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문화의 힘

▲ 김산 교도/대전교당
평상시 공무원을 만나기는 참 쉽다. 호의적이다. 그러나 행정의 이름으로 부딪히는 한 방편을 마련하기는 그야말로 낙타를 바늘귀에 넣기만큼 어렵다. 지역문화의 힘은 바로 여기서부터 시작한다. 관의 협조 없이는 장소와 홍보 등 어느 것도 진행되기 어렵다. 현수막 하나 다는 것부터 행사 장소의 민원문제까지. 그런데도 지금껏 진행해 올 수 있었던 것은 각 문화단체들의 관변단체화나 지엽적인 문화운동의 일환으로 진행해왔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자치적인 문화운동을 일구는 단체는 많다. 지역보다 전국을 향해 활동하는 마당극단이나 세계로 진출하고 있는 배기완 청년단편감독 등. 그에 반해 지역에서 지역문화의 얼굴로 존재하는 단체들은 지역성을 넘어서지 못한 이상 관의 벽은 지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몰랐다. 모두들 지쳐서 아우성일 때도 대전청년들이 하나둘 떠날 때도 남 일 같았다.

그저 함께 즐기고 공동의 이익이 만들어지는 노력과 헌신 그리고 배려가 땀과 함께 있으면 좋았다.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힘들다. 그러나 스스로 일궜던 공간을 벗어나 대중을 향해 나아가려고 할 때, 그곳에서부터 선이 분명하게 그어진 관이 있다. 그저 행정적인 절차면 된다고, 합법적인 요건만 갖추면 된다고 순진하게 생각했다. 아니란다. 적법이 아니라 공무원의 재량권에 막혀버린다.

절차를 지키고 협의를 하고 모든 것에 문제가 없음을 서로가 인정하면서도 지나기 어려운 선이 지역문화에 존재함을 본다. 며칠 밤을 세워 고민하고 고민하면서 해결점을 찾아간다.

먼저 지역방송과 연계 대중성을 광고로 대처하기로 한다. 방송국 연출가들과 만나 대중성을 메꾸고 함께 만들어가는 작가 셀러들과 좀 더 단단해지기로 한다. 그리고 함께하려는 청년 지원자들. 이제 대전청년문화단체들은 각각이 전국적인 모임이나 행사로 진행하려고 한다.

손수레는 도시유휴지를 무상 분양받아 도시농업을 넓혀 나간다. 대전문화협동조합 청년들은 지역인 대전을 넘어 전국적인 청년네트워크와 모임을 그리고 기존의 프로그램들을 진행해 나간다. 인허가의 과정이 없는 문화운동을 준비하고 있다. 세시아지트는 드디어 전시회를 중심으로 사람들을 만나고 여름보다 더운 창작의 열기를 살려나가고 있다. 물론 자비로 자생적 공간에서 시작한다.

그리고 지역방송과 청년단체, 후원업체를 엮는 삼각고리를 완성하고 새로운 지역문화의 성장으로 발디딤을 준비하고 있다. 처음 허락되지 않는 금단의 열매처럼 어려운 관의 벽을 지나기가 문화의 또 다른 이름이 되고 활성화의 또 다른 이름이 되어 시민들 공공의 이익을 성장시키고자 하는 모든 노력이 그렇게 잡초처럼 피려고 한다. 그래서 힘이 세진다. 결코 꺾기거나 휘지 않는 자생문화의 힘이 그렇게 근육을 키워 나가고 있다.

자치단체의 하드웨어에 시민운동단체의 소프트적인 문화가 같이 프로그램화되고 어우러져 지역성이 되고 지역문화의 상징이 되어가는 일련의 과정들이 존재하는 것은, 그 속에 그렇게 선을 넘고 단결을 하고 성장시켜온 일련의 절망과 좌절의 과정을 안고 있는 문화운동가, 문화창작자들이 있기 때문이다. 일련의 산고들이 바로 지역문화의 태동이고 나아가 건강한 시민사회가 함께 만들어가야 할 지역문화의 현주소인 것이다.
지역문화의 힘! 사실 그 힘은 보여 진 것에서 평가받겠지만 지금부터는 시민사회에 내놓기까지의 과정을 한번 느껴주길 바란다.

사실 시민사회를 위해 누군가 무엇을 한다는 헌신과 배려의 노력은 쉽지 않다. 그리고 누군가 묻는다. 왜 하느냐고! 그들에게 나는 말한다.

"프리마켓을 보라! 모든 상행위의 부의 배분이 땅을 가진, 건물을 가진 자의 가치가 우선시 될 때 어디선가 생산자, 판매자, 소비자를 우선시하는 마켓이 있다. 청년들이 만들어가는 세상. 기성세대가 그어놓은 왜곡을 스스로의 힘으로 한 부분에서만이라도 보여 주고자 한다."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