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 용어

교당은 대각전을 마련해 신앙·수행을 지도하며, 교화·훈련·신앙의례 등을 진행하고, 지역사회에 맑음과 깨달음과 은혜를 공급하는 중심이 되는 곳을 말한다.

원불교 최초의 교당은 '구간도실'로 원기3년(1918) 12월에 소태산대종사와 구인선진이 직접 옥녀봉 아래에 지었다. 이후 원기8년 서중안이 구간도실 이축을 발의해 그해 10월 범현동 기슭에 새 터를 정해 목조 초가 10간 1동과 8간 2동의 영산원을 건설했다.

원기25년(1940) 4월 창립 제1대 제2회 결산 총회기 당년도 말 사업보고에서 제1회기(원기13년3월) 이전에 설립된 영산·익산(총부·1924)·서울(1926)·신흥(1927)과, 원기14년(1929) 마령, 원기15년 좌포·원평, 16년 하단, 19년 남부민, 20년(1935) 전주·대판(일본), 21년 관촌·초량, 22년 대마·신하·용신·개성, 23년 남원·이리, 24년 운봉·화해 25년(1940) 대덕·호곡 등 도합23개소 교당이 차례로 설립한 것으로 보고됐다.

소태산대종사는 조선불교혁신론(〈대종경〉서품18)을 통해 출가생활 본위로 된 교리와 제도의 과거 불교를 일반 사회 생활하는 사람에 맞도록 혁신해야 한다는 '시대화·생활화·대중화'를 주장했다. 대종사는 "종교라 하는 것은 인간을 상대로 된 것인데, 인간이 없는 산간에 교당을 두었으니 세간 생활에 분망한 사람들이 어느 여가에 세간을 벗어나서 그 가르침을 받을 것인가"라며 "수도하는 처소도 신자를 따라 어느 곳이든지 설치해야 한다"고 새시대에 맞는 교당의 역할을 정의했다.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