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화자의 삶

▲ 김도호 도무/원광효도마을
교단적으로 청소년 교화에 어려움이 많고, 여러 가지 의견들이 있지만 가장 큰 부담은 현장의 젊은 출가자들이다. 당장 눈앞의 현실도 어려운데 그 어려움을 헤쳐 가는 부담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것이다.

해마다 다양한 프로그램이나 아이템을 교화에 활용하고자 힘쓰지만 좀처럼 살아날 기미조차 보이지 않는다. 희망의 끈을 놓지 말라는 어른들의 말도 그 희망이 현실적인 활동이 되기까지의 시행착오라도 겪어야 하는데 그러한 과정조차 겪어보지 못해 톱니바퀴처럼 교화의 어려움이 대물림되고 있다.

사회적으로는 보편적인 인성교육이나 그에 준하는 활동 프로그램을 요구하는데 우리가 당당하게 내놓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활동이 없다. 있더라도 몇 개나 되는지? 과연 우리에게 보편적인 교화방식이 있을까? 법회의 출석수를 추구하는 교화방법이 아닌 교당에 다니면서 스스로의 가치와 바른 인격형성을 돕고 생활의 변화를 돕도록 부직자 스스로의 기획과 결단으로 청소년 교화에 대한 가치와 기회가 보장되어야 창의적 아이템과 경험이 쌓이게 된다. 때를 놓치면 쌓인 피로와 타성화 및 업무적인 부분만 추구하여 현실안주를 하게 된다.

교법에 바탕한 신앙과 수행의 공부로만 우리가 원하는 청소년 교화의 불씨를 살릴 수 있을 것인지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사회가 변하고 세대 간의 문화가 달라지는 시대적 흐름에 맞게 우리의 청소년 교화방식도 변화를 통해 발전되어야 한다. 개인적으로는 기회부여를 통한 교화의 질적 성장을 요할 때라 본다. 교정원의 정책을 따르는 것도 중요하지만 교화자들이 현장에서 다양한 시도를 해볼 필요가 있다. 크게 눈에 보이는 성과물이 아니라 잔잔한 실패의 경험들이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부분이다. 실패나 시행착오의 기회조차 얻지 못하면 할 수 있는 것도 제한적이고 사회적 경쟁력도 가질 수 없다. 개개인의 경쟁력과 경험이 모이고 모여 교화 성장의 원동력이 되는 자산이 되어야 한다. 정책적 연구물이나 저명한 학자의 이론이 아닌 교화자들의 경험과 시행착오, 활동 가능한 프로그램이 모이는 열린 대화의 장이 형성되길 바란다.

또한 우리의 교화활동이 때에 따라 바뀌는 교정원의 성과물이 아닌 개개인의 정성심에 바탕한 결과물로 공유됐으면 한다. 크고 작고 성과가 있고 없고를 떠나서 청소년들에게 유익한지 아닌지를 우선으로 한다면 시작은 교화가 아닐지라도 성장발판 이후에는 교화 활성화에 이바지해 실패로 인한 상실감보다 자긍심을 가지고 활동할 수 있을 것이다.

원광효도마을의 효행사업은 몇 년간의 시행착오를 겪으며 안정됐다. 그리고 질적 성장을 위해 최희공 원무를 원광효인성실천연구원 초대원장으로 모시고 제2의 발전을 위한 변화를 꾀했다. 무엇보다도 시행착오와 실패에 대한 경험을 가진 인적 자원이 있기에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받아들이는 것에 익숙하다. 이같은 경험으로 봤을 때 시행착오나 실패는 능력부족이 아닌 발전을 위한 기회와 경험으로 봐야 한다. 가르치는 지도인 이전에 배우는 공부인으로서 나를 알고 청소년을 알아 가는 동기부여와 열정이 살아나도록 이제라도 시스템에 의한 교화성과보다 교화를 위한 시스템으로 발전되길 염원한다.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