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세전(世典)〉, 제2부 〈법어(法語)〉으로 구성된 〈정산종사법어〉는 소태산대종사의 수제자인 정산종사의 법문과 제자들이 수필한 법문들을 편집 수록했다.

1962년(원기47) 원광사에서 간행한 〈법설집〉의 법설 67편 중에서 1백여건, 박제권ㆍ이은석ㆍ안이정 등 12인으로부터 제출된 법설노트 15책 중에서 약 5백건, 그 밖의 자료 중에서 1백여건을 각각 촬요, 도합 7백여건을 채택했다.

그 후 1969년(원기54)에는 모든 자료의 촬요작업을 마치고 자문에 들어갔다.

1970년(원기55) 7월 26일부터 3개월 간 정식자문과, 7개월간의 보충자문을 통해 수집된 각 의견안을 종합 편수한 다음 박광전ㆍ박장식ㆍ이공주ㆍ이운권 등 감수위원의 감수를 거쳐 1971년(원기56) 11월 15일에 첫 인쇄를 하게 됐다. 1972년(원기57) 1월 드디어 정산종사가 일생동안 설한 법문들과 수필로 된 법설들을 집약한 〈정산종사법어〉가 정화사에서 출판됐다.

대산종사는 "법어는 보조법경으로 이 법어가 힘을 타고 커야 만대에 대종사님의 교전과 법을 크게 보필할 것이니 대중은 깊이 각성하여 정중히 모셔야 한다. 유가(儒家)도 한 스승의 경으로만 완벽하게 된 것이 아니었고, 공자님 이후 증자·자사·맹자 등의 보조경전으로 보필되었으므로 사서삼경이 유가의 주경(主經)이 되어 완벽을 이룬 것 같이, 법어도 백년 이백년 뒤에는 역시 보조법어로 교단 수만대에 크나큰 보필을 할 것이다"라 했다. (〈대산종사법어 3집〉 신성38장)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