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자이자 한반도 전문가
'세계교화, 신종교보다 현대적 불교 지향해야'

▲ 도널드 베이커 교수는 검지를 높이 들며 원불교 100주년은 끝이 아니라 이제 시작이라고 강조했다.

도널드 베이커(Donald Baker) 교수는 캐나다 밴쿠버 브리티시 콜럼비아대학교(UBC)의 아시안학과(Asian Studies)에서 한국문화사를 담당하고 있다. 다산 정약용과 한국의 신종교에 관한 연구 등으로 하버드대학교를 비롯한 세계 유수의 대학에서 한국의 정신문화를 소개하고 있고, 2008년에는 그 공로를 인정받아 서양인으로서는 최초로 '다산학술대상'을 수상했다. 베이커 교수는 신종교 분야를 연구할 때에 원불교 또한 비중 있게 다룸으로써 세계적인 석학들에게 원불교를 학문적으로 널리 알리고 있다.

이런 연구는 세계적인 종교학자들이 원불교에 관심을 갖게 하는 지대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한 달에 3천 6백만이 넘는 연구자들이 열람하는 세계적인 논문 데이터베이스 아카데미아(https://www.academia.edu/)에 올린 베이커 교수의 많은 논문들 가운데 특히 원불교 관련 논문은 조회수 1500여 회를 상회하며 종교학 관련 연구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원불교와의 인연은 1971년 전남 광주에서 평화봉사단으로 활동하던 당시 지인의 소개로 원광대학교를 알게 됐고, 그 후 2001년부터 〈한국인의 영성(Korean spirituality)〉을 집필하며 원불교에 관심을 갖게 됐다. 2005년 원광대학교와 UBC의 결연으로 김준영 교무(밴쿠버교당)가 방문학자로 파견될 당시 그 초대와 지도의 책임을 맡아 원불교 교무와의 인연이 시작됐다. 이후 자료수집과 원불교 연구를 위해 밴쿠버교당과의 인연을 맺으면서 더욱 긴밀해 졌다. 2008년에는 그 결과물로 하와이대학에서 발행된 〈한국인의 영성(Korean spirituality)〉에 원불교가 소개됐고, 2012년에는 한국어 번역본이 출판됐다.

- 소태산과 신종교 설립자의 다른 점은.

소태산 대종사는 종교 설립자로서는 보기 드물게 실천성을 갖춘 특징적인 분이다. 그 실천성이란 불법 수행을 위한 새로운 종교 교단을 공식적으로 설립하기에 앞서 가난한 농민들을 위한 저축조합운동부터 시작했고, 그렇게 마련된 재원으로 정관평 방언공사를 추진했다는 데서 두드러진다. 이는 소태산 대종사가 당시 함께 생활하던 이웃들의 삶의 수준과 상황을 얼마나 중시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며, 다른 종교 창시자와 달리 얼마나 실천적인 관심을 갖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천성이 드러나는 대목은 일원상의 개념을 설명할 때에 형이상학적인 설명 뿐 아니라 구체적으로 현시된 사은이라고 하는 실천적인 개념과 결부시켰다는 점이다. 사은은 형이상학적이거나 추상적 개념이 아니라 우리 일상생활의 핵심 요소이다. 그렇기 때문에 일원상과 사은을 결합시킨 것은 일원상이 단지 종교적 신앙의 대상일뿐 아니라, 매일 매일의 삶 속에서 우리가 따라야 하는 행동 지침임을 의미한다. 세 번째 소태산의 실천성이 드러나는 대목은 '타력생활을 자력생활로 돌리자'는 표어다. 특히 일기를 쓰게 하는 것은 사람들로 하여금 스스로 수행하는 과정에서 보다 나은 사람이 되게 하는 매우 효력있는 방법이라 생각한다.

Sot'aesan was an unusual founder of a religious movement because of his practicality. Even before he formally organized his new religious community into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ist Dharma, he created a savings cooperative for poor farmers and then used the funds that cooperative collected to reclaim for farmland some land that the sea had taken. This shows how much importance he placed on the living standards of his neighbors, revealing a practical orientation that makes him very different from other founders of religious movements.

In another sign of his practical orientation, he explained the concept of the Ilwonsang not only in abstract metaphysical language but also by linking it to its concrete manifestation in the Fourfold Grace. The Fourfold Grace, rather than being a metaphysical abstraction, is a core element of our daily lives. The link between the Ilwonsang and the Fourfold Grace means that the Ilwonsang is not just an object of religious belief but is also a guiding principle for us to follow in our everyday actions.

A third example of Sot'aesan's practicality is his call to move from reliance on others to self-reliance. In particular, his advice to keep a diary to help us with self-cultivation is useful for our efforts to make ourselves better human beings.

- 세계화를 위해 불교적인 색채를 강화해야 하나, 아니면 신종교로서 독자성을 가지고 가야 하나.

원불교가 세계적인 종교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불교적인 색채를 강화하는 것이 교화에 좀 더 효과적일 것 같다. 왜냐하면, 외국사람(특히 서구인)들은 불교는 존경할 만 한 종교라고 생각하는데 반해 신종교는 대개 사이비 종교(cult)로 보는 경향이 강하다. 그래서 '원불교는 현대에 맞는 불교'라고 공포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If Won-Buddhism wants to become even more of a global religion than it is already,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emphasize its Buddhist characteristics. That is because most non-Koreans(particularly Westerners) consider Buddhism a respectable religion but they tend to think of most new religions as cults rather than genuine religions. So it would be better for Won-Buddhism to present itself primarily as a new Buddhism appropriate for the modern age.

- 서구인들이 바라보는 원불교는 어떤 모습으로 비치는가.

대부분의 서구인들은 원불교에 관해 거의 알지 못하고, 설사 안다고 하더라도 아주 미약하다. 원불교를 조금 아는 사람들은 원불교가 현대 사회에 잘 맞는 불교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만일 남자 성직자들에게는 요구되지 않는 정녀제도를 알게 된다면 비현대적이라 여길 것이다. 원불교의 남녀평등 교리와 어긋난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서양인들은 여자 교무들의 머리 모양과 정복을 괜찮게 여긴다. 너무 시대에 뒤떨어지거나 너무 세속적이지 않아서 교무들에게 어울린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만일 서양인들이 왜 원불교를 현대에 맞는 불교라고 생각하냐고 물어온다면, 수행 상으로도 미신적 요소가 없는데다가 법당에 여러 가지 불상도 없고, 복잡한 전례가 없이 단순하며, 교리를 설명함에 있어서도 난해한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말로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Most Westerners know very little, if anything, about Won-Buddhism. Those who do know something about Won-Buddhism tend to see it as a Buddhism compatible with the modern world. However, if they know about the expectation of celibacy for female clerics but not for male clerics, they would probably think that is a reflection of pre-modern attitudes and that it contradicts the Won-Buddhist teaching of equality of men and women. Most Westerners would probably like the hair style and the clothing of female kyomu, since they are neither too old-fashioned nor too secular-looking and therefore are suitable for a Won-Buddhist.

If you ask me why Westerners would think that Won-Buddhism is a Buddhism suitable for the modern age, it is most likely because it has eliminated superstitious elements in Buddhist practice, it doesn't have a lot of different Buddhist statues in its temples, it has simple rather than complicated rituals, and it explains its doctrines in language that is easy to understand rather than abstruse language.

- 아시아 그리고 한국이라는 작은 나라에서 소태산이 태어났다. 소태산은 어떤 분이며, 어떤 사상에 매료되었나.

소태산은 천재라고 생각한다. 현대적인 정규 교육을 받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깊은 통찰력이 담긴 뜻 깊은 교훈을 주는 말씀을 많이 남기셨다. 20세기 초반에 불교를 혁신해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한 두 분의 개혁가가 있다. 한 분은 만해 한용운이고, 한 분은 소태산이다. 만해는 전통불교의 승려중심제도에 전념하면서 개혁을 부르짖었으나 결과적으로 한계에 봉착해 자신이 제안한 개혁을 실현해내지 못했다. 그에 반해, 소태산은 승려 중심의 불교를 일반 사회에서 세속적인 삶을 사는 대중을 위한 종교로 혁신하는 데 성공했다. 이 점이 바로 소태산을 천재라고 생각하는 이유다.

I see Sot'aesan as a genius. Even though he had no formal modern education, he was able to bequeath the world writings providing deep insight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ere were two people conspicuous for their calls for Buddhism to reform. One was Manhae Han Yongun. The other was Sot'aesan. Manhae remained focused on traditional Buddhism, which was centered on monks. That hindered the applicability of his calls for reform and, in the end, his reforms were not successful in his day. In comparison, Sot'aesan was able to replace such monk-centered Buddhism with a Buddhism for people living in ordinary secular society. That is why I call Sot'aesan a genius.

- 소태산의 사상이 인류문명에 대안을 제시했다고 보는가.

소태산이 제시한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는 개교표어는 현대 문명세계에 매우 중요한 대안이다. 도시화 산업화로 인한 물질문명 세계의 급변으로 심각한 개인주의와 배금주의가 가속화되고 사람들은 점점 정신적 균형을 유지하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이렇게 머리가 어지러운 상황에서, 정신을 개벽하지 않으면 안된다. 지금까지 물질적 발전을 이끌어온 것과 마찬가지로 생각을 현대화하고 정신을 개벽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나는 소태산의 시대적 요청을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Sot'aesan's slogan "With this Great Opening of Matter, Let there be a Great Opening of Spirit," is a very important contribution to contemporary civilization. As the material world has changed rapidly due to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causing both individualism and the worship of money to grow stronger, it has become difficult for human beings to maintain mental balance. In such a situation, we have to modernize our thinking just as we have been modernizing the material environment. For that reason, I have a very positive evaluation of Sot'aesan's call.

- 한반도 전문가로서 남북한 통일은 언제쯤이나 가능할까. 대북제재가 시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남북한 교류 혹은 개성공단 재개 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1945년 전까지 한반도는 아주 오랫동안 통일된 국가였기 때문에 의심할 여지없이 다시 통일이 될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언제 통일이 될 지에 관해서는 어느 누구도 예측할 수 없다. 나는 역사가라서 비록 오십년이나 백년을 더 기다려야 된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그리 긴 시간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미국에 있는 우리 한국학자들은 종종 "6개월 이내에 한반도가 통일이 될 것이다"라는 말을 하곤 하지만, 벌써 30년째 그 말을 해오고 있다.

통일이 그렇게 빨리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하지 않는다. 대북제재에 있어서도, 한국, 미국, 중국까지 나서서 대북제재를 시행하려는 이유를 알고는 있지만, 그 제재로 북한 정권이 무너질 가능성은 별로 없다. 제재 대신에(또는 개성공단을 폐쇄하는 대신에) 북한 사람들도 우리와 같은 인간임을 상기하고 경제적 원조나 교육적 지원 등 보다 합리적이고 윤리적인 정책을 펼치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 한다. 나의 경우, 만일 그 대북제재가 오래 계속되어 남북한 간의 문화적 격차가 너무 커지면 궁극적인 통일이 더 어려워지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

Since the Korean peninsula was united for a very long time before 1945, I have no

doubt that it will be unified again. However, no one can predict when that unification will take place. As an historian who deals with long stretches of time, even if we have to wait another 50 or 100 years, I don't feel that is a particularly long time to wait. In North America those of us who study Korea frequently say "Korea will unify within 6 months," but we have been saying that for 30 years!

I don't think it will actually happen that soon. As for the sanctions imposed on North Korea, I can understand why the ROK, the US, and China are doing that, but I don't think that those sanctions will cause the North Korean regime to collapse. Instead of sanctions (or shutting down the Gaeseong industrial complex), it would be better to remember that North Koreans are human beings just like we are. I encourage, therefore, a more rational and ethical policy of providing economic aid and educational assistance for the North Korean people. I worry that, if those sanctions are imposed for a long time, the cultural ga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ill grow even wider and eventual reunification will become even more difficult.

* 도널드 베이커 교수는 원기96년에 김준영 교무가 밴쿠버교당 주임교무로 발령을 받아 근무를 시작하던 중 비자문제가 발생해 출국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원불교와 인연은 다시 이어졌다. 베이커 교수의 진심어린 추천서는 최장 4년의 종교 비자 관례를 깨고 5년의 비자를 받게 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 일을 계기로 부인인 유미 베이커 여사와 교당이 인연이 돼 지금까지 법회뿐 아니라 'UBC 화요명상', '영어사용자를 위한 일요선방' 등 교당의 대소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밴쿠버교당이 민원 때문에 법회 금지라는 명령을 받았을 때도 몸소 시청을 방문, 이민자로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하는 등 베이커 교수 부부는 교당의 든든한 후원자 역할을 하고 있다.

인터뷰는 4월28일, 원불교10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기조강연자('20세기 한국종교의 전환을 이끈 원불교')로 방문했을 때 중앙총부 청하원에서 진행됐고, 부족한 부분은 이메일 인터뷰로 대체했다. 번역은 밴쿠버교당 김준영 교무가 맡았다.
▲ 중앙총부 청하원 앞에서 기념촬영.(왼쪽부터 김준영 교무·베이커 교수·유미 베이커 여사·김현준 교무)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