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위단원, 신앙수행 모범 돼야
104~106 교정정책 심의 치열
미주총부 교화체제 구축 논의

제237회 임시수위단회 최고 쟁점사안은 정수위단회 위상 확립과 104~106 교정정책 심의였다.

먼저 정수위단은 〈교헌〉상 '최상위 교화단'이라 밝혀져 있음에도 '각단(角團)'이라는 틀 속에 그 위상을 찾지 못하고 있었다. 이번 임시수위단회에서는 매달 정수위단회(약칭 정단회)를 개최함으로써 교단의 신앙수행의 풍토를 모범적으로 정착시키는데 의지를 모았다.

김도훈 단원은 "그동안 교화단 조직이 위에서 아래로 확대되는 것으로 생각했는데, 이번 논의를 통해서 아래에서 위로 쌓여 확장되는 개념을 이해하게 됐다"며 하향식 조단이 아닌 상향식 조단이 대종사의 경륜임을 설명했다. 이로써 향후 최상위 교화단은 정수위단, 최하위 교화단은 각단, 그 상위단은 28수에 따라 호칭하게 된다.

반면 조제민 단원은 "교화단은 원불교 교화의 가장 핵심적 조직임에도 지난 100년간 잘못 인식하고 있다가 수위단회에서 급하게 개정하는 것은 교도들에게 오해와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며 보다 심층적인 학문적 접근과 대중과의 소통을 거쳐야 함을 주문했다.
김경일 중앙단원은 "원기16년 〈불법연구회 통치조단규약〉이 발간됐던 그 시점은 일제강점기였으며, 이후 해방과 한국전쟁 등으로 교화단 조직을 제대로 운영해 보지 못했다"며 "단순히 조문이 바뀌는데 있지 않고 정수위단원이 최상위 교화단이라는 교헌의 내용을 온전히 실행하자는데 의의가 있다"고 첨언했다. ▷표1~표3 참조

표 1. 개정전-현행 하향식 교화단 구조
표 2. 개정후-상향식 교화단 구조 〈통치조단규약〉
표 3. 〈불법연구회 통치조단규약〉의 조직도와 통제도에서는 10인 1단의 조직 원리와 각(角)장 위주의 지도로 운영했고, 1각장에서 9각장이 이뤄지면 1항장의 조직이라는 원칙을 밝히고 있다.

104~106년 교정정책 심의는 휴회와 속개를 반복하면서 치열한 논의가 펼쳐졌다. 이건종 기획실장은 "교단 혁신과제 실현을 위해 단순히 3년 교정을 넘어서 향후 6년간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한 정책을 구상했다"며 교정정책의 핵심가치는 사람, 미래, 혁신으로써 활불 도덕공동체 구현을 지향하며, 청소년과 미래세대 교화, 훈련·역량강화, 새로운 교단체제 구축 등 의욕적인 비전을 제시했다.

단원들은 핵심 키워드에는 큰 지지와 높은 평가를 보냈으나, 세부 목표와 실천사항에 있어 장시간 토의를 이어갔다. 

가장 큰 쟁점은 훈련·역량강화에 있어 '재가교무' 제도 마련과 새로운 교단체계에서 '교화자치 소교구제', '행정자치 대교구제'의 교구편제 편성 방향에 단원들의 찬반이 나눠졌다. 또한 미주총부 교화체제 완성이라는 부분에서 현 교정원의 의지가 너무 앞서갔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이는 미추총부 자치교헌 제정은 인정하지만 미주총부 종법사 선출 및 미주총부 수위단회 구성은 아직 시기상조라는 것이다.

오도철 단원은 "교정원장으로서 정책의 구체화 과정을 거치고 있음을 밝힌다"며 "이번 교정원은 경산상사의 교단경륜을 그대로 이어감으로써 정책기조를 일관되게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 단원은 "생활권 중심과 지방자치 제도와 맞춰 교구를 편제하다 보니 현재와 같은 문제의식이 발생한다"며 현장 의견을 충분히 소통하면서 해답을 찾을 것을 약속했다. 아울러 미주총부와 관련해서는 이미 <교헌>에 정한 바가 있으며, 미주지역의 교당과 기관의 재정 및 인적자원이 독립할 수 있는 규모가 마련됐음을 밝혔다. 

사영인 국제부장은 "미주교화 50여 년, 선학대학원 18년, 원다르마센터 9년 등 법인체계 정비와 통일에 만전을 기했다"며 "특히 12년 전부터는 법제위원회를 구성, 국제교화의 틀에 맞춰 준비하는 등 충분한 논의 과정을 거쳐왔다"고 현 교정원의 확고한 의지를 내비쳤다.

이에 단원들은 '미주총부 교화체제 완성'을 '미주총부 교화체제 구축'으로 다소 숨고르기 과정과 공청회 등 의견수렴 과정을 충실히 거치면서 추진동력을 만들어  가기로 협의했다.

[2019년 1월18일자]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