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위단회가 중대한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 14일 열리게 될 임시수위단회의 안건 및 보고내용의 무게가 심상치 않기 때문이다. 먼저 교헌개정특별위원회는 중간보고를 통해 그간 논의된 내용과 개정안을 수위단회에 보고할 예정이다.

교헌특위는 원기98년 11월11일 경산종법사의 위촉장을 받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총강분과, 교화혁신분과, 조직제도분과로 나눠 특별위원 23명과 전문위원 30명이 교헌개정 작업에 매달렸다. 분과회의 42회, 특별위원회의 9회, 연석회의 2회, 공개토론회 4회, 상임위원회 14회 등의 회의 횟수가 그간의 과정을 설명해 준다.

마침내 5월 교헌특위는 종법사 중심의 공화제를 선택해 교정원의 책임행정을 강화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수위단회에서 교정원장과 감찰원장을 복수추천하고, 중앙교의회(재가 출가 1:1, 300명 구성)에서 선거를 통해 양 원장을 선출하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되면 종법사는 수위단회 선거로, 교정원장과 감찰원장은 중앙교의회에서 선거로 뽑게 된다. 교단의 주법인 종법사와 행정책임자인 교정원장을 선거로 뽑게 되면서 권력의 분산 혹은 분쟁의 여건이 조성됐다.

교정원 서울이전에 관한 사항도 녹록치 않다. 지난달 25일 원불교정책연구소와 교정원 기획실이 주관한 '원불교100년 서울시대, 어떻게 열 것인가' 혁신세미나에서 확인된 것처럼 교정원 서울이전에 대한 찬성과 반대가 극명하게 갈렸다. 5월 임시수위단회에서도 거론됐듯이 단원들은 교정원 서울이전 문제가 최고의결기관에서 논의조차 되지 않고 공론화되는 것에 절차상 문제를 제기했다. 이런 지적에 대해 교정원은 수위단회 의결 결과에 따라 추진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원불교100년기념관 건립을 주도하고 있는 원100성업회의 입장에서는 시간이 촉박하다. 적어도 목표한 완성을 위해서는 7월말까지 기념관 기본 설계안에 교정원을 넣을 것인지 말 것인지를 확정해줘야 한다.

이처럼 이번 임시수위단회가 무게감 있는 현안을 다루다보니 자연 대중들의 관심은 회의 결과에 집중되고 있다. 수위단원들 역시 중대한 선택을 해야 하는 입장에서 고민이 많을 것이다. 교헌개정안은 실질적인 교단 조직체계를 바꾸는 것이고, 교정원 서울이전은 탈 익산을 선언하는 것이다. 관계 실무자들은 둘 다 민감하고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어느 때보다 호시우보(虎視牛步)의 행보를 보이고 있다. 두 안건이 어느 쪽으로 결정되느냐에 따라 거센 후폭풍이 예상된다.

교헌특위의 경우는 범교단적 조직으로 출범해 역량을 쏟아 부었다. 원기100년을 맞아 교단 개혁의 목소리(재가 출가교도)가 거셌지만 교헌특위 출범 이후 새로운 교헌작업을 지켜보며 개혁의 여론은 잠잠해졌다. 만사형통 교헌특위가 되면서 모든 개혁의 목소리가 묻히고 만 것이다. 이제 지혜로운 선택을 통해 원불교100년을 열어가야 한다. 수위단원들의 현명한 선택과 결정을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