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대종사 말씀하시기를 ‘내가 그대들에게 일상 수행의 요법을 조석으로 외게하는 것은 그 글만 외라는 것이 아니요, 그 뜻을 새겨서 마음에 대조하라는 것이니, 대체로는 날로 한번씩 대조하고 세밀이는 경계를 대할 때마다 잘 살피라는 것이라, 곧 심지(心地) 에 요란함이 있었는가 없었는가, 심지에 어리석음이 있었는가 없었는가, 심지에 그름이 있었는가 없었는가, 신, 분, 의, 성의 추진이 있었는가 없었는가, 감사생활을 하였는가 못하였는가, 자력생활을 하였는가 못하였는가, 성심으로 배웠는가 못 배웠는가, 성심으로 가르쳤는가 못 가르쳤는가, 남에게 유익을 주었는가 못 주었는가를 대조하고 또 대조하며 챙기고 또 챙겨서 필경은 챙기지 아니하여도 저절로 되어지는 경지에까지 도달하라함이니라, 사람의 마음은 지극히 미묘하여 잡으면 있어지고 놓으면 없어진다 하였나니, 챙기지 아니하고 어찌 그 마음을 닦을 수 있으리요. 그러므로 나는 또한 이 챙기는 마음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상시 응용 주의 사항과 교당 내왕시 주의 사항을 정하였고 그것을 조사하기 위하여 일기법을 두어 물샐 틈 없이 그 수행 방법을 지도 하였나니 그대들은 이루 속히 초범 입성의 큰일을 성취할지어다.

<강의> 현재 인간의 상태를 살펴보면 항시 욕구불만을 가지고 한량없는 욕심으로 餓鬼道的 樣相을 가지고 있어 만족할 줄을 모르는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사람은 기계와 달라서 그저 그대로 움직여지는 물질이 아닙니다.

도리어 물질을 사용하는 능력을 가진 것이기 때문에 물질에게 사용을 당해서는 안 되는 존재인데도 오늘날 사람들은 물질의 노예가 되어서 물질의 부림을 당하고 살게 되었습니다. 사람은 천박한 물질생활에 행복감을 갖는다든지 자기만 亭樂하면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어서는 안 되는 것이며 인간의 사명감을 가지고 일을 해야 하는데 사명감을 가지고 가정에서 직장에서 국제간에 행동하는 사람이 아주 적습니다. 모든 사람들이 이런 것 저런 것 천박한 지식을 많이 가지고 있으나 참 인간의 본질을 알려고 하지 않으며 어떻게 살아야 하느냐를 철저히 연 하지도 않습니다. 인간은 문자 그대로 사람과 사람끼리 서로 믿고 도우며 깊은 애정을 가지고 살지 못하고 서로 무관심하고 버티고 불신하며 애정이 메마른체 살아가고 있습니다.

우리 인간은 천지의, 일체만물의 도움으로 살고 서로 은혜를 입고 살고 있지마는 그것을 忘却하고 미워하고 질투하고 원망하며 함부로 하고 있습니다. 옛날 어떤 소년이 자기 아버지가 뱀을 기르는데 개구리를 잡아 먹이는 것을 보고 참아 볼 수가 없어 뱀을 기르지 말자고 말했다 합니다. 그 아버지가 듣지 아니하니까 나는 일체의 생선 肉類를 먹지 않겠다고 결심했다는 말을 아버지에게 했습니다. 그 아버지는 저 野菜類도 다 생명이 있는 것이라고 의미 있게 말했다고 합니다. 그때 그 소년은 크게 느꼈다고 합니다. 우주의 일체만물이 다 나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는 것을 알고 그때부터 비단 동물뿐아니라 일체만물에 대해서 감사하다는 생각을 갖고 생활을 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우리는 이것을 모르고 서로 원망하고만 있습니다. 현재 이러한 인간생활을 하고 있는 한 이 지상에는 행복과 평화와 질서 조화는 이루어지지 못할 것입니다. 이 생활을 돌리는 운동을 적극적으로 너도나도 해서 인간이 사는 인간다운 세상을 만들어야 인간의 사명을 다했다고 보겠습니다.

우리가 恒時 외우고 있는 일상수행의 요법은 우리의 현재생활을 돌리는 요법인 것입니다. 정신수양?사리연구?작업취사 이 三대강령으로 자심 수양을 해서 인생의 요도 사은 사요를 사회생활에서 실천하는 사람이 되도록 하기 위해 쉬운 말이지마는 항시 외우고 있는 것입니다.

이것이 입으로 외우기만 한다면 아무 소용이 없는 것이며 또 의식의 일종같이 생각되어 버리면 무용한 일이 되고마는 것입니다. 우리가 자꾸 외운다는 것은 명심하고 그대로 되기까지 노력하자는 질문을 하면서 읽어야하겠습니다. 글씨 하나만 잘 쓴다해도 수천 번을 써야 하는데 일상수행의 요법을 실천하는데는 한없이 계속적으로 노력해야 될 것입니다.

황벽선사가 매일 천 번씩 불전에 예배를 올려서 이마에 혹이 생겼다고 하는데 그리해서 비로서 황벽과 같은 위대한 인격이 이루어진 것입니다. 서가모니불도 장차 오시게될 미륵불과 같이 沙佛下에서 수행을 했는데 어떻게 精進을 했던지 百劫을 超劫해서 성불을 했다고 합니다. 우리는 이 일상수행의 요법 9조를 실천하기 위해서 매일 매일 그 정신을 바꾸기 위해서 자꾸 돌리는 수행을 게을리 해서는 안되겠습니다. 경계를 따라 어지러워지는 마음, 경계를 따라 어리석어지는 마음, 경계를 따라 잘못이 생하는 그런 정신을 자꾸 돌려서 수양 연구 취사의 삼대력을 갖추어야 하겠으며, 원망생활과 의뢰생활 이기적인 생각을 자꾸 돌려서 감사생활 자력생활 이타생활을 하도록 되어져야 하겠습니다. 그렇게 된다면 자신은 이 세상에 난 보람을 하며 有意義한 생활이 될 것이며 세상은 자연 평화 안락한 낙원이 될 것은 사실입니다.

종교생활 또는 도덕생활이란 매일 반성하고 참회하는 생활인 것입니다. 이리해서 기질이 변화해져야 그러한 생활한 보람이 있지 항시 기질 변화가 없다면 무의미한 행사에 지나지 않는 것입니다.

공자님 같은 분도 칠십이 되어서야 마음대로 해도 절도를 벗어나지 안 하는 경지에 갔다고 하는데 우리 凡人들은 일평생을 두고 자꾸 노력해야 될 줄 압니다.

우리 마음이란 변화무쌍해서 항상 정신을 차려 챙기지 아니하면 본심이 어디로 가버리고 말며 욕심이 항시 앞을 가리는 것이니 시시각각으로 챙기는 공부를 해서 본심이 힘을 얻도록까지 되어야 하겠습니다. 그렇게 되기 위해서 시간이 있는 대로 경전을 연마하고 염불과 좌선을 하라고 하시고 매사를 하기 전에 미리 그 일에 대해서 연마하고 일을 할 때에는 온전한 생각으로 취사하며 일이 끝난 후에는 대조 해보는 습관을 들이도록 하라고 하시었습니다.(상시응용주의사항) 또 시간 있는 대로 교당에 나가서 禪공부를 하며 의심난 사항이라든지 감상된 일에 대해서 의견 교환을 하라고 하시고 교당에 다녀간 후에는 소득이 있었는가 반조 해보라고 하시었습니다.(교당내왕시 주의사항) 또 일기법을 실행시켜 당일의 유념 행위와 무념 행위 수를 기재하고 戒文의 범과와 학습시간 당일내 수입지출 상황을 기재하며 감상된 것을 기록해 두는 것을 잊지 않도록 하라고 하시었습니다.(일기법) 이것이 다 본심이 힘을 얻는 방법인 것입니다.

중 한명 제도하는 것이 俗人 千名 제도하기 보다 어렵다는 선인들의 말씀이 있는데 그 말은 중은 잘못하면 부처님 말씀을 그저 으례히 하는 소리하고 들어 넘겨 버리고 마음 깊이 새겨서 듣고 실천 해 볼려는 마음이 강하지 못하기 때문에 수백번 불경을 외워도 별 효과가 없게 되지마는 속인은 부처님 말씀을 다만 몇 말씀이라도 들으면 그것을 마음 깊이 믿고 실천 해 볼려고 노력하기 때문에 효력을 보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말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우리는 읽고만 넘길 것이 아니라 항상 본심 챙기는 공부를 해서 본심이 우리를 지배할 수 있게 되어야 하겠으며 나아가서는 챙기지 안는 경지에 갈 때까지 힘을 다해야 하겠습니다. 그러면 범부의 생활이 변해서 성자의 생활이 될 것입니다.


崇山 朴光田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