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최상위 교화단인 정수위단원 선거를 앞두고 후보자 추천에 대한 정당성 논란이 연일 불거지고 있다. 논란의 중심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선정된 후보자에 대한 추천 기준이고, 다른 하나는 재가출가의 동등한 선출 기회 보장이다. 이는 비단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정수위단원 선거 때마다 논쟁의 중심에 섰던 문제다.

12년 전 이맘때, 〈원불교신문〉을 자주 열람하게 된다. 당시 대중의 민심은 어떠했을까? 원기91년 9월3일 사회개벽교무단은 수위단원과 종법사 선거를 앞두고, '교단개혁을 바란다'는 성명서를 통해 교화침체를 극복할 교단혁신이 과감해지길 촉구했다. 그중 핵심사항은 교단지도체제(종법사·수위단·교정원)의 개혁이다. 

장기적 교화침체가 이어지고 있음에도 변화를 모색하지 않는 지도층의 모습을 개탄했다. 또한 교단의 중요정책이 장단기 교단발전계획에 의하지 않고, 그 때 그 때 영향력 있는 소수의 추진력에 의존하는 비합리적 교단운영의 후유증을 경계했다. 아쉽게도 교단은 크게 변한 게 없다.

12년 후, 재가교도들로 구성된 '교단발전담론회'에서는 지자본위 정신에 바탕한 수위단원 후보추천의 객관적 기준을 세워줄 것을 요청했다. 재가들의 정수위단원 후보 진입을 간절히 요망했으나 후보추천에서 배제하고도 교단은 이에 대한 명확한 답변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교단 지도부는 대중의 합력과 정신적 일치를 주장하지만 산적한 문제에 대해 여전히 미온적이고, 고답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 교단에 대한 애정과 충언들을 비판으로 치부하거나, "교단을 잘 몰라서 그런다"고 외면하고 있다. '한 사람 한 사람이 교단'이라는 사실을 망각해서는 안된다.

이렇게 누적된 불신은 교단개혁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대중과 약속하고 추진했던 교헌개정과 전무출신 후생복지, 정년연장 등의 인력수급 정책은 좌절됐다. 그 불씨를 언제 다시 살릴 수 있을 것인가? 더욱이 신앙과 수행풍토 조성보다 교화대불공만을 앞세우다 보니, 법위사정의 근본정신은 전도돼 있다. 우리는 무한책임을 져야 한다.

그럼에도 많은 이들이 교화·교육·자선·문화 등 각 현장에서 주인정신으로 최선을 다하고 있다. 타버린 재에도 뜨거운 불꽃이 살아있듯이 이들은 회상의 '교목세신(喬木世臣)'으로서 혁신의 동력을 만들어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장교화의 인재들은 이번 수위단원 후보에 온전히 반영되었는가? 대중은 "아니다"고 분명히 말한다.

우리는 이번 수위단원 선거에 희망을 건다. 교단 3대를 마감하고 4대를 열어가는 지금, 원불교의 화두는 '소태산 정신의 실현'이기에, 교단의 산적한 과제를 더 이상 미루지 않을 열정과 결단, 소통의 힘을 갖춘 인물을 반드시 선출해야 한다. 그럼에도 선거해야 하는 이유다.

[2018년 9월7일자]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