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신문=이진수 교무] 우리나라 초기의 차 문화를 보여주는 일련의 기록들(충담사·보천과 효명 태자 이야기)은 승려들의 헌다(獻茶)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불교를 이끈 구산선문(九山禪門)의 개산조들은 거의 모두가 중국 강서 홍주의 마조도일 문하에서 수학했다는 공통점이 있는데, 강서 홍주의 선종은 중국에서도 선다(禪茶)문화의 본산에 해당하는 곳이었다. 

구산선문의 개산조들은 여기서 짧게는  10년, 길게는 30년 동안 불법을 익히고 돌아왔다. 따라서 이들이 불법과 더불어 다법을 전수하고 돌아와 구산선문을 열었을 것임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나말여초의 구산선문 개산과 더불어 시작된 우리의 음다문화에서 선다문화가 선도적 역할을 했으리라는 점은 그 정황이 뚜렷하다. 고려는 신라의 문화를 계승해 불교를 숭앙했으니 고려의 차 문화는 더욱 선다문화가 주도적인 역할을 했을 것이다. 

이는 고려의 가장 성대한 국가의례였던 연등회와 팔관회에서 헌다 행사가 매우 중요하게 다뤄졌음을 보아도 알 수 있다. 연등회와 팔관회는 건국 초기 태조의 훈요십조(訓要十條) 가운데 제6조에서 '연등은 부처님을 섬기는 것이고, 팔관은 천령(天靈)·오악(五嶽)과 명산(名山)·대천(大川)과 용신(龍神)을 섬기는 것이다. 훗날 간특한 신하가 더하거나 줄이자고 건의한다면 꼭 그것을 금지해야 한다'고 해 국가의 대사로 지낼 것을 훈유한 만큼 고려 일대에 걸쳐 엄격히 시행됐다. 

이 행사들은 여러 날에 걸쳐 제1부 편전 의식, 제2부 진설 및 좌정, 제3부 연회의 순서로 진행됐는데, 그중에서도 행사의 중심인 연회에서는 처음 왕에게 차와 꽃과 술을 올리면 이에 답으로 왕이 연회에 참석한 모든 사람들에게 차·꽃·술·과실을 하사하는 절차로 이뤄졌다. 나중에는 이 부분이 부처님 전에 향·등·차·쌀·과일·꽃을 올리는 육법공양(六法供養)으로 발전됐다. 

차 공양(茶供養)은 선종의 일상생활의 규범을 정한 청규에서 애초에 선사에서 의례화 됐다. 이렇듯 다례는 차생활과 관련해 형성되어 온 것이다. 국가 차원에서의 다례문화가 문헌에 나타나는 사례는 중국 사신을 맞아 궁정이나 지방관청에서 '다례'를 행한 것이나 왕세자가 스승과 관리를 모아놓고 경사(經史) 등을 복습하는 회강(會講)때도 차를 베풀어 마시는 '다례'를 행한 것 등이다. 

또 일상생활에서 예의를 갖추어 손님께 차를 대접하는 것 또한 '다례', 혹은 '차례'라 했는데, 궁중이나 사찰에서 다례로 불린 것이 오늘날 차례를 포함한 넓고 포괄적인 의미로 쓰인다. 우리나라의 의식다례는 의전다례와 제사다례를 포함한 헌다문화가 매우 발달했다. 

헌다는 고려시대 차 문화의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고려의 국가적 행사인 팔관회와 연등회, 조정의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일에도 차를 사용했다. 종교적 의식으로써 나타나는 다례는 신라의 화랑승인 충담선사가 삼화산 삼화령의 미륵불에서 3월3일과 9월9일에 헌다한 기록으로 〈삼국유사〉의 <경덕왕 충담사 표훈대덕>조에서 그 내용을 찾을 수 있다. 이보다 앞서 삼국시대의 헌다는 신문왕의 아들인 보천태자가 오대산 신성굴에서 50년 동안 문수보살에게 헌다해 수진했더니 결국 성불한다는 내용이 전해진다. 

고려 시대에 차는 승려뿐만 아니라 사대부 계층에서도 큰 인기를 끌었는데, 선승이 아닌 이들 사대부들조차 차와 선을 동시에 노래할 정도로 선다의 세계에 깊이 빠져 있었다. 조선의 개국 이후 차 문화는 전반적으로 쇠퇴의 길로 접어들게 됐는데, 차 문화의 쇠퇴에도 불구하고 차의 선적인 성격은 오히려 강화되기에 이르렀다. 안빈낙도와 은거를 택한 선비들의 경우에도 차와 선을 동일시하는 노래를 남기기도 했다. 

/원광디지털대학교 차문화경영학과 교수

[2018년 6월15일자]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