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길튼 교무

[원불교신문=방길튼 교무] ‘일원상서원문’의 결론은 “일원의 위력을 얻도록 까지 서원하고 일원의 체성에 합하도록 까지 서원함”이다. 일원의 위력을 얻는 것은 유상(有常)에 바탕해 무상한 무량세계를 잘 운영하는 것이라면, 일원의 체성에 합하는 것은 무상(無常)한 중에도 유상한 무량세계에 하나 되는 것이다. 즉 일원의 위력을 얻는 것은 유상한 불변의 자리에 바탕해 진·강급과 은생어해 해생어은으로 변화하는 무상한 무량세계에서 진급이 되고 은혜 입도록 운용하는 것이라면, 일원의 체성에 합하는 것은 진·강급과 은생어해 해생어은으로 변화하는 무상한 변화 세계에서 불변하는 유상한 무량세계를 체득하는 것이다. 

이처럼 일원의 체성은 일원의 위력으로 발현하며, 일원의 위력은 일원의 체성에 기반한다. 유상에 바탕하여 무상하면 일원의 위력을 얻는 것이며, 무상을 떠나지 않고 유상하면 일원의 체성에 합하는 것이다. 일원의 위력과 일원의 체성은 일원으로 원융자재 하는 한 자리이다. 

능이성 유상하고 능이성 무상한 법신불 일원상을 체받아서 심신을 원만하게 수호하는 공부와 사리를 원만하게 아는 공부와 심신을 원만하게 사용하는 공부를 간단없이 지성으로 하여, 능히 상주불멸로 여여자연한 불생불멸의 유상 자리에 바탕하여 진급이 되고 은혜를 입는 무상한 무량세계를 전개하는 것은 일원의 위력을 얻도록 까지 서원하는 것이라면, 진급·강급으로 변동하고 은혜와 해독으로 파도치는 인과보응의 무상한 중에도 상주불멸로 여여자연한 유상 자리에 그쳐 있는 것은 일원의 체성에 합하도록까지 서원하는 것이다. 유상으로 무상하고 무상 중에 유상하라는 것이다. 

해독을 입는 상황이나 강급이 되는 상황에서도 이에 퇴굴하지 않고 진급이 되고 은혜를 입도록 나아가는 공부가 일원의 위력을 얻는 것이라면, 진급이 되고 은혜를 입어도 이에 규정되지 아니하며, 설사 강급이 되고 해독을 입는다 해도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는 공부가 일원의 체성에 합하는 것이다. 또한 언어도단의 입정처요 유무초월의 생사문인 일원상의 진리를 발휘하는 것은 일원의 위력을 얻는 것이며, 이러한 일원상의 진리에 합일해 있는 것은 일원의 체성에 합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한 천지·부모·동포·법률의 본원이요 제불·조사·범부·중생의 성품인 일원상을 발현하는 것은 일원의 위력을 얻는 것이며, 이 일원상 자리에 바탕해 있는 것은 일원의 체성에 합하는 것이다. 일원의 위력과 체성은 한 두렷한 자리의 양면인 것이다.

정산종사법설에서는 일원의 위력을 얻는 것은 심신을 원만하게 수호하고 사리를 원만하게 알고 심신을 원만하게 사용하는 삼학공부로 차차 삼대력을 얻어 나아가 필경은 매매사사에 철주 같은 삼대력을 얻어 이 삼대력으로 일체중생을 제도하여 육도를 자유하는 것이라면, 일원의 체성에 합하는 것은 삼대력을 완전히 얻어 사념망상을 떠나 원만구족의 정(定)에 들며 매사에 일심불란하여 지공무사한 마음자리를 가짐이라 밝히고 있다.

/나주교당

[2020년 3월 13일자]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