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신문=임병학 교수] 먼저 〈정역〉에서는 "태양이 항상(恒常)한 것은 성(性)이 온전하고 리(理)가 곧은 것이다.", "음을 누르고 양을 높이는 것은 선천 심법의 배움이고, 양을 조화롭게 하고 음을 조율하는 것은 후천 성리의 진리이다"라고 해, 성리를 일월의 근원인 태양·태음과 역학의 근본문제인 선천·후천의 이치로 논하고 있다. 이는 〈주역〉의 음양원리를 근거로 한 것으로 성리학의 입장과는 다른 것이다. 〈대종경〉에서 인과보응 되는 진리를 음양 상승으로 밝힌 것과 서로 통하고 있다.

성리품 1장의 마음 달(心月)을 〈정역〉으로 만나고자 한다. 〈정역〉에서는 "복상(復上)에 달이 일어나면 천심에 마땅하고, 황중(皇中)에 달이 일어나면 황심(皇心)에 마땅하다. 달이 복상에 일어나면 천심월(天心月)이고, 달이 황중에 일어나면 황심월(皇心月)이니, 하늘을 널리 감화하시는 화옹의 마음이 정녕코 황중월을 분부하심이로소이다"라고 해, 하늘의 달과 내 마음의 달을 밝히고 있다. 즉, 달의 작용이 복상에 일어나면 천심월이고, 내 마음 가운데에서 작용하면 황심월이며, 화옹은 변화를 주재하는 늙은이로 인격적 주재자이다. 황은 황극(皇極)으로 사람의 본성을 의미하기 때문에 황심월은 내 마음의 달이고, 천심월은 그대로 하늘의 마음 달이다.

〈대종경〉 제6 변의품에서는 "또 여쭙기를 '선성의 말씀에 일월과 성신은 천지 만물의 정령이라 한 바가 있사오니 사실로 그러하나이까.' 대종사 말씀하시기를 '그러하나니라'"라고 했다. 일월이 정령을 가진 존재이기 때문에 천심월과 황심월로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정역〉 '포도시(布圖詩)'에서는 "아주 먼 옛날의 빛나는 진리가 해와 달과 같이 밝으니, 한번 그림을 베푸니 우레와 바람이 나오는 것이다. 고요히 우주의 무중벽(无中碧)을 바라보니 누가 하늘의 일은 사람을 기다려 이룬다는 것을 알겠는가?(만고문장일월명 일장도획뇌풍생 정관우주무중벽 수식천공대인성, 萬古文章日月明 一張圖畵雷風生 靜觀宇宙无中碧 誰識天工待人成)"라고 해, 일월과 정역의 세계를 노래하고 있다. 

'만고문장일월명'은 대종사 대각 터에 세워진 '만고일월' 비와 같은 것으로 오랜 세월 속에서 진리가 밝게 드러났다는 것이고, '일장도획뇌풍생'에서 도획(圖畵)은 수리(數理)로 역도(易道)를 표상하는 하도낙서(河圖洛書)이고, 뇌풍도 우레·바람의 의미보다는 성인을 상징하는 뇌풍항괘(雷風恒卦)이기 때문에 한번 하도낙서가 베풀어짐에 성인이 탄강한다는 것이다. '무중벽'은 만변하는 우주 창공의 신비한 조화와 섭리를 말하는 것이고, '천공대인성'은 하늘의 일은 사람이 이루기를 기다린다고 할 수 있다. 마음과 마음이 서로 이어져 있다는 '심심상연'과 마음의 달이 서로 비치는 '심월상조'를 〈정역〉으로 보면, 천심월과 황심월이 상연·상조하는 것이고, 또 나와 너의 황중월이 천심월과 합일할 때 서로 연하고 비치게 되는 것이다. 마음공부는 천심월을 따르는 훈련이다. 

/원광대학교·도안교당

[2019년 1월18일자]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