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신문=송상진 교무] 여러분이 만일 서구인들에게, 명상이라는 말을 들을 때 생각나는 것이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십중팔구 '조용한 장소에서 방석 위에 앉아 호흡에 집중하는 것'이라고 대답할 것이다. 우리가 펜실베니아대학교 학생들에게 동일한 질문을 한 적이 있는데 그들의 대답 역시 비슷했다.

"명상을 하는 이유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대해 어떤 학생은 "스트레스와 불안감을 줄이기 위해서"라고 대답했고, 다른 학생들은 "명상이 불필요한 생각을 없애준다"고 말했다. 그들의 답변은 한결같이 명상의 유익에 관해 공감하는 것이었는데, 모두들 명상은 앉아서 하는 자세로만 생각하고 있었다. 다시 말하면 그들은 자신의 명상 수행을 공부나 사회생활과는 분리된 것으로 간주하고 있었다. 

나는 매주 미주선학대학원대학교 교무들 몇 명과 함께 펜실베니아대학교를 찾아가 대학생과 대학원생들에게 마음공부 수업을 지도하고 있다. 지난주에는 그들에게 매우 중요한 질문을 하나 던졌다. "자, 여러분은 방금 앉아서 명상을 했는데요, 그러면 지금 스트레스에서 완전히 해방이 되었나요?" 학생들은 물끄러미 바라보면서 한참 있다가 이렇게 대답했다. "아니요" 우리가 말하고 싶은 것은, 자성의 원리를 터득하지 않고는 아무리 방석 위에 오랫동안 앉아있어도 스트레스나 불안감이 모두 해소되지는 않는다는 사실이다. 이런 말을 하면 학생들은 그제서야 우리말을 좀 더 들어보려고 몸을 기울인다. 

우리가 심지(心地)와 경계에 대해 좀 더 설명하기 시작하자 학생들의 관심이 더 커졌다. 학생들에게 지난 한 주를 되돌아보고 그들이 경험한 감각 상태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요청했다. 학생들이 하나둘 자신의 감각 상태에 관한 이야기를 털어놓기 시작했다. 수업 시간에 받은 스트레스나 혹은 남자친구 때문에 얻은 느낌 등이었다. 우리가 서로의 마음을 열어놓기 시작하자 약간 흥미로운 일이 일어났다. 우리들이 교법을 통해 마치 한 가족의 일원이 된 듯한 것이다. 더 중요한 것은 학생들이 명상을 단지 앉아서만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매 순간 할 수 있다는 점을 깨닫기 시작한 것이다. 

If you ask westerners what comes to mind when they hear the word meditation, most say 'sitting on a cushion in a quiet space, focusing on the breath' We asked a group of University of Pennsylvania students the same question, and their replies were similar.

When asked, "Why do you meditate?" Some replied, "To reduce my stress and anxiety." while others noted, "meditation helps me to reduce unnecessary thinking." And while all their answers supported the benefits of meditation, they relegated meditation to the seated posture. In other words, they separated their meditation practice from their academic and social life. 

Every week, a few kyomunims and I from the Won Institute of Graduate Studies visit University of Pennsylvania to lead meditation sessions for their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This week we asked a very important question, "So, you practice seated meditation? Are you totally stress-free now?" They looked at us, paused for a moment, and then replied, "No." The point we were trying to make is that unless you know the principles of the self-nature, no matter how long you sit on the cushion, it will not solve all your stress and anxiety. When they heard this, they started to lean in forward to hear more. 

When we started to explain more about the mind-ground and sensory conditions the students became more intrigued. We asked them to reflect on their week and share stories of sensory conditions they experienced. One-by-one students started to talk about a sensory condition due to a stressful class or a sensory condition with a boyfriend. As we started opening up to each other, something interesting started to happen- we were becoming a family through the dharma. More importantly, they were beginning to see that meditation should not just be practiced in the seated posture, but practiced from moment-to-moment. 

/미주선학대학원

[2018년 10월5일자]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