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9월이면 6년 임기의 새 수위단회가 출범한다. 새 수위단은 수위단원 선거를 통해 구성이 된다. 수위단원은 교헌에 따라 정(正)수위단원과 봉도(奉道)·호법(護法)수위단원으로 3분되어 있다. 봉도·호법수위단원은 정수위단원들이 선출하게 되어 있는 만큼, 수위단원 선거의 쟁점은 자연 정수위단원 선거이다. 

정수위단원 선거, 어떻게 해야, 현역 전무출신 가운데 최고의 지자(智者)를 지도자로 뽑을 수 있을 것인가. 수위단원 선거법을 어떻게 손봐야 보다 나은 선거가 될 수 있을까. 교단을 구성하는 재가출가 교도들의 여망에 부응하기 위해, 교정원 총무부는 '수위단원 선거 규정' 개정을 위한 공청회를 열어 의견을 수렴했다. TF팀이 연구한 결과를 발표하고, 참석 대중의 다양한 의견을 청취했다. 이날 공청회에 재가출가 100여 명이 참석하고, 인터넷으로 생중계되는 것을 100여 명이 청취한 것은, 흡족한 수준은 아니지만, 수위단원 선거에 대한 교단 구성원들의 관심의 나타남이라 보여진다. 

정수위단 남녀 각 9인을 뽑는 선거의 쟁점은 우선, 3배수의 후보 그러니까 남녀 각 27인을 선출하는 후보추천위의 구성과 역할의 공정성을 꼽을 수 있다. 현 선거규정에는 추천위원장은 종법사가 맡고, 수위단회에서 선임한 15인의 위원으로 구성토록 되어 있다. 종법사가 추천위원장을 맡는 문제, 15인의 추천위원을 수위단회에서 어떻게 구성하느냐의 문제 등이 이슈가 된다. 수위단원 피선거권이 없는 사람들로 구성을 해서, 어떤 방법을 통해 남녀 각 27인의 후보를 선정해야, 공정한 후보 추천이 이뤄져서, 대중의 공감을 얻고 불만을 줄일 수 있을 것인지, 참으로 깊은 고뇌가 필요하다. 

다음은 투표권의 문제이다. 전무출신은 현역은 물론, 퇴임한 원로들 모두가 투표권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재가교도는 중앙교의회 의원에 국한되어 있는 것을 어떻게 확대할 것인가가 쟁점이다. 각 교당 교도회장단을 포함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전무출신만으로 구성되는 정수위단원을 재가교도들이 제대로 알 수 없다는 우려를 표하고 있지만, 전무출신끼리도 속깊이 아는 사람은 드물다. 이런 우려를 극복하는 방법은 후보에 대한 보다 상세하고 정확한 정보를 선거공보에 담는 등 보완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또 하나의 쟁점은 선거 기표 방법이다. 남녀 각 9인씩을 정확히 표기해야 유효표가 되는 문제이다. 지난번 선거에 무효표가 8.4%였다는 것은 이러한 기표 방법이 투표권자들에게 여간 어렵지 않다는 점이다. 특히 유념을 해야할 것은 선거관리위원 구성이 교정원의 독점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하고, 개표와 검표 과정을 지켜볼 수 있는 참관인(언론인 포함)이 별도로 있어야만 대중으로부터 공정성을 인증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무쪼록 교정원 당무부서(총무부)가 대중의 여망에 부응할 수 있는 최선의 '수위단원 선거 규정'을 마련해서 공명정대한 수위단원 선거를 시행할 수 있기를 촉구한다. 

[2018년 1월 26일자]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