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과 공동체 회복

중앙총부는 교정·감찰원과 수위단 등 교단의 중요 행정기관과 신앙공간을 포함해 교육·문화·수양시설 등이 갖추어진 종교타운이다. 경관도 뛰어나 현재 중앙총부는 160여종 1만본의 나무와 군식된 야생화만 30여종 1만2천본이다.

그러나 개방된 간접교화장으로서의 역할이 미약해졌고, 신앙공간으로서도 과거의 흔적들만 간직한 사적지로 정체되어 있다. 순례객들은 성탑, 영모전, 박물관, 대각전 등 몇 몇 랜드마크적 요소들을 잇는 동선이 단조롭고 종교적 분위기가 부족하다고 호소한다.

최근 예비교무들의 생활공간인 학림사와 정화원이 이전 신축을 함에 따라 외관상의 총부는 더욱 넓어지고, 총부의 공간활용이나 배치에 더욱 활기를 띠게 됐다. 전체적인 환경조성은 종합발전계획에 의거하여 진행되어야 하나 경제·사회적 문제 때문에 비공개로 다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건축사업을 하나씩 진행시켜 갈 때 마다 사회의 일반적인 흐름에 따라 경관에 종교성을 확보하고, 교리적 개념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야 한다.

또 중앙총부에는 예비교무와 현직교무, 퇴임교무, 원로교도가 공동체를 이루며 살고 있다. 하지만 교단이 커지고 영역의 전문성이 강화되자 점차 예전의 공동체 모습을 잃어가기 시작했다. 형태만 공동체로 남아있는 중앙총부의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중 하나는 이들의 유기적인 공동체 프로그램을 만들어 진정한 공동체로서의 모습을 회복하는 것이다.

행정기능 서울이전

원기80년 총회를 앞두고 원불교사회개벽교무단이 교무회의 안건으로 ‘교정원 일부 부서의 서울 이전’을 공식 안건으로 접수했다.

우리나라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자 수도권은 인구의 절반이 사는 곳인데 교단의 행정기구가 지방에 있어 시대의 흐름을 잡지 못한다는 것이 그 전제였다. 또 교정원의 서울 이전이 중앙총부의 서울 이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사회적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문화부·기획실·국제부·교화부·교화연구소 등 교정원 일부부서와 원불교신문사·월간원광·원불교청년회 등 기관을 중심으로 한 단계별 이전이 필요함을 역설했다.

그 해 11월 3∼4일 열린 교무회의에서는 찬성론과 더불어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굳이 이전이 필요하지 않다는 반대론이 팽팽히 맞섰고, 서울을 대교구로 하자는 의견도 개진되었다.

이같은 노력의 결실로 교정원 문화사회부와 원청 사무실의 서울 이전이 원기86년 실행되었다.

그러나 이후에 총회를 앞두고 재가의원들도 꾸준히 총부 행정기능의 서울이전을 주장했다. 이같은 주장은 최근 국토균형발전론에 기초한 행정신도시 건설과 혁신도시 건설 등 국가발전 계획과 맞물려 주춤한 상태이다.

하지만 인구와 정치·경제가 밀집되어 있는 서울로의 행정기능을 이전하자는 주장은 현재의 교화침체를 벗어나야 한다는 위기론과 맞물려 힘을 얻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개교100주년을 앞두고, 차기 교정팀이 풀어내야 할 난제중 하나이다.

중앙총부 조직개편

지난해 10월 서둘러 진행되던 교정원 조직개편은 지난 2월9일 열린 수위단 의장단협의회를 통해 논의가 일시 중지되었다.

의장단협의회는 조만간 행정구역이 개편되면 이에 맞추어 교구편제를 새로이 하고, 개교100주년을 앞두고 교구 자치화를 완성시키는 것이 급선무라는 판단을 내렸다. 교정원 조직개편은 그 이후 추진되어야 할 사항이므로 교단의 장기과제로 전환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교화정체가 장기간 지속되자 최근 교단의 개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기 시작했다. 교단의 존재이유는 전법과 교화인데 그 핵심인 교화가 최근 15년간 전혀 나아지지 않자 교단의 전반적인 체질개선 요구가 힘을 얻고 있다. 또 교화침체기에 대중의 의견수렴 기능이 약화되고 소수의 지도력에 의해 교단운영이 되었다는 점도 이 주장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따라서 교정원을 비롯해 중앙총부의 전체적인 조직을 새롭게 개편하는 것은 더 이상 미룰 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국가시책을 살펴 교단정책을 수립하기에는 현재의 교화침체가 출재가 대중 모두에게 지나친 위기감을 안겨주기 때문이다.

중앙총부 출발과 더불어 시작되고 계속 변화해온 조직개편, 개교100주년을 앞두고 교화성장을 위해서도 더 이상 미룰 일은 아니다.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