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렌 윌리스 박사/ 미주선학대학원 선응용학과 교수
From its inception, the United States has valued secularism. The very first amendment to the Constitution, in fact, expresses the founders' intention that there be a sharp separation between religion and state: "Congress shall make no law respecting an establishment of religion, or prohibiting the free exercise thereof." Their reasoning was consistent with other European Enlightenment thinkers, who argued that religious views, being epistemologically unverifiable, could have no authoritative bearing on our shared civic life. As Thomas Jefferson put it "our civil rights have no dependence on our religious opinions, any more than our opinions in physics or geometry."

This was a radical innovation. For, throughout the history of western civilization, civic life had been founded on religious principles. For instance, denying women the same basic rights and opportunities as men was justified on the basis of the biblical account of Adam and Eve. The new secularist approach was not to challenge the positions claiming universal authority, but to ask instead what relevance some position has to our time (saeculum), to this time and place.

"Secularism is a code of duty pertaining to this life, founded on considerations purely human, and intended mainly for those who find theology indefinite or inadequate, unreliable or unbelievable. Its essential principles are three: The improvement of this life by material means., That science is the available Providence of man, That it is good to do good. Whether there be other good or not, the good of the present life is good, and it is good to seek that good (George Holyoake, in English Secularism 1896)."

So, it should not be surprising that one of the most powerful trends in western Buddhism today involves its secularization. Enter Buddhist teacher Stephen Batchelor. Batchelor is an influential figure in the movement called 'Secular Buddhism' in the West. In the past several years, Secular Buddhist websites, blogs, Facebook pages, and real-life 'meetup groups,' have proliferated. These communities are based mainly in the U.S, Great Britain, and Australia; but recently groups have formed in Germany, Poland, France, and Russia. Secular Buddhism is offering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forms of Buddhism. And westerns are biting.

The general thrust of Secular Buddhism stems from Batchelor's concern to apply (what he considers) rigorous standards of rationality and skepticism to Buddhist doctrines. In numerous books, such as Confession of a Buddhist Atheist, Alone with Others, The Faith to Doubt, and Buddhism Without Beliefs, Batchelor strives to separate out what he sees as ancient dogma (rebirth, soul, heavens and hells) and superstition (karma, prayer, supernatural powers) from teachings that pertain strictly to living "in this world in a way that allows every aspect of one's existence to flourish: seeing, thinking, speaking, acting, working, etc." (Confession of a Buddhist Atheist). It is a variety of Buddhism that values scientific empiricism and philosophical existentialism as much as it does the teachings of Buddhism, per se. So, if some Buddhist doctrine the belief in rebirth, for example cannot be validated with empirical evidence, then it must be abandoned as mere dogma or superstition. Some Buddhist doctrines might even be justifiable, yet still inapt for our time and place. For example, while moral imperatives such as 'always honor your parents' may, at first glance, appear reasonable, the complexities of modern familial relationships render them, on closer inspection, innocuous. So, they, too, must be abandoned in our time.

It remains to be seen what comes of the still-burgeoning Secular Buddhist communities in the West. But it is already clear that teachers from even the most traditional groups are being influenced by their ideas. In books, magazine articles, and blogs teachers out of the Zen, Tibetan, and even Theravadan traditions are increasingly adopting Secular Buddhist language and addressing secularist themes. Whether that is a good thing or not is, I suppose, in the eye of the beholder.

초기부터 미국은 세속주의에 가치를 두어 왔다. 최초의 헌법개정은 사실상 종교와 국가 사이에 엄격한 분리를 한다는 국가를 주도하는 사람들의 의도를 나타낸다

즉, "의회는 종교설립을 존중하는 어떤 법도 만들어서는 안되며, 또한 종교를 금지하는 임의적인 행동도 허락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유럽의 계몽주의 사상가들과 일치하는 것이었다. 유럽의 계몽주의 사상가들은 종교적 관점이 인식론적으로 증명할 수 없는 것들이며 따라서 공유된 시민생활에 신뢰할만한 관련성이 없다는 것이다. 토마스 제퍼슨이 써 넣은 대로 "우리 시민의 권리는 물리학이나 기하학에 바탕한 우리의 식견을 벗어나 있는 우리들이 믿는 종교들의 견해에 의존하지 않는다"

이것이 급진적인 혁명이다. 왜냐하면, 서구의 계몽주의 역사를 통하여 시민의 권리는 종교적 원리들을 바탕으로 세워졌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아담과 이브의 성경이야기에 기초하여 남성들의 권리와 기회는 정당화되었지만 여성들의 권리와 기회는 부정되었다. 새로운 세속주의적 접근은 보편적 권위를 요구하는 위치에 도전하지 않고, 대신에 우리시대 즉 시대와 장소에 적합한 위상이 무엇인가를 묻는다.

세속주의는 이 생활에 관련된 의무의 규범으로 순수하게 인간을 고려한 사안에 세워지고 그리고 주로 불명확하거나 부적절하거나 신뢰할 수 없거나 믿을 수 없는 이데올로기를 차는 사람들을 위하여 의도된 것이다. 세속주의의 주요 원리는 세 가지이다. 물질적 수단들에 의해 생활을 개선하는 것, 과학은 인간이 사용 가능한 섭리라는 것, 실현 가능한 것이 좋은 것이다. 보다 좋은 것이 있거나 말거나 현재 삶에 좋은 것이 좋은 것이며, 그리고 그 선을 추구하는 것이 좋은 것이다. (죠지 홀리요크, 〈영국 세속주의〉 1896)

그래서, 오늘날 서구 불교의 가장 강력한 경향들의 하나가 그 세속화를 포함한다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 불교 교사인 스테편 배첼러를 보자. 배첼러는 서구에서 '세속 불교'라고 불려지는 흐름에서 영향력 있는 인물이다. 과거 수년 동안 세속불교 웹사이트들이나 블로그들, 페이스 북 페이지들, 그리고 실제 삶인 'meetup group'들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공동체들은 주로 미국과 영국과 그리고 호주에 근거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이 단체들은 독일, 폴랜드, 프랑스, 그리고 러시아에서도 형성되었다. 세속 불교는 전통적 형식의 불교에 대안을 제공한다. 그리고 서구인들이 걸려들고 있다. 세속불교에 대한 보편적인 신뢰는 불교 교리에 대해 합리성과 회의주의의 엄격한 기준을 제공하려는 배첼러의 관심 즉 그가 생각하는 바에 기인한다. 〈불교 무신론자의 고백〉, 〈무리들 속의 혼자〉, 〈믿음에 대한 의심〉, 그리고 〈믿음 없는 불교〉와 같은 여러 책들 속에서 배첼러는 고대의 도그마(환생, 영혼, 천국과 지옥)나 미신(업, 기도, 초능력들)에서 "개인의 존재의 모든 국면들이 발휘할 수 있는 방식 즉 보고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하고 일하는 등의 방식으로 이 세상에서 살아가는 데 속하는 가르침"(〈불교무신론자의 고백〉)을 엄격하게 구별해 내는 노력을 하고 있다.

본질적으로 불교의 가르침을 존중하는 만큼 과학적 경험주의와 철학적 실존주의를 중시하는 불교의 다양성이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환생에 대한 믿음과 같은 교의는 경험적 증거로 입증할 수 없기 때문에 단순한 도그마나 미신으로써 폐기되어야 마땅하다고 보는 것이다. 또 어떤 불교 교의들은 정당화 되어질 수 있지만 그러나 아직 우리 시대와 장소에 적절치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부모에게 항상 정직하라'는 언뜻 보기에는 합리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현대 가족 관계의 복잡성 때문에 밀착해서 보면 적절치 않은 가르침에 속할 수 있다. 그래서 의미없는 가르침들은 우리 시대에는 폐기되어야 한다.

서구에서 아직도 급성장하고 있는 세속 불교 공동체가 어떻게 될지는 두고 보아야 할 일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전통적 단체들의 불교 교사들이 자신들의 이념에 의해 인도되고 있다는 것은 이미 분명한 사실이다. 책이나 저널에 실린 글들에서 그리고 블로그에서 선불교나 티벳불교 그리고 테라바다 전통들의 불교 교사들이 세속불교 언어를 점점 더 차용하고 있으며 세속주의의 주제들을 교설하고 있다. 필자가 보기에는 그것이 좋은 일일지 아닐지는 보는 사람의 눈에 달려있다.

번역 / 하상의 교무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