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 Won Buddhism a Charismatic Tradition?

▲ 글렌 윌리스 박사 /
미주선학대학원 선응용학과 교수
We can further contemplate the question that I posed in my last piece, 'Whither Won Buddhism?' using a concept developed by the great German sociologist and student of world religions, Max Weber (1864-1920). The concept is 'charisma' I will offer some definitions of Weber's concept, and ask the reader to give thought to whether Won Buddhism fits the description of a 'charismatic' religion. In my next and final piece, I will offer some of my own conclusions concerning Won Buddhism in America that may be drawn from this exercise.

The general sense of the English term 'charisma' is a quality of magnetism or strong presence possessed by some entity. It concerns, as Weber elaborates.

"A certain quality of an individual personality, by virtue of which he is set apart from ordinary people and treated as endowed with supernatural, superhuman, or at least specifically exceptional powers or qualities. These are such as are not accessible to the ordinary person, but are regarded as of divine origin or as exemplary, and on the basis of them the individual concerned is treated as a leader."

Every Buddhist tradition that I know of traces its origins to such a charismatic founder, beginning, of course, with the Buddha himself. Typically, this founder is believed to possess knowledge, wisdom, or insight that sets him (very rarely 'her') apart from ordinary people. In Buddhist terms, the charismatic figure is 'enlightened', 'awakened', or 'realized', It is this individual's charismatic quality that empowers him, furthermore, to take up the mantle of teacher or master and to thereby 'inspire loyalty and obedience from followers' As this suggests, the charismatic teacher almost inevitably founds a community which.

"rests on devotion to the exceptional sanctity, heroism or exemplary character of an individual person, and of the normative patterns or order revealed or ordained by him."

Given the authority of the charismatic master, he is able to exert a powerful influence on the values, beliefs, practices, and aspirations of his followers. Because the master's teachings are always preserved in the form of scripture, moreover, this influence continues after the master's 'passing' or, in Buddhist terms, 'nirvana' and extends down the generations. Something of utmost importance occurs, however, after a time. Weber refers to this crucial and inevitable occurrence as 'the routinization of charisma'

"[C]harismatic authority is succeeded by a bureaucracy controlled by a rationally established authority or by a combination of traditional and bureaucratic authority."

That is, once the master has died, or passed, the organization he leaves behind must persist devoid of his magnetizing, authoritative presence. Something then happens, says Weber. What constitutes the raison d'etre of the tradition the ostensible charismatic insight of the master is dependent on interpretations by various factions within the community. These interpretations, furthermore, are adjudicated by an ever-increasing central bureaucracy. The end result is that the 'lifeblood' the open life-giving quality that nourished the community in the beginning, diminishes over time, and is replaced by tradition by prescribed routines of practices, belief, and aspiration. In other words, what was once a flowing, spontaneous source of life-enhancing insight becomes frozen and fixed as doctrine.

The question for us becomes If Won Buddhism is indeed a charismatic tradition, how can its core values, derived, as they would then be, from an 'enlightened' master, harmonize with the powerful currents of individuality and skepticism that I have outlined in previous essays? I will explore this question in my final contribution.

우리는 필자의 다음 글 즉 '원불교가 어디로 갈 것인가?'에서 독일 사회학자이면서 세계종교를 공부한 막스 웨버(1864-1920)가 발전시킨 개념을 가지고 필자가 제기한 질문에 대해 더 깊이 생각하게 될 것이다. 그 개념은 '카리스마'이다. 필자는 웨버의 개념에 대한 정의를 설명하고 독자들에게 원불교가 '카리스마적'인 종교의 설명에 부합하는지 여부에 대한 생각을 물을 것이다. 그리고 다음 글에서 이전 글들에서 제기해 왔던 미국의 원불교에 관한 필자 나름의 몇 가지 결론을 제시할 것이다.

'카리스마'라는 영어의 일반적 의미는 끌리는 매력 혹은 어떤 것에 깃들어 있는 강력한 모습을 나타낸다.

"특정한 자질을 나타내는 개인의 특성은 일반인과는 달리 초자연적, 초인간적, 혹은 적어도 특별히 예외적 힘이나 자질을 부여 받은 것으로 취급된다. 이러한 특별한 능력이나 자질은 일반인들은 접근할 수 없는 것들이지만, 그러나 성스러움의 원천으로 간주되거나 본보기로 간주되며, 그로 인해서 관련된 개인은 지도자로 간주된다."

내가 알고 있는 불교 전통들은 불타를 위시하여 초기에 카리스마적 창시자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특히, 이 창시자가 특별한 지식이나 지혜 혹은 보통사람들과 다른 사람으로 인정할 통찰력을 가지고 있다고 믿게 된다. 불교적 용어로 카리스마적 모습은 '깨달음을 얻은', 미혹에서 깨어난 혹은 불성을 회복한 것이다. 개인의 카리스마적인 자질은 더 나아가 개인이 지도자 혹은 스승이라는 권위를 갖도록 하며 추종자들로부터 충성과 복종을 유발하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시하듯이 카리스마적 지도자는 거의 예외 없이 공동체를 세운다.

"공동체는 특별한 신성함, 영웅주의 혹은 특정인의 예외적 특성에 헌신하는 것으로 유지하며, 그리고 정형화된 유형이나 조직은 그 사람에 의해서 계시되고 임명된다."

카리스마적 스승의 권위를 부여 받은 사람은 가치체계와 믿음과 수행과 추종자의 발심에 강력한 영향을 행사할 수 있다. 스승의 가르침은 언제나 경전의 모습으로 유지된다. 더욱이, 이러한 영향은 스승의 '사후' (혹은 불교적 용어로 열반)에도 지속되며 세대를 이어 전승된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얼마 후에 일어난다. 웨버는 이 중요하고 불가피한 사건을 '카리스마의 일상화'라고 한다.

카리스마적 권위는 합리적으로 성립된 권위나 전통적이고 관료적인 권위의 조합에 의해서 통제되는 관료주의에 의해 계승된다.

즉, 스승이 죽고 나면 그가 남긴 조직은 스승의 매력 즉 신뢰할 만한 존재가 없이 유지되어야 한다. 그 때 어떤 일이 발생한다고 웨버는 말한다. 전통의 존재 이유 스승의 형식적인 카리스마적 통찰력을 구성하는 것은 공동체 내에서 다양한 방면의 해석들에 의해서 유지된다. 이러한 해석들은 더 나아가 지속적으로 증대되는 중앙 관료주의에 의해서 판결을 받게 된다. 최종적인 결론은 '활력소' 즉 초기에 공동체를 부양하는 생명력이 시간이 지나면서 고갈되고 전통, 수행, 믿음, 그리고 발심의 규정화된 반복으로 뒤바뀐다. 다시 말하자면, 생명력 있는 통찰력의 자연스러운 원천은 얼어 붙어 버리고 독트린(원칙 또는 교의)으로 정지되어 버린다.

우리를 위한 질문은 만약 원불교가 실제로 카리스마적 전통이라면, 깨달음을 얻은 스승으로부터 나온 중심 가치는 필자가 이전의 글에서 윤곽을 그린 대로 개성과 회의주의의 강력한 흐름과 어떻게 조화를 해 나갈 수 있는가? 필자는 이후의 글에서 이 질문을 탐구할 것이다.

번역 / 하상의 교무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