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보다는 '어떤 마음으로'가 중요
일어나는 마음으로 공부하면 화해는 되어지는 것

[원불교신문=오덕진 교무] 소태산 대종사께서 가르쳐주신 마음을 사용하는 방법은 각자의 근기와 경우에 따라 각각 그에 맞는 법으로 마음 기틀을 계발하는 공부입니다. 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내 마음으로 공부하고 일일이 문답하고 지도인에게 감정과 해오를 얻으며, 내 삶을 산 경전과 큰 경전으로 삼는 공부이기에 대종사께서는 우리의 공부는 맞춤복이라고 하셨습니다.

▷공부인: 제가 어렸을 때 아버지는 전제군주였어요. 가족이 모두 아버지 말을 따라야 했죠. 아버지가 싫어요. 그런데 아버지가 아프십니다. 이제는 묵은 감정을 풀어야할 것만 같은데 아버지 앞에만 서면 몸도 마음도 굳어버려요. 

▶지도인: 아버지와 화해하고 싶군요. 하지만 화해하고 싶다는 그 마음에 집착하면 ○○공부인의 마음도 아버지의 마음도 제대로 만나지 못할 수 있어요. 

▷공부인: 화해하고 싶은 그 마음이 오히려 화해를 방해하고 있다는 건가요? 

▶지도인: 화해해야겠다는 마음이 잘못된 것은 아니지만 그 마음에 집착하면 오히려 관계가 더 멀어질 수 있어요. 화해하지 못하는 상황이 반복되면 화해할 수 없다고 포기해버릴 수 있거든요. 

▷공부인: 지금 제 마음이 딱 그 상태인 것 같아요. 관계를 풀어보려고 해도 막상 아버지만 생각하면 답답해지거든요. 그러니 뵈러 가는 것도 꺼려지더라고요. 어떻게 하면 될까요?

▶지도인: '어떻게'보다는 '어떤 마음으로'가 중요해요. 아버지가 떠올랐을 때, 아버지를 만났을 때 일어나는 마음으로 공부하면 화해는 되어지는 겁니다. 아버지를 만나러 가려고 하면 답답한 마음이 나올 때마다 "○○의 심지는 원래 답답하다, 답답하지 않다는 분별이 없건마는 아버지를 만나는 경계를 따라 답답하다는 분별이 있어졌구나", "○○의 심지는 원래 아버지와 화해해야겠다, 화해하지 않겠다는 분별이 없건마는 아버지가 아프신 경계를 따라 아버지와 화해해야겠다는 분별이 있어졌구나"하고 마음 작용을 있는 그대로 읽어주면 됩니다.

▷공부인: '분별'이라는 말이 새롭게 다가오네요. 경계를 대하기 전에는 분별하는 마음이 있는지 없는지도 모르다 경계를 대하면 분별이 나타나는 것이 마음작용이군요. 하긴 제가 24시간 내내 아버지가 전제군주라고, 답답하다고 분별하는 것도 아니네요. 분별하는 마음이 있는지 없는지도 모르다가 경계를 따라 있어지는 마음의 작용이 신기해요.

▶지도인: 반가운 소식이네요. ○○공부인이 자신의 마음 작용을 묘하다고 느꼈으니! 이제는 어떤 마음 작용이 일어나도 그 마음 작용을 두려워하지 않고, 그 묘함을 느낄 수 있을 거예요. 

▷공부인:'분별이 있다, 없다'하는 것을 알지 못하고 어떤 분별이 일어나면 압도당해서 두려워했던 것 같아요. 답답하기 싫고, 아버지의 권위에 눌리는 게 싫고, 싫다는 마음마저도 싫었던 게 보여요.

▶지도인: '분별이 있다, 없다'하는 것을 알아차리게 되면 내 마음 작용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고, 아버지의 모습도 있는 그대로 보일 거예요.

▷공부인: 어머니께서 아버지가 참 고마운 사람이라고, 외가에서 거액의 빚을 졌는데 아버지가 그 빚을 평생 갚으셨고, 가족들 먹여 살리셨다고 하셨어요. 어쩌면 지금까지 제가 아버지를 있는 그대로 만나지 못하고 있는 것 같아요. 

▶지도인: 소태산 대종사께서 "영원히 참회 개과하는 사람은 능히 상생 상극의 업력을 벗어나서 죄복을 자유로 할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정전〉 참회문). '영원히'는 '경계를 대할 때마다'와 같은 뜻입니다. 아버지를 있는 그대로 만나지 못했다고 자책하는 마음도 원래는 없건마는 경계 따라 있어진 분별입니다. 분별이 있어질 때마다 잊지 않고 '원래는 없건마는 경계 따라 있어진 분별이구나.' 대조하면 됩니다. 아버지를 있는 그대로 보는 것도 자기 생각보다는 "아버지의 심지는 원래 전제군주다, 아니다하는 분별이 없건마는 경계를 따라 전제군주일 때도 있고, 가족을 위해 헌신한 가장이기도 하구나"하고 대조하면 좋겠습니다.

/교화훈련부

[2019년 10월18일자]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