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대화 진전 없어…지역·민간 돌파구 찾아
"작은 종교적 실천으로 소수종단 한계 극복해야"

남한과 북한이 광복70주년을 맞았지만 교류협력에 있어서는 냉랭하다. 2010년 천안함 사건으로 촉발된 남한의 5.24 조치는 남북한 교류를 단절시켰다. 광복 행사도 남한과 북한이 따로따로 진행해 분단체제를 고착화하는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본사는 연초부터 '통일을 준비하라'는 기획을 통해 통일한국을 염원해 왔다. 기획은 '원기100년의 의두, 남북평화 통일'을 필두로, '북한의 변화와 국제 조류 분석', '통일관련 단체 및 교단의 준비', '통일 전문가 좌담회'를 개최했고, 연중 기획으로 통일톡톡 코너를 신설해 남북한의 지속적인 교류협력을 지지했다.

남북 평화통일에 대한 기획은 본사뿐만 아니라 〈중앙일보〉, 〈조선일보〉 등 거의 모든 매체들이 앞다퉈 기획기사를 내보낼 정도였다. 〈중앙일보〉는 2001년, 2008년, 2010년 '통일기금 예산 1% 적립하자'는 연중 기획을 했고, 올해는 매주 통일리포트 지면을 신설했다. 또한 통일문화연구소 개소에 이어 (사)1090 평화와 통일운동을 출범, 범국민적인 생활 통일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곳에는 교단에서 성시종 전 원광디지털대학교 총장과 김성곤 국회의원이 참여해 통일의 밑불을 지피고 있다.

〈조선일보〉도 '통일이 미래다'를 기획했고, (재)통일과 나눔을 설립해 보수와 진보를 망라한 민간통일 운동을 펼칠 계획이다. 남북한 평화통일을 아젠다로 삼고 태어난 〈한겨레신문〉은 이미 남북 어린이 어깨동무 캠페인을 비롯해 한겨레통일문화상, 한겨레통일문화재단 등을 출범해 북한과의 교류협력에 힘쓰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질적 남북분단 62주년의 하늘은 어둡기만 하다. 한국종교인평화회의 남북교류위원장인 정인성 교무는 "남한과 북한 정부 간 교류협력이 차단되면서 모든 민간교류도 진척이 없는 상태"라며 "남쪽에서는 '광복 70주년 6.15 선언 15주년'을 맞아 진보·보수·중도를 망라한 민간단체들이 남북공동행사 준비위원회를 결성해 준비했지만 남북공동행사는 불확실한 상황이다"고 전했다. 남북공동행사 준비위원회에는 교단대표로 한민족한삶운동본부가 들어가 활동 중이다.

광복70주년 행사는 예전과 같이 따로 행사를 개최하게 됐다. 남한은 13일~15일 대학로 대집회와 학술대회, 민간단체의 서울광장 집회 등이 계획돼 있고, 같은 기간 북한은 '조국해방70돌기념 민족 통일대회'를 개최하고, 백두산에서는 자주통일대회 백두산 출정식을 갖는 등 자주통일에 대한 나름의 행사를 진행했다.

당국 간의 대화와 협력이 악화되면서 자연 종교계를 비롯한 민간 대북지원 단체들도 큰 타격을 입었다.교단에서는 그동안 평양에 빵공장 설립, 밀가루·분유·기저귀보내기 운동 등을 전개해 왔고, 한겨레중·고등학교를 설립해 북한 이탈 청소년들의 한국 내 적응을 도와왔다.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방황을 예방하기 위해 교도들과 은부모 결연 사업도 꾸준히 진행했고, 남북통일 운동에 대한 학술 세미나도 여는 등 작지만 실천적인 통일운동을 실시했다.

또한 교단은 한국종교인평화회의(KCRP)를 통해 단절된 남북관계에서도 중국 등 제3국에서 남북한 접촉을 계속해 왔다.

하지만 연초 본사 주최 통일좌담회에서 전문가들은 "선진들이 남북통일의 대의명분 뿐 아니라 구체적인 로드맵을 말씀해 줬는데 지속적인 행동이 보이지 않는다"며 "소수 종단이지만 통일운동 분야를 선점해 나갈 수 있는 아젠다를 제시해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작지만 의미있는 통일운동을 생활 속에서 추진해 가자는 것이다. 3.1만세운동은 천도교가 앞장섰고, 해방 후 한국사회는 기독교가 이끌었다면 교단(원불교)은 평화통일 운동을 선점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