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무 천진성· 순수성 간직
진정한 신앙길 보여 주길

▲ 캐롤 크레이븐 박사
미주선학대학원 원불교학과 교수
Many people have observed in recent years that there is a powerful and growing trend toward a secular spirituality that combines many of the teachings and insights of both Buddhism and Christianity. In addition, the groups and leaders who promote this kind of spirituality see many commonalities between their worldview and the findings of modern science, which makes it more satisfying and credible to many people. Some people even believe that this is the proper direction and future of spirituality, since many religions have had a history of misusing their power and misleading the people. I myself have thought at times that a secular spirituality made sense and would simplify my life.

Lately, however, I have begun to realize two things about this secular spirituality: 1)it is not new at all, and 2) a lot of people are making a lot of money teaching it. It is not new because there have been many movements in Western culture to use science and morality together to create new ways of guiding social groups without religion. It is also not new in being an important source of income.

Over two thousand years ago, in ancient Greece, Socrates taught that humility and Great Doubt were the foundations of wisdom. He questioned people to make them realize that their beliefs were not reasonable, and he tried to show them how they could know the truth through direct apprehension of their soul's own innate knowledge. This knowledge was a source of beauty, purity, and perfect morality, and once one had apprehended it, one would find stable happiness and virtue. Socrates was a poor man, a teacher of those who would challenge him and of those who were proud of their opinions. His most famous student was, of course, Plato.

Plato saw how Socrates was accused and executed for teachings that were misunderstood. He also found that as a teacher, he must compete with itinerant teachers who charged fees for their lectures. In order to maintain his teaching, he needed to found a school, and his school needed to teach ideas that the wealthy men of Athens wanted their sons to learn. The result, I believe, was that Plato's rendering of what Socrates taught became intellectualized and led to contradictions that philosophers today are still trying to solve. Socrates's enlightened truths came down to Western society as a quest for certain knowledge that we could arrive at by our own methods.

Today, the same subtle influence is sure to be exerted on the ancient wisdom, by the business of making money teaching it. It is more essential than ever that religious sects preserve it in its pure form, with the goodness and compassion to carry it to the people without charging them fees. Kyomunims who depend on donors for their support are the descendants and disciples of the enlightened ones. The Korean people, whose traditional innocence and sincerity are the foundation of their ancient culture, are the keepers of virtues that the world is fast losing. And Won Buddhist kyomunims are the greatest exemplars of that innocence and purity. Their presence in society will help people to understand why the sophisticated social and commercial network that has produced secular spirituality will not be enough to help them find happiness.

May Master Sot'aesan's dream reach the world and show the way of true religious faith.

불교와 기독교의 다양한 가르침과 통찰력을 결합한 세속적 영성을 지향하는 경향이 점점 확산되고 있다는 사실을 많은 사람들은 근래 몇 년 동안 주시해 왔다. 또한 이런 세속적 영성을 촉진시키는 단체들이나 지도자들은 자신들의 세계관과 더 많은 사람들의 신뢰를 이끄는 현대 과학의 발견 사이에 많은 공통점이 있음을 본다.

어떤 사람들은 이러한 세속적 영성이 보다 미래지향적이고 적합한 방향의 영성이라고 믿기조차 한다. 왜냐하면 많은 종교들이 종교의 힘을 잘못 사용하고 사람들을 잘못 인도해 왔기 때문이다. 나 자신도 한 때는 세속적 영성이 설득력 있고 내 삶을 단순하게 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최근 나는 이 세속적 영성에 대하여 두 가지 깨달은 바가 있다. 즉 그것이 결코 새로운 내용이 아니라는 사실과 많은 사람들이 그것을 가르치면서 돈을 벌고 있다는 것이다. 종교에 의존하지 않고도 사회를 유지하는 새로운 길을 만들기 위하여 과학과 도덕을 함께 이용하는 서구 문화의 많은 운동들이 있었기 때문에 세속적 영성이 새로운 것이 아니며, 또한 중요한 수입원이라는 것도 전혀 새로운 일이 아니다.

2000여년 전 고대 희랍의 소크라테스는 겸손과 큰 의심이 지혜의 토대라고 가르쳤다. 그는 사람들에게 질문을 하여 자신들의 믿음이 합리적이지 않은지 스스로 알아차리도록 했다.

그리고 그는 사람들에게 각자 영혼에 내재적인 지식의 직접적인 이해를 통해서 진리를 어떻게 알 수 있는지를 보여주려고 하였다. 이런 지식은 아름다움과 순수성과 완전한 도덕의 근원이었고, 개인은 지식을 통해서 확고한 행복과 미덕을 찾게 되는 것이다. 소크라테스는 가난한 사람이었고 그에게 도전해 오고 자기들의 견해에 자부심을 느끼는 사람들을 오히려 가르치는 선생이었다. 그의 가장 유명한 제자는 물론 플라톤이었다.

플라톤은 소크라테스가 그의 가르침을 오해한 대중들로 인해서 고발 당하고 처형되어진 내용을 보여준다. 플라톤은 선생으로서 또한 여기 저기 돌아다니면서 지식을 파는 선생들과 경쟁해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 가르치는 일을 유지하기 위해서 그는 학교를 만들어야 했고 그리고 그의 학교는 아테네의 부자들이 자신들의 자녀들이 배우기를 원하는 사상들을 가르칠 필요가 있었다. 그 결과는 플라톤이 소크라테스가 무엇을 가르쳤는가를 옮긴 것이 지식화 되었고 철학자들이 오늘날까지도 풀려고 하는 모순에 이르게 된 것이라고 나는 믿는다. 소크라테스가 깨달은 진리는 우리가 우리자신의 방법으로 도달할 수 있는 확실한 진리를 얻기 위한 탐구로써 서구사회에 전해 내려왔던 것이다.

오늘날도 똑같은 미묘한 영향이 고대 지혜와 그 지혜를 돈벌이를 위해 가르치는 행위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종교들이 돈을 요구하지 않고 사람들에게 지혜를 전해 주려고 하는 선행과 자비심으로 순수한 지식의 전승형식이 유지되는 것이 훨씬 더 본질적이다. 자신들을 지원하는 헌금에 의존하는 교무님들은 깨달음을 얻은 성인의 후계자이며 제자들이다. 오래된 문화의 토대인 전통적 순수함과 신심을 가지고 있는 한국 사람들은 세상이 빠르게 잃어버린 미덕들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그리고 원불교 교무님들은 천진성과 순수성을 유지하는 실제 사례들이다.

사회에 교무님들의 존재 자체는 세속적 영성을 생산하는 복잡 미묘한 사회적 상업적 네크워크가 왜 세상사람들에게 행복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없는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소태산대종사님의 꿈이 온 세상에 전파되고 진정한 종교적 신앙의 길을 보여 주기를 기원한다.

번역 / 하상의 교무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