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겨울대학선방을 준비 중인 원불교전국대학생연합회 후배들을 만났다. 이야기는 자연스레 현재 교우회(대학 내 원불교 동아리) 현황으로 옮겨갔다. 짐작은 하고 있었지만 원대연 활동을 했던 당시(원기 89년) 45개 정도였던 교우회 수가 이제 그 절반 정도만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는 이야기는 다소 충격이었다. 

필자가 처음 대학에 발을 들였을 때부터 이미 '위기'라는 말이 만성적으로 퍼져 있었으니, 위기의 상황만 적어도 십수년은 지속되고 있는 셈이다. 물론 청년교화의 어려움은 우리 교단만 겪는 상황은 아니다. 2005년과 2015 인구주택총조사를 비교하면 4대 종단 모두 청년층(만 20~29세로 설정)수가 감소했다. 그러나 문제는 그 낙폭이 크다는 데 있다.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에서 만 20~29세에 해당하는 교도수는 16,872명이었다. 반면 2015년 조사에서는 8,078명으로 나타났다. 10년 사이 절반 이하로 줄었다는 것인데 다른 종단에 비해 전체 청년의 숫자가 적은 만큼 그 충격도 크다.

청년과 대학생 교화의 중요성과 위기가 이미 오랜 세월 반복되어 왔음에도 악화되는 원인은 무엇일까? 우선 사회환경의 변화와 이에 따른 종교에 대한 요구가 바뀌었다. 현재 청년세대는 교통·통신의 발달로 기성세대와 비교할 때 다양한 정보와 경험을 접하며 성장해왔다. 직업수만 하더라도 1969년 3천여 개였던 것이 1986년 9천여 개로, 2014년에는 1만1440개로 늘어났다. 그만큼 청년세대가 겪는 삶의 문제도, 욕구도 복잡다단해지고 있다. 

이와 함께 중앙집권화 되어 있던 의사결정구조는 가정, 학교, 직장, 사회까지 분권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 결과 오랜 세월 사람들의 삶을 규제하며, 종교적 삶을 살도록 이끌어 왔던 종교는 그 지위를 내려놓고 각기 다른 개인들의 삶에 맞는 종교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요구받고 있다. 교단의 청년교화 역시 청년 개개인의 요구에 귀를 기울여 하며, 정책으로 연결돼야 한다.

그럼에도 우리 교단의 의사결정 권한은 여전히 총부를 중심으로 중앙에 과하게 집중돼어 있으며, 청년세대가 배제된 채 이뤄지고 있다. 물론 사회의 시스템을 종교가에 그대로 적용하기 어려운 측면은 있지만 출가교화단 총단회나, 중앙교의회와 같이 교단의 중요한 논의·결의 기구에서 직접 목소리를 내는 것도 불가능하며, 결정자를 선출하는 과정에 참여하는 것조차 막혀 있다.

이는 각 정당들이 청년에게 비례의석 등을 할당하는 등의 변화를 모색하는 모습과도 대조된다. 이러한 의사결정구조 속에서 청년교화와 관련된 예산이 제자리걸음을 하거나 인재양성 보다 건물을 올리는 데 집중하는 현상들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일 수 있다.

청년·대학생의 중요성은 이구동성으로 이야기하지만 사실 교단에서 운영됐던 위원회 또는 각종 토론회에서 나온 안들을 살펴보면 이미 청년교화현장에서 겪고 있는 문제들에 대한 해법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안들을 실제 정책으로 만들어 힘 있게 추진하는 것은 의사결정권자들이 어디에 관심을 갖고 선택과 집중을 하는지에 달렸다. 결국 청년교화의 근본적 전환은 당사자가 직접 목소리를 내고, 대안을 마련하는 과정에 참여할 수 있어야 가능하다.

/여의도교당

[2018년 2월 2일자]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