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신문=임병학 교수] 셋째, 팔괘도(八卦圖)이지만 삼효(三爻)로 구성된 단괘(單卦)로만 그리지 않고, 육효(六爻)로 구성된 중괘(重卦)를 그리고 있다. 〈조선의 유사종교〉에서는 불법연구회의 팔괘기를 소개하면서 육효중괘로 그려진 그림을 소개하고 있다. 정역팔괘도도 중건(重乾)·중곤(重坤)의 뜻을 가진 이천(二天)과 칠지(七地)를 남북에 위치시켜 중괘가 됨을 그리고 있다. 물론 정역팔괘도 그림에서 이천과 십건천(十乾天), 칠지와 오곤지(五坤地)가 서로 중첩되어 육효중괘가 형성된다고 볼 수도 있다.

삼효단괘로 구성된 팔괘도는 천도인 사상(四象) 작용을 상징하는 것이라면, 육효중괘로 구성된 십수(十數) 팔괘도는 인도인 성명(性命)의 이치를 표상하는 철학적 의미를 담고 있다.

넷째, 팔괘기를 선후천의 문제로 논하지 않고 있다. 역학에서 처음 팔괘도의 철학적 의미를 논한 북송의 소강절(1011~1077)은 '복희선천팔괘도'와 '문왕후천팔괘도'라고 하여, 선천과 후천의 문제로 논한 이래에 팔괘도에 대한 논의는 모두 선후천이나 선천도(先天圖) 등의 논의에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정역〉에서는 팔괘도에서 '선천'과 '후천'이라는 말을 빼고 '복희팔괘도'와 '문왕팔괘도'라고 하였으며, 불법연구회에서도 이러한 의미로 사용하지 않고 있다. 이 문제는 역학의 선후천론에 있어서 굉장히 중요한 문제이다. 소강절이 복희선천팔괘도와 문왕후천팔괘도를 논하고, 자신은 천지의 질서가 잡힌 복희선천시대로 돌아가고 싶다고 하였는데, 근대 신종교의 후천개벽사상은 후천을 지향한다고 하였다. 

특히 〈정역〉에서 논하고 있는 3개의 팔괘도에 대하여, 복희팔괘도는 선천, 문왕팔괘도는 선천과 후천의 중간, 정역팔괘도는 후천을 상징한다고 하기도 하고, 복희팔괘도와 문왕팔괘도은 모두 선천, 정역팔괘도는 후천을 상징한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그런데 〈정역〉에서는 팔괘도를 선후천으로 언급한 사실이 없다.

다섯째, 팔괘도에 수를 배치하고 있는 것이다. 일원팔괘도에서는 구체적으로 수를 배치하고 있지는 않지만, 기도봉에 올라가서 기도한 9인 선진과 대종사가 일산(一山)에서 십산(十山)까지 배열하고 있다. 소강절은 팔괘도를 선천과 후천으로 논하면서 복희팔괘도는 8수까지 배정하였지만, 문왕팔괘도에는 수를 배정하지 않고 있다. 문왕팔괘도에 수를 배정한 것은 〈정역〉에 와서 이루어진 것이다. 물론 정역팔괘도는 십수팔괘도로 그리고 있다.

이상에서 불법연구회의 일원팔괘도는 〈정역〉의 정역팔괘도와 같은 맥락에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역학의 근본원리를 밝힌 정역팔괘도와 생멸없는 진리·인과보응의 진리를 밝힌 대종사의 일원팔괘도가 서로 소통됨을 알 수 있다. 

/원광대학교

[2018년 4월 20일자]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