their grandchildren, continued working extremely hard for years, despite their poor health. These stories inspire great love and respect, and instill a desire for younger people to learn to do the same.

The scriptures reinforce that culture with certain stories, especially Section 8 of On the Order, about the women working in the kitchen which may give some people the impression that the only way one can forge an outstanding character is to work at drudgery until their "faces are gaunt." This is easily misunderstood by Americans, who believe that our love for one another and for our religious leaders requires a healthy balance of work and leisure. Again, in Chapter 25, Exemplary Acts, the scriptures tell of the hardships endured by Master Sotaesan's wife, and the lay members who wanted to ease her burden but were told by him not to help her. The Master explains his reasoning, and yet it seems harsh. To western society, it seems that a woman should have the opportunity to be asked and make that decision herself.

Of course, these values concerning work are time-honored and closely-held principles of Won Buddhist clergy, and are a source of great honor and respect that the kyomus receive from all members. I would just like to offer a modern, western perspective and to suggest that individual choice, made with a realistic understanding of one's own mental and physical capacities, should be encouraged. Also, for some future edition of the Scriptures, it might be really helpful to us if there could be some footnotes with explanations of the culture and context of those stories and how modern Won Buddhists interpret them.


미국인 원불교 교도들과의 대화에서 나는 교무님들에 대한 그들의 관심사를 자주 듣는다. 미국인 교도들은 교무님들이 대단한 역할을 하고 그로 인해 자신들의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주기도 한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교무들이 새로운 일들이나 부과적인 일들을 해야 하는 경우에 못한다는 말을 할 수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동시에 어떤 방식으로든지 가능한 한 교무의 일을 돕고자 하는 다수의 재가들은 자신들의 시간과 에너지에 대한 요구가 끊임없고 부당하다고 느끼는 지점에 이르기도 한다.

그로 인해 불행하게도 미국인 재가교도들은 더 이상 교당에 오지 않게 되는 데, 그 이유는 교무들이 더 많은 노력을 하면 그에 상응하는 덕을 얻는다고 하는 어떤 대답도 들을 수 없기 때문이다.

미국사회의 문화는 직장에서의 공평성에 대해 공개적으로 논의를 깊이 해온 역사가 있다. 회사나 조직을 위해 일하는 사람들은 자신들이 착취당하고 있다고 느껴서는 안된다는 것이 중요한 미국적 원칙으로 되어 왔다. 이것은 또한 일과 여가 시간은 균형을 이루어야 함이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이다. 어떤 일을 완수할 수 있는 시간과 자신을 돌보는 시간 즉 휴식을 하거나 여가를 즐길 수 있는 곳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심리학자나 정신건강분야의 전문가들의 연구에 의하면 그러한 일과 여가 생활의 균형이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해서 중요하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그렇지만 때로는 교무님들이 결코 불평하지 않는다 할지라도 교무들이 그들 자신들의 삶에 그러한 균형을 유지할 기회조차 허락되지 않는 것이 우리에게는 아주 인상적이다.

졸업 후에 바로 교당 교무가 될 예비교무 들과 함께 하면서 나는 그들의 복지에 대해 마음이 쓰인다. 그들은 영어로 석사과정을 공부하면서 동시에 다른 책임들을 완수해야 하는 스트레스로 피곤해 하거나 육체적 스트레스의 신호로 반응을 나타내기도 한다.

또한 미주선학대학원 직원과 교수인 교무들도 자신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지나친 일에 대한 신호를 나타낸다. 그로 인해 미국인 친구들이 그런 현실에 대해 걱정을 하게 된다.

원불교 교단에서 교무들의 직업윤리는 소태산대종사의 비전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모든 노력을 다해야 하며 그렇게 열심히 일을 함으로써 큰 소득을 얻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재가교도들은 교무들의 일에 대해서 감사해 하고 가능한 교무들을 지원하려고 노력한다.

그러나 교무들의 직업윤리는 너무 지나친 것으로 느껴지기도 한다. 즉 교무들이 아무리 일을 많이 하더라도 교무들은 언제나 더 많이 해야 하고 항상 더 열심히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재가들의 사랑을 위하여 혹은 손자녀들의 사랑을 위하여 수많은 세월 동안 건강하지 못한 몸으로 아주 열심히 쉬지 않고 일한 교무님들이나 할머니들에 관한 흥미있는 이야기들이 많이 있다. 이런 이야기들이 위대한 사랑과 존경심을 불러 일으키고 그리고 젊은 사람들이 똑같이 배우기를 바라는 소망이 스며있다.

원불교 경전의 독특한 이야기를 통하여 그들의 문화를 강화시킨다. 특히 〈대종경〉 교단품 8장에 보면 부엌에서 일하는 여성에 관한 이야기가 있는데, 즉 개인이 확고한 특성을 구축하는 유일한 길은 바로 '얼굴이 창백하게' 될 때까지 고되게 일을 하는 것이라는 인상을 사람들에게 심어 줄 수 있다. 이 점은 다른 사람이나 자신들의 종교지도자에 대해 우리의 사랑은 일과 여가의 건강한 균형이 필요하다고 믿는 미국인들에게는 대단히 잘못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대종경 실시품 25장에서는 고된 노동을 감내하는 소태산대종사의 부인에 대한 이야기와 한 재가교도가 대종사님 부인의 과중한 일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의견을 말하자 소태산대종사는 그렇게 하지 말라는 내용이 있다.

대종사는 그 이유를 설명하였지만 그래도 가혹해 보인다. 서구사회에서는 남편이 아니라 여성 자신이 원하는 기회를 가져야 하고 스스로 결정을 해야 한다.

물론, 일에 대한 가치는 원불교 출가들의 전통적이고 교단 내부의 원칙이며, 그리고 교무들이 모든 재가교도들로부터 받는 영광과 존경의 원천이기도 하다. 나는 단지 각 개인의 정신적 육체적 한계에 대한 실제적 이해에 근거하여 개인의 선택이 중시되어야 하는 현대 서구적 관점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미래지향적 방향에서 교서, 특히 〈 대종경〉 편집을 위하여, 그런 특수한 이야기들의 문화와 전후 사정을 설명하는 각주들을 달아 준다면 도움이 될 것이고, 그리고 현대 원불교가 그런 내용을 어떻게 재해석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도움이 될 것이다.

번역 / 하상의 교무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