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단의 방향 모색해야

▲ 글렌 윌리스 박사/미주선학대학원 선응용학과 교수
In my previous pieces, I tried to provide a broad overview of the contemporary American Buddhist scene. I imagine that such an overview would be interesting to Won Buddhists who are giving thought to establishing their tradition here. The view that I have presented shows, I think, that Buddhism in the United States is tending toward forms that are consistent with American social trends more generally. For instance, as we have seen, American Buddhist communities tend to strive for gender equality over the more traditional male predominance; to value horizontal community over vertical hierarchy; to stress personal need over received doctrine; to elevate the laity over the ordained; and to emphasize meditation over devotion.

Such tendencies raise many questions. How, for instance, do these values pair with the form and spirit of Won Buddhism? How does this combination impact the prospects of Won Buddhism within the American environment? Is Won Buddhism, as it is, attractive to Americans? What challenges does it face? Perhaps you have formulated your own questions.

I don't see myself as having any special insight into such matters. But I can offer a few remarks. First of all, several aspiring ministers have taken my classes at the Won Institute. Without a single exception, these students have been among the most thoughtful, intelligent, and good-hearted young men and women that I have ever known. Their impressiveness is, I believe, a direct reflection of Won Buddhism itself. The two-individual and institution-are inseparable. Here, though, I want to limit my remarks to the institutional aspect of Won Buddhism in relation to the American environment.

Recall that a recent Pew Research Center polling revealed data that shows that a rapidly growing number of Americans-one-fifth of the U.S. public and a third of adults under 30-are opting out of religious affiliation. When asked, "are you looking for a religion that would be right for you," a whopping 88% of this latter group answered 'no.' This data can be viewed positively by Won Buddhism in America in that it seems to open the door for potential growth. After all, who's to say that a decent percentage of this 88% could not be persuaded to convert? But it can also be viewed negatively. It suggests that a tradition like Won Buddhism, with its emphasis on tradition and received doctrine, its displays of devotion and ritual-no matter how beautiful-its lay-minister distinction, and so on, may have much to overcome in winning over such potential converts.

We can contrast Won Buddhism with the various forms of secularized, post-traditional Buddhism that I outlined in previous articles. I think that one reason these types of Buddhism are gaining in popularity is that they create a new, perhaps quintessentially American, choice between traditional, largely Asian, forms of Buddhist communities, such as Won Buddhism, and no community at all. Increasingly more Americans are turning away from their family religions; but they are doing so, it seems, in order to escape, as it is often put, the 'trappings' of religion-belief, doctrine, devotion, authority, and so forth. In the landscape of Buddhism that I have presented, isn't Won Buddhism situated closer to these traditional, spiritual varieties of Buddhism? One result is that it is in direct competition with the forms of Buddhism that are intentionally eschewing the 'religious-spiritual' features of practice, and replacing that with appeals to reason, empiricism, and skepticism.

Looking at the products of Won Buddhist training, such as the students I mentioned above, it is clear that Won Buddhism has much to offer American society and culture. Given the specific American environment, the question thus becomes: what will it take to convince Americans of that fact?

이전에 쓴 글들에서 필자는 현대 미국불교 상황에 대해 일반적인 개관을 제공하려고 했다.

필자는 그러한 개관이 미국에 원불교의 전통을 세우고자 하는 원불교인들에게 관심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필자가 소개한 관점은 미국에서 불교가 보다 보편적으로 미국의 사회경향들과 일치하는 형태를 지향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우리가 보았듯이 아메리칸 불교 공동체들은 과거 전통적인 남성 우월주의를 벗고 남녀평등을 지향하며, 상하의 위계적 질서가 아닌 수평적인 관계의 공동체를 중시하고, 성직자 중심보다 재가 수행자 중심으로 하며, 그리고 종교적 헌신보다는 선(禪)을 강조하는 분위기이다.

이러한 미국불교의 경향에서 보면 많은 문제들이 제기된다. 예를 들면, 어떻게 이런 가치들이 원불교의 정신이나 모습들과 어울릴까? 이러한 조합이 아메리카의 환경에서 원불교의 전망에 어떤 영향을 줄까? 원불교가 현재 상태로써 아메리칸들에게 매력적일까? 현재 모습의 원불교는 어떤 도전에 직면하고 있을까? 아마 여러분은 여러분 자신의 과제들을 형성해 왔을 것이다.

필자는 그러한 과제들에 관해서 어떤 특별한 통찰력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필자는 몇 가지 견해를 제시할 수 있다. 우선, 큰 포부를 가진 몇몇 교무들이 미주선학대학원에서 필자의 수업을 들었다. 예외 없이 그 교무인 학생들은 가장 사려 깊고 지적이고 그리고 내가 만났던 좋은 뜻을 품은 젊은 남녀들에 속한 사람들이었다. 그들에게 받은 감명은 원불교의 직접적인 반영이라고 나는 믿는다. 구성원과 조직이라는 두 요소는 서로 분리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기서 아메리카의 환경에 관련하여 원불교의 교단적 모습에 대해서는 나의 견해와는 선을 긋고자 한다.

최근 퓨 연구소 (*워싱톤 DC에 기반을 둔 싱크 탱크) 여론 조사에서 자신이 소속한 종교에서 탈퇴하는 미국인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는 보고를 내 놓았다.

즉 전체 미국인의 5분의 1 그리고 30세 이하 미국인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수가 소속된 종교를 이탈한다는 것이다. "당신에게 적합한 종교를 찾고 있습니까"라는 질문을 받았을 때 그들 그룹의 88%라는 엄청난 수의 사람들이 '아니'라고 대답했다. 이 데이터는 잠재적 성장의 문이 열려있다고 미국의 원불교에게 긍정적으로 보여질 수 있다.

어쨌든 이 88% 중의 상당한 퍼센트가 개종하도록 설득되지 않을 거라고 누가 말할 수 있을까? 그러나 이 역시 부정적으로 보일 수 있다. 이러한 현실은 전통과 주어진 교의, 현재 행해지는 헌신과 의례 (그것이 아무리 아름답다고 할지라도), 재가와 출가 교역자의 차별 등등을 가진 원불교와 같은 전통이 앞에서 언급한 잠재적 개종자들을 얼마나 얻을 수 있을지를 짐작하게 한다.

필자가 앞의 글들에서 설명한 세속화와 포스트 전통을 지향하는 불교의 다양한 형태들과 원불교를 우리는 대조해 볼 수 있다.

이런 타입들의 불교가 인기를 얻는 한가지 이유는 그들이 새로운, 즉 원불교와 같은 전통적 주로 아시안적 형태의 불교 공동체들과 전혀 공동체적이지 않은 것들 사이의 선택인 아마도 본질적으로 아메리칸적인 것을 창조하려는 것이라고 필자는 생각한다. 점차적으로 더 많은 아메리칸들이 자신들의 가족 종교들로부터 떠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이 그렇게 하는 것은 여전한 종교의 '장신구들' 즉 믿음, 교의, 헌신, 권위 등등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인 것 같다. 필자가 언급한 불교 현상에서 보자면 원불교는 이러한 불교의 전통적이고 영성적인 다양성들에 가까운 실정이 아닐까? 한 결과를 보면, 원불교는 의도적으로 '종교적-영성적' 모습들의 수행을 멀리하거나 그것들을 합리성, 경험주의, 그리고 회의주의에 어필하는 것으로 대신하려는 불교의 모습들과 직접적으로 경쟁하는 것이다.

필자가 언급한 교무 신분의 학생들처럼 원불교 훈련의 결과들을 보더라도 원불교가 아메리칸식의 사회와 문화에 제공할 많은 것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구체적인 아메리칸의 환경에서 이런 질문이 제기된다. 무엇으로 그런 아메리칸들을 설득시킬 수 있을까?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