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9분은 모든 법계를 다 교화하라는 뜻이다.

須菩提야 於意云何오 若有人이 滿三千大千世界七寶로 以用布施하면 是人이 以是因緣으로 得福多不아 如是니이다 世尊이시여 此人이 以是因緣으로 得福이 甚多니이다.

"수보리야! 네 뜻에 어떠하냐? 만일 어떠한 사람이 있어 삼천 대천 세계에 가득 찬 칠보로써 보시에 사용하면 이 사람이 이 인연으로써 복을 얻음이 많겠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이 사람이 이 인연으로써 복 얻음이 심히 많겠나이다."

須菩提야 若福德이 有實인댄 如來不說得福德多언마는 以福德이 無故로 如來說得福德多니라

"수보리야! 만일 복덕이라는 실제 모습이 있다면, 여래가 복덕 얻음이 많다고 말하지 아니하였을 것이니 복덕이 없는 까닭에 여래가 복덕이 많다고 설한 것이다."

유실(有實)이란 '지었다는 생각'을 말하는 것으로 그러한 생각을 가지고 있으면 부처님이 복덕을 많다고 하지 않는다. 재물이란 다다익선으로 잘 사용하면 복이 되지만 잘못 사용하면 패가망신한다.

이 모든 것이 생각으로부터 나오는데 취상(取相)하게 되면 엉뚱한 재앙이 따르게 된다. 왜냐하면 상(相)에 집착하게 되면 그릇된 생각을 하게 되고 그릇된 생각을 하면 그릇된 판단과 행동을 하기 때문이다.

대종사가 원불교를 개교하고 많은 중생을 위해 제도문을 연 것 역시도 성현의 대자비심으로 보시의 토대를 만들어 주었다고 볼 수 있다. 많은 대중이 유익을 얻는 공중사업에 경제력을 쓰게 하여 복을 짓고 보은하여 진급의 길로 나아가게 한 것이다.

돈이 있어도 돈을 쓸 줄 모르기 때문에 오히려 화를 불러오는 경우가 많다. 큰 재물을 제대로 사용할 줄 모르면 도둑이 칼을 든 격이라 는 이야기도 있다. 금강경에서도 칠보보시가 나쁜 것이 아니라 보시 후에 상에 집착하는 것을 경계한 것이다.

제 20분은 색을 떠나고 상을 떠나라는 뜻이다.

須菩提야 於意云何오 佛을 可以具足色身으로 見不아 不也니이다 世尊이시여 如來를 不應以具足色身으로 見이니 何以故오 如來說具足色身이 卽非具足色身일새 是名具足色身이니이다.

"수보리야! 네 뜻에 어떠하냐? 부처를 가히 구족 색신으로 보겠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를 마땅히 구족 색신으로써 보지 못하나이다. 어찌한 연고인가 하오면 여래께서 말씀하신 구족 색신이 곧 구족 색신이 아닐새 이것을 구족 색신이라 이름 하나이다."

구족색신이라는 것은 '단정한 모습을 구비한 몸'이란 뜻이다. 불교에는 법신·보신·화신의 삼신불 사상이 있다.

법신불은 진리의 실체, 영원불멸한 진리의 당체로써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자리로 자성불·법신불·여여불이라고도 한다. 보신불은 보살이 오랫동안 고행과 난행을 거쳐서 된 부처를 말한다. 화신불은 중생들을 제도하기 위해서 나타나는 부처님의 신체를 말한다.

그러나 부처님은 이러한 색신을 가지고는 여래를 볼 수 없다고 했다. 대종사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일원상을 신앙의 대상과 수행의 표본으로 정했고, 그 일원상마저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이라 했다. 대부분의 종교들은 교조 또는 화신불(등상불)을 신앙의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교조가 깨친 진리를 전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대종사는 당신을 신앙의 대상으로 하지 않고 모든 성현이 깨친 진리 자리를 일원상으로 표현 했기에 종교적 보편성을 확보하고 모든 종교가 만날 수 있는 근간을 마련 했다. 삼신불을 일원상 진리와 접목 해 보면 돈공은 정신수양이며 법신자리, 광명은 사리연구며 보신자리, 조화는 작업취사며 화신자리라고 할 수 있다.

須菩提야 於意云何오 如來를 可以具足諸相으로 見不아 不也니이다 世尊이시여 如來를 不應以具足諸相으로 見이니 何以故오 如來說諸相具足이 卽非具足일새 是名諸相具足이니이다

"수보리야! 네 뜻에 어떠하냐? 여래를 가히 구족한 모든 상으로써 보겠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를 마땅히 구족한 모든 상으로써 보지 못하나이다. 어찌한 연고인가 하오면 여래께서 말씀하신 모든 상이 구족하다 함이 곧 구족이 아닐새 이것을 모든 상이 구족하다 이름 하나이다."

여기에서 구족제상과 위의 색신은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고 선연기청분에서 언급한 32상과 연관 지을 수 있다.

즉비구족(卽非具足)은 색신을 말하는 것이고 시명구족(是名具足)은 수행을 통한 구족한 상을 말한다.

구족한 상은 육신을 통해 원만구족하고 지공무사하게 나타난다. 역으로 육근을 사용할 때에 원만구족하고 지공무사하게 나타나지 않으면 구족제상을 이루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금강경에서 자세하게 밝혀내지 못한 것을 대종사는 정전에서 자세하게 밝혀 줬다. 교법의 총설에서 '모든 종교의 교지(敎旨)도 이를 통합 활용하여'라고 하였듯이 금강경을 보고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를 고민한 것이다. 대산종사도 후천 시대는 해원상생·영육쌍전·이사병행·동정일여·원형이정의 도수요, 과학과 도학이 병진하는 도수요, 물질과 정신이 개벽되는 도수요, 양심과 도덕이 살아나는 도수라 했다.

이러한 원리에 맞추어 대비를 한다면 한량없는 은혜와 진급이 있을 것이요 만약 그렇지 못하고 선천의 막히고 정(靜)적인 기운만 붙들고 헤어나지 못한다면 재앙과 강급이 뒤따를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