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종사 봉래 정사에서 제자들에게 글 한 수를 써 주시되 "변산구곡로(邊山九曲路)에 석립청수성(石立聽水聲)이라 무무역무무(無無亦無無)요 비비역비비(非非亦非非)라"하시고 "이 뜻을 알면 곧 도를 깨닫는 사람이라"하시니라.

이 뜻을 알면 도를 깨닫는단 말씀에 더욱 연마의 분발심을 내었던 성리법문이다. 좌선을 할 때 이 의두를 걸고 입정을 했는데 출정과 동시에 '공적영지'라는 한 생각을 얻었다. 정산종사께서 "입정할 때 화두를 들고 하면 출정할 때 열리는 수가 있다"고 하셨는데 그 말씀을 확인할 수 있었던 기회가 됐다.

11장의 앞부분 변산구곡로 석립청수성 부분은 의리선으로, 무무역무무는 여래선으로, 비비역비비는 조사선으로 나눠 볼 수 있겠다.

의리선은 뜻과 이치를 문자로 표현하는 선으로 화두나 의두를 시작하는 단계에서 분석적으로, 직관적으로 궁구해보는 것이다. '서있는 돌이 물소리를 듣는다'는 것은 논리적으로 말이 안되는 소리지만 돌이 갖고 있는 특징, 무정물인 점을 감안한다면 감정과 분별이 없다는 뜻이요, 우리 마음에 있어 감정과 분별이 없는 본래자리를 뜻한다는 것을 쉽게 알 수가 있다.

두 번째 '무무역무무'는 없고 없다 하는 것도 또한 없고 없다는 뜻으로 있고 없는 상대를 떠난 절대자리를 이르며 여래선도리로 진공의 소식을 뜻한다. 아무리 학식이 많고 구변이 좋아도 상대가 끊어진 진리자리이기에 이 자리는 신분의성으로 일심으로 들어가지 않으면 체험할 수가 없다.

성품의 본래면목이요, 참 나인 자리로 원만평등한 이 자리를 알아야 영원한 것에 대한 기준점이 생기고 생사초월하는 안목이 생긴다. 이 자리는 오직 그일 그 일에 일심으로 하는 것만이 진공체성에 계합하는 지름길임을 확증해 보았다. 그 절대처를 다른 말로 불생불멸이라 하며 언어도단의 입정처라고 하며 원만구족한 진경이라고 한다.

'비비역비비'는 아니고 아니라 하는 것도 또한 아니고 아니라는 말씀이다. 이는 옳고 그르다는 시비를 떠난 절대심이며 한발 나아가 시비를 포용하는 단계로 조사선인 동시에 허령불매한 영지가 솟은 광명덩어리, 묘유의 진리이다. 이름하여 유무초월의 생사문이며 인과보응하는 주체요, 모든 것을 포용하기에 자비심을 여의지 않으며 지공무사하게 작용한다. 그러므로 나만을 안다거나 상대를 포용하지 못하면 원만한 지혜가 발현되지 않아서 사사로운데 떨어지며 지공무사하지 못하고 편벽되게 나타난다. 가정과 사회의 모든 문제들이 얽힌 실타래처럼 잘 풀리지 않는 것은 성리에 바탕하여 시비를 포용하지 못하고 한편에 떨어지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대종사께서 육조혜능 같은 근기일지라도 견성하고 양성, 솔성하는데 13년이 걸렸다고 하셨다. 오직 삼학으로 수행하고 11과목으로 오늘도 내일도 자기훈련하고 교도훈련 하는 것, 사은사요로 세상을 개벽하는 것이 우리의 본분사이다.

<기흥교당>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