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문제연구소 학술대회
신종교지형과 연구방법론

▲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가 국제학술대회를 열어 한국사회 신종교지형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한국사회는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를 지내오면서 많은 신종교를 탄생시켰다. 핍박과 혼란에 휩싸여 있던 근·현대사 속에서 당시 신종교가 이끌어가고자 했던 민족정신은 과연 무엇일까.

신종교들의 활동배경과 오늘날의 시대적 역할에 대한 고찰을 해보는 학술대회가 11일, 원광대학교 숭산기념관 2층 세미나실에서 열렸다.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와 한국종교학회가 주최한 이번 학술대회는 '신종교지형과 연구방법론'이란 동일 주제로 10일에는 서강대학교에서 열려 학술교류를 진행하기도 했다.

이날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박광수 소장은 '한국종교의 지형과 토대연구'를 주제로 첫 발표자로 나섰다. 그는 19세기 말에서 21세기에 이르는 약 150여년의 기간에 국내의 자생적인 민중신앙과 종교운동, 전통적인 유교·불교·도교 등의 새로운 움직임, 기독교 등 서구의 기성종교에서 파생된 새로운 종파운동 등이 역동적으로 전개되어 한국사회 전반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고 밝혔다.

이 시기에 민족종교를 중심으로 새로운 종교운동이 전국적으로 전개되었지만, 한편으로는 식민통치의 종교정책과 탄압으로 인해 그 기반이 빨리 와해되기도 했다고 말했다. 그 당시 일본의 분위기는 1889년에 제정된 '대일본제국헌법'에 '대일본제국은 만세일계의 천황이 통치하며, 천황은 신성하게 보호된다'고 명시된 점을 미루어 천왕 중심의 군국주위가 탄생하게 된 배경을 밝혀냈다.

이로 인해 일본인은 종교를 천왕제 국가를 뒷받침하기 위한 개념적 장치로 고안했고, 동양전통의 종교는 모두 국가의 하위에 종속시켜 부국강병이라는 특정한 목적을 위해 도구적으로 사용했다고 밝혔다. 때문에 국민교화에 방해가 되는 종교들은 '유사종교'로 분류되어 단속과 통제의 대상이 됐다는 것이다.

그는 "폐불훼석(廢佛毁釋, 1872~1874) 사건을 계기로 불교계 정토진종의 저항과 신도국교화 반대에 부딪히자, 메이지정부는 부득이하게 종교정책의 노선을 변경하게 된다"며 "문제는 이후 이토 히로부미가 한일협약이 체결된 이듬해 1906년 3월에 초대 한국통감으로 부임하여 '모든 종교 활동에 대해 통감의 인가를 받도록 한다'며 이를 통제하는 법률적 발판을 마련하게 된 데 있다"고 말했다. 이토 히로부미는 '조선의 유사종교'라는 부록을 만들어 각 종교단체의 사진자료와 종교분포의 전체적인 상황을 파악해 통제했고, 1930년에는 유사종교 해산령을 내려 민족종교를 모조리 해산시켰다. 1916년에 개교한 불법연구회도 피할 수 없었다.

그는 이에 대해 '사'에 대한 '공의 폭력'이라고 말했다. 이로 인해 종교지형의 급격한 변화가 일어났다고 본 것이다.

그는 이번 발표를 통해 "일본의 종교정책의 성격을 단지 식민지 지배라는 국가적 차원에 제한시키기보다는 '근대의 국가주의에 의한 (한일 양국의) 민중의 억압'이라는 보다 포괄적인 시야에서 접근해야 한다"며 "한 국가의 역사의 관점을 넘어서 동아시아 역사라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조망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일제강점기 종교탄압과 와해정책은 해방 후 한국의 분단시기(1945년~현재)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끼쳐오고 있음을 과제로 남겨뒀다.

한편 이날 학술대회에는 박광수 교수 외 Karla Poewe의 'Global Entanglements: Reflections on researching religion in a post 9/11 world', 카미벳부 마사노부 교수(서울여대)의 '사찰령(1911년)의 제정 과정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 김재영 교수(서강대)의 '신종교 인식과 정신건강 담론', 차옥숭 교수(이화여대)의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을 중심으로', 안신 교수(배재대)의 '외국인이 본 근대한국 민중종교의 양상', 유광석 교수(서울대)의 '종교관련 해외데이터베이스에서 한국의 종교소수자 현황과 문제점', 성주현 교수(청암대)의 '1920년대 유림계의 내지사찰'에 대한 연구발표가 있었다.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