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수행과 생활 통합 추구

▲ 글렌 윌리스 박사/미주선학대학원 선응용학과 교수
Trend 3. 'Meditation-based and experiential.' Another reason for Americans' interest in Buddhism is that it promises a practice that delivers the experiential goods in and of itself. Unlike traditional American religions, Buddhism has the reputation of being free from rituals. Americans are a do-it-yourself people. They have always valued self-determination, and have often aspired, at least, to non-hierarchical equality. Americans also value pragmatism, empiricism and scientific verification. Meditation is seen as a practice that honors these values, and is thus sufficient in itself.

In this month's column, I will continue my presentation on the ten 'emerging trends' as articulated by the American Dzogchen teacher Lama Surya Das (Jeffrey Miller). As before, I will add my own commentary, which, I hope, will be valuable to Won Buddhists with an interest in Buddhism in America. I should emphasize that the commentary is based on my own observations of the Buddhist scene in North America.

Trend 4. 'Gender equal.' The old gender distinctions between males and females, still taken for granted in many parts of the world, are becoming increasingly unacceptable in North American Buddhist communities. In less traditional sanghas, it may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distinctions based on gender are no longer tolerated at all. In both kinds of sanghas, women have been assuming leadership positions for several decades now. The influence they have been able to exert from these positions shows up in matters from male-female power dynamics, to roles in ritual officiating, to clothing and hair styles.

Trend 5. 'Nonsectarian, eclectic, ecumenical, inclusive.' According to the PEW Foundation, increasingly more Americans are identifying themselves as 'non-religious.' The trend in Buddhism here is apparently away from traditional forms. With what are these more doctrinally insistent forms being replaced? The last ten years in particular has seen a burgeoning of 'secular' and 'post-traditional' Buddhist communities. These communities tend to place high value on the remaining four trends.

Trend 6. 'Extremely essentialized, simplified, demystified.' High pageantry forms of Buddhist practice, such as those employing ritual, devotion, and church-like services, are being eschewed for forms that emphasize meditation and 'mindfulness' practices. The 'dharma' is being recasts in many ways that may sound more like pop-psychology than traditional religion. Perhaps psychology is to Buddhism in the West what Daoism was to Buddhism in the East; namely, a major factor in shaping and influencing the form Buddhism takes in the new culture.

Trend 7. 'Egalitarian, democratic, nonhierarchical.' It should probably come as no surprise that the same French Enlightenment values that shaped American democracy would carry over into Buddhist organization. The proliferation of the internet has strengthened this general impulse toward equality together with diminishment of respect for authority. Maybe we can call it the 'Wikipedia effect,' where literally anyone with basic skills can function as an expert. In any case, the trend toward democratic organization in Buddhist sanghas is very strong now.

Trend 8. 'Psychologically astute and rational.' Americans are showing declining interest in religious doctrine. What they seem to be seeking, rather, are practices that help them relax and de-stress. In fact, one of the leading brands of Buddhism here goes by the name of '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or 'MBSR.' Really MBSR is not Buddhism at all, although it borrows a good deal from Buddhism. It is more akin to practices like Herbert Benson's relaxation response from the 1960s. But contrary to traditional Buddhism, MBSR and similar 'mindfulness' practices are gaining in popularity by the day.

The final two trends, 'Experimental, innovative, inquiry-based, exploratory, skeptical,' and 'Integrated' pull it all together. The emerging American forms of Buddhism are less interested in preservation and more concerned with responding to the present situation. This relationship between past and present creates a creative tension that, in the best instances, is being resolve through experimentation. And the goal of all of this? Integrating the skills and insights engendered by Buddhist thought and practice with our everyday lives.


동향 3. '선수행 중심과 체험 중심이다.' 아메리칸들이 불교에 관심을 갖는 또 하나의 이유는 불교에서 그리고 불교의 체험적 선(善)의 가치를 유도하는 수행을 약속하는 것이다.

전통적인 아메리칸 종교들과는 달리 불교는 종교적 의례로부터 자유롭다는 평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아메리칸들은 스스로 하는 (do-it-yourself , 강요에 의해서가 아니라는 의미)사람들이다. 그들은 언제나 자기 결정을 존중하며, 적어도 권위적이거나 위계적이지 않은 평등을 원한다.

아메리칸들은 또한 실용주의와 경험주의 그리고 과학적 검증에 가치를 둔다. 선수행은 이러한 가치들을 존중하고 충족시키는 수행으로 보여지는 것이다.

이번 달 칼럼에서 필자는 아메리카인 족첸 수행법을 가르치는 라마 수리야 다스(본명; 제퍼리 밀러)가 선명하게 밝힌 아메리카 불교의 '새로운 틀'에 관하여 계속하여 쓸 것이다. 전처럼 필자는 아메리카인들의 불교관심으로 원불교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면서 논평을 덧 붙일 것이다. 필자의 논평이 북아메리카에서 불교 모습에 대한 필자의 관점에 근거한다는 것을 밝힌다.

동향 4, '양성 평등'이다. 아직도 세계 도처에서 당연시 되고 있는 낡은 남녀의 성차별은 북아메리카 불교 공동체에서는 더 이상 받아들이지 않는다. 새로운 불교 공동체에서 성별에 의한 차별은 더 이상 용납되지 않는다는 것은 과장이 아니다. 신구(新舊)의 두 공동체에서 여성이 지도적 위치를 맡은 역사가 수십 년이 됐다. 여성이 지도적 위치에서 힘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는 의례를 주관하는 역할이나 의복과 헤어 스타일에서 남녀간 힘의 역학을 나타낸다.

동향 5. '탈종파적, 절충주의적, 통합적, 포용적'이다. PEW 리서치에 따르면 아메리카 사람들이 스스로를 '비종교적'이라고 말하는 수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여기서 불교의 경우는 명백히 전통적인 형태들과는 거리를 두고 있다. 교의적으로 완고한 형태의 종교들을 대신할 것은 어떤 내용일까? 특히 지난 10년은 '세속적'이고 '포스트-전통적' 불교 공동체들의 부흥이었다. 이런 신흥 불교공동체들은 높은 가치를 나머지 네 가지 방향들에 두고 있다.

동향 6. '지극히 핵심내용을 중심으로 간소화되고 비신화적'인 경향이다. 의례, 헌신, 그리고 교회 방식의 법회 형식처럼 하는 불교 수행의 지나치게 과장된 형식들은 피하고 선과 '마음챙김' 수행을 강조하는 형태들을 강조해 왔다. '불법(佛法)'은 전통적인 종교 형태보다 팝-심리학(대중적 심리학)과 같이 들리는 여러 방식들로 변화되고 있다. 동양에서 도교가 불교에 근접한 것처럼 아마도 서양에서는 심리학이 불교에 근접하는 것이다. 즉, 불교가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이는 형태를 만들고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을 말하는 것이다.

동향 7. '평등적, 민주적, 비 위계적'이다. 아메리카의 민주주의를 형성한 프랑스 계몽주의 가치가 불교조직 속에도 이어지고 있다는 것은 새삼스럽게 놀랄 일은 아니다. 인터넷의 확산은 종교적 권위에 대한 존경심의 약화와 함께 평등을 향한 보편적 욕구를 강화시켜 왔다. 아마도 이것을 '위키페디아 효과'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즉 문자 그대로 기본적인 방법들만 안다면 누구나 전문가처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하튼 불교 공동체들 내부에서 민주주의적 조직을 지향하는 경향은 매우 강하다.

동향 8. '심리학적으로 말하자면 예리하고 그리고 합리적'이다. 아메리카인들에게 종교적 교의에 대한 관심은 약화되고 있다. 그보다 아메리카인들의 관심사는 편안하게 하고 긴장을 벗어나게 해주는 데 도움이 되는 수행이다.

사실상, 아메리카에서 선도적인 불교 브랜드 중의 하나는 'MBSR' 또는 '마음챙김에 바탕한 스트레스 감소'라는 이름으로 진행되고 있다. 실제로 MBSR은 불교로부터 많은 것을 빌려 쓰고 있지만 불교라고는 전혀 할 수 없었다. 그것은 1960년대부터 허버트 벤슨의 기분전환 처방과 같이 수행하는 것과 보다 가깝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전통적 불교와는 대조적으로 MBSR 그리고 유사한 '마음챙김' 수행들은 날이 갈수록 인기를 더해 가고 있다.

마지막 두 동향은 '경험적·혁신적,질문에 기반한,탐험적,회의적'이라는 것과 모든 것을 아우른 '통합지향적'인 것이다. 부각되고 있는 아메리카 불교의 형태들은 과거를 보존하는 것에는 관심이 없고 현재 상황에 응답하는 것에 더 관심이 있다. 과거와 현재 사이의 관계는 체험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창조적 긴장을 생산한다는 것이 가장 정확한 예일 것이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의 궁극적 목적은 무엇일까? 불교사상과 수행으로 발생된 노련한 방법들과 통찰력을 우리의 일상생활과 통합하는 것이다.

번역 / 하상의 교무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