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7일, 교육개혁위원회가 결국 기존 체제(2개 학부, 1개 대학원)를 유지하기로 했다. 대신 제도적, 교육과정 운영 면에서 내부 개혁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비겁하고 무책임한 결정이라고 밖에 볼 수 없다. 그 이유는 교육개혁위원회의 출범 배경에서 찾을 수 있다.

5월 수위단회 연찬에서 교육부의 교육개혁위원회 구성 배경을 보면, 전무출신 지원자 감소와 청소년 교화 침체로 인한 교단 내적인 요인, 청소년 인구의 감소로 대학의 학생 모집의 어려움을 첫 번째 출범 이유로 꼽고 있다. 더불어 예비전무출신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논의와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교육체제를 구상하기 위해서였다.

특히 주목해야 할 점은 학부 대학의 신입생 감소다. 올해 원광대 원불교학과 신입생이 16명, 영산선학대 신입생이 4명이었다. 원광대 원불교학과나 영산선학대가 최근 몇 년 동안 입학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사태가 지속되고 있음에도 그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듯 하다.

교육개혁위원회의 활동이 5월과 9월 수위단회 연찬에 보고됐을 때 구조조정의 어려움은 어느 정도 예견됐지만 누구도 피해를 입지 않는 개혁을 할 줄은 몰랐다.

9월 수위단회 연찬 때 교육개혁위원회의 세 가지 안을 보고 받은 수위단원들은 교육기관 통폐합 장단점의 객관성 부재를 지적했고, 객관적인 컨설팅이 필요하다고 언성을 높였다. 심지어는 '기존체제를 유지하는 것은 교육개혁위원회의 출범 이유를 부정하는 것이다'라고 질타할 정도였다.

그러나 세 가지 안이 교육개혁위원회로 내려가자 출범 이유를 망각한 선택을 했다. 물론 내부 개혁을 통해 성과를 어느 정도 낼지는 모르겠으나 내년 혹은 내후년에 또다시 교육기관의 통폐합 문제는 과제로 대두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학령인구의 감소가 심각하기 때문이다.

이런 결정을 내리게 된 데에는 교육부의 책임도 크다. 구조조정의 로드맵이 보이지 않았고 3개 교육기관의 조율 능력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오히려 끌려가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범 교단적인 교육개혁위원회가 과감한 결단을 내리지 못하면 과연 어디에서 결정을 바랄 수 있을까.

또한 3개 교육기관들의 책임도 피할 수 없다. 기득권을 내려놓지 않으려는 자세는 어떤 협상이나 타협도 불가능하게 했다. '내가 있는 동안에는 통폐합은 없다', '스승님의 경륜 사업이다' 등 기관 이기주의가 결단을 가로 막았다고 보여 진다.

한편으로 교육철학의 차이를 내세우고 있지만 교단적인 어려움에 누구도 책임지지 않으려는 자세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5년 전 교육개혁의 실패가 다시 엄습해 오는 오늘이다.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