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오성 교무/송도교당
'돈오돈수(頓悟頓修)', 불교계의 큰 산 성철스님의 일설로 웬만큼 도를 논하는 이들 사이에 갑론을박이 끊이지 않는 용어다. 돈이란 '단번에'란 뜻이니, 돈오돈수는 견성 즉시 단번에 수행이 완성됨을 말한다. 깨침과 동시에 무시선이 되며, 육근동작이 보보일체 대성경, 원만구족 지공무사하게 된 경지다. 〈수심결〉에서는 '모든 성인이 깨친 뒤에 닦음이 없지 않다'는 돈오점수(頓悟漸修)를 긍정하고, 〈육조단경〉에서는 '단박에 깨치고 단박에 닦는 것이지 점차는 없다'는 돈오돈수만 깨침으로 인정하는데 성철스님의 주장은 후자에 속한다.

근기도, 깨침도, 수행도 인과 아님이 없어서 행한 만큼만 정확히 드러내준다. 돈오 후 돈수가 맞느니, 점수가 맞느니 옛 경전 뒤적이며 논쟁하느라 출가 수행자들의 짧은 일생 요란스레 잘도 간다. 과거 숱한 생을 유추컨대 어느 제불제성도 공들이고 공들이는 점수 없이 돈오돈수를 얻지 못하니, 대종사님 말씀처럼 견성도 수행도 천층만층 다르다 인정하고 가면 고요하고 원만하다. 직관으로 이미 '통'한 이는 조용히 다른 차원을 살고 있다. 등소평의 명언처럼, 흰 고양이든 검은 고양이든 쥐만 잘 잡으면 되는 법, 어찌하든 그 이론으로 결국 '한통'을 하였는가가 핵심이다.

자성은 본래 청정한 허공이라 '단번에' 든 '점차'든 닦을 것이 없다. 일체만물의 공유물인 참나(空)를 알아, 비춰(觀空) 머물고(養空) 행하기를(行空) 지성으로 하면 결국 실력이 쌓여 일원(空)의 위력을 얻고 체성에 합해 뭇 성인과 나란히 돈오돈수에 머문다. 자성 비추기를 마지아니하면 어느새 동녘이 빛으로 훤하다.

이때, 나를 둘로 설정해 암막커튼(가아, 나)을 친 채, 빛(자성, 참나)을 보고자 함이 오류다. '내'가 '참나'를 찾는 것이 아니다. 나를 둘로 알면 모든 것이 글러진다. 앞의 '나'는 암막커튼, 그 '나'는 없다! '참나'만 있을 뿐 '또 다른 나'는 없음을 직관함이 깨달음이며 백척간두 진일보의 참 뜻이다. 육근, 오온(五蘊)은 본래 공하여 나로 삼을 것이 따로 없거늘, 그 암막커튼 못 놓으니 한줄기 빛도 못 보고 노동 같은 수행만 하다 간다. 오온이 원래 없음을 직관하면 일체고액이 사라진다(照見五蘊皆空 度一切苦厄).

사람으로 태어나 동물들도 다 하는 것들-서열을 다투고(명성, 지위), 좋은 짝 만나 새끼 낳아 기르며(연애, 양육), 먹이활동 하는 것(물질, 돈)-에만 평생 전전하다 가면 허망하기 그지없다. 참나를 알아 살면 그와 같은 세간 복은 구하지 않아도 저절로 넘친다. 어쩌면 마지막 기회일지도 모를 일, 다음생 기약말고 각혼(覺魂) 가진 사람몸 받은 지금 영생사를 해결하라고, 경전 마디마다 성자들의 호념과 당부가 천지를 요동한다.

남의 수행 잘잘못 비평하다 하루가고 일생 간다. 공부 못하는 이들끼리 오답을 정답인 양 맞춰보며 난리하듯, 인생사 온갖 일들 그와 같이 풀어 갈 때, 성자들의 정답 따라 자성광명 이미 찾아 영생사를 해결하는 이들 보이지 않게 많이 있다. 그러니 조물주며 여래며 법신이며 일원인 그대, 지금 어디를 보고 사는가.

※ 다음 호부터는 와룡산수련원 박성은 교무의 서품이 연재됩니다.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