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한 걸작들 가운데에는 말하고 싶은 주제나 세상의 날카로운 통찰력을 서두 첫 줄에 쓰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예가 톨스토이가 쓴 〈안나 카레리나〉인데, '행복한 가정은 모두 엇비슷하고, 불행한 가정은 불행한 이유가 제각기 다르다'가 시작이다. 건강, 경제, 화목 등 잘되는 가정은 다들 비슷하고 일률적인 이유들이 있지만, 불행한 가정은 그 이유가 천차만별이라는 이야기이다.

〈안나 카레리나〉의 주인공도 러시아 정계 최고 정치가인 남편과 사랑스러운 아들이 있어 남부러울 것 없는 행복한 가정의 일률적인 요소를 두루 갖췄다. 그러나 안나 카레리나가 종국에 비참한 최후로 치닫게 된 이유는 톨스토이의 말처럼 모든 가정들이 불행하게 된 공통적인 요소는 아니었다. 안정된 가정을 버리고 위험한 사랑에 따라나선 그의 선택은 행복이 불행으로 바뀔 수 밖에 없게 만든 비극임은 분명하지만, 모든 가정들이 이같은 이유로 불행을 겪고 있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총, 균, 쇠>의 저자 제레드 다이아몬드는 이러한 교훈을 '안나 카레니라 법칙'이라 정의하면서 "흔히 성공의 이유를 한 가지 요소에서 찾으려 하지만 실제 어떤 일에서 성공을 거두려면 먼저 수많은 실패 원인을 피할 수 있어야 한다"는 통찰을 제시한다. 이는 성공과 실패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이루기 때문에 성공하려면 실패될 요소를 알아야 하고, 실패를 면하려면 성공될 요소를 제대로 알아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때문에 최초법어 '제가의 요법'에서 소태산은 어찌하여 '과거와 현재의 모든 가정이 어떠한 희망과 어떠한 방법으로 안락한 가정이 되었으며, 실패한 가정이 되었는가 참조하기를 주의할 것이니라'며 안락한 가정과 실패한 가정 모두를 궁구하라고 했는지 그 의미를 새삼스레 깨닫게 한다.

현재 논의 중인 정남·정녀 규정 개정이나 전무출신 품과제도 개선 및 호칭 단일화, 정년연장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런 점들이 내부적으로 오랫동안 제기돼 왔던 문제임에도 제대로 주목하지 않은 채, 성공 기준으로 보이기에 충분한 외연 확장이나 교도수 늘리기에 집중해 왔다. 그러나 이제는 한계에 다다랐다. 실패하고 불행한 가정들이 가졌던 천차만별의 요소를 철저히 검증하고 극복하는 바탕없이, 성공하고 행복한 가정으로 직행하는 지름길이란 없듯이 말이다.

이제 과거와 현재 모든 종교와 국가가 융성할 때는 그 이유가 무엇 때문이었고, 망할때는 그 이유가 무엇이었는지 곰곰이 생각해 볼때다. 융성한 이유들이야 대개 엇비슷하지만, 융성하게 된 계기 이면에는 제각각 지녔던 고질적인 문제들을 극복함으로써 비롯됐다는 점을 말이다. 

[2019년 5월10일자]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