뚜벅뚜벅 교리여행

▲ 이도광 교무

공군사관학교, 성무교당
내가 정말 멋진 사진을 찍어서 많은 사람들에게 공개했을 때, 사람들 중에는 그 사진이 별로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또한 어떤 일을 완벽하게 해냈더라도 모두에게 칭찬을 듣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모든 사람들의 마음이 내 마음 같지 않다는 것을 쉽게 알 수가 있다.

이럴 때 내 마음에는 분별심이 생겨난다. '나와 마음이 같은 사람은 좋은 사람, 나와 마음이 다른 사람은 좋지 않은 사람' 이렇게 구별해서 좋은 사람에게는 좀 잘해 주기도 하고 좋지 않은 사람에겐 못해 주기도 한다. 그리고 내 앞에 늘 좋은 일들이, 좋은 사람들이, 좋은 조건들이 펼쳐지길 바라고 반대로 힘든 일들이, 힘든 사람들이, 힘든 조건들이 오지 않기를 바라며 살아간다.

그래서 소태산 대종사도 "고는 사람 사람이 다 싫어하고 낙은 사람 사람이 다 좋아하는 것이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것이 어디 바람대로 되는 것인가. 세상의 이치는 인과의 법칙에 따라 다 각자가 지어놓은 데로 받는 것인데 말이다.

그러나 신기하게도 어떤 사람들은 좋은 상황이나, 힘든 상황에도 언제나 자기의 복을 장만하면서 살아간다. 과연 그 어떤 사람들은 누구이기에 그렇게 살아갈 수 있는 것일까. 바로 공부인이다.

그렇다면 공부인들은 어떻게 살아가기에 어떤 상황에든 늘 기쁜 마음과 행복한 마음을 만들어 가면서 복을 장만하는 삶을 살아갈 수 있는 것일까.

대산종사는 공부인을 도와주는 두 불보살을 소개했다. 두 불보살은 바로 역경 보살과 순경 보살이다. 역경 보살은 일체의 마음을 거슬리게 해 알지 못하는 가운데 그 도력을 키워 주는 보살이고, 순경 보살은 일체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 알지 못하는 가운데 그 도력을 키워주는 보살이다. 이 두 보살이야말로 성불 제중을 이루도록 도움을 주는 큰 권력을 가진 보살들이라고 말했다.

여기서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은 공부인의 마음자세를 가지고 역경이든 순경이든 큰 권력을 가진 불보살들로 여겨야 한다는 것이다. 나를 힘들게 하는 대상이라고 해서 역경을 보살로 대하지 않는다든지, 나를 마냥 편안하게 하는 대상이라고 해서 순경을 그냥 편안하게만 대한다든지 하면 부족하고 힘든 상황에서는 늘 불행한 삶만을 만들어 갈 것이고, 풍족하고 편안한 상황에서는 늘 안일한 삶만을 만들어 갈 것이다. 이렇게 된다면 모든 일들이 나를 진급이 아닌 강급으로 끌어내리고 복을 장만하는 삶이 아닌 죄고에 헤매는 삶을 살아갈 수밖에 없다.

공부인의 마음자세로 살아가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그렇다고 늘 죄고에 헤매며 살 수도 없는 노릇이니 조금씩 조금씩 내 마음을 챙기고 또 챙겨서 공부심을 놓지 말고 역경과 순경을 불보살로 잘 모셔 이 두 불보살들에게 도움을 받으며 살아가야 한다. 자비의 마음으로 대산종사는 한 가지 더 힌트를 줬다. "역경이 오면 빚을 갚을 때이므로 항상 반갑고 기쁜 마음으로 맞이하고, 순경이 오면 빚을 받을 때이므로 항상 미안한 생각을 가져야 하나니, 이러한 사람이 인과에 토가 떨어진 사람이요 해탈한 사람이니라."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