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추모의 달」을 맞이하여

6월1일은 6.1대재. 올 6월1일은 소태산 대종사께서 열반상을 나토신지 41년이 되는 해다. 대종사께서 열반하신 해는 2차대전 종전 2년을 앞둔 1943년, 일제말의 암흑기, 대종사는 세수 53세를 일기로 이 사바세계를 떠나셨으니 인명의 공산으로 볼 때에는 아직 돌아가시지 않을 수명이며 지금 생존해 계신다면 94세의 정정한 노경을 누리고 계실 것이다.
일반적인 관례가 30년을 한 대로 치는데 그렇다면 대종사 가신지 41년은 이 한 대를 훨씬 넘어서버린 세월이다. 교단창립 제1대를 지나 제2대의 말을 향하고 있는 이 회상에는 이제 대종사를 모시고 살아왔던 당대의 친수법제자인 원로선진 몇몇분이 계시고 또 당시 십오륙세, 십칠팔세의 소년으로 입참하여 대종사를 친견한 선배들도 몇분 안되는 처지에서 참으로 지금 살아계시는 대종사의 모습, 그 체취와 동정을 그윽히 살펴가며 실체적 이미지를 듣고 보기에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 분들에게서 공식 혹은 비공식적으로 종종 듣게되는 「추모담」은 언제 들어도 새로운 감동을 불러일으켜 주지만 거기에도 한계라는 것이 없지 않을 수가 없다. 그러나 물론, 1세기에도 채 못미치고 있는 원불교 교단사는 아직도 교조시대의 원형적, 토착적인 분위기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원기 60년대 초에 중앙총부를 방문하게 된 해외불교계의 한 석학은 그 후 일본에서 열린 한 국제학술 모임에서 그 감상을 이렇게 피력한 적이 있었다. 「.....원불교 중앙총부에는 종법사를 비롯하여 대종사 당대의 직제자들이 아직도 건재하며 대종사 재세시의 새 회상, 새 부처님의 언행이나 일상생활이 지금도 생생하게 재현되고 있다. 이처럼 복받은 교단, 복받은 교도들이 또 어디 있겠는가 하는 부러움마저 앞서기도 했다. 젊다고 하는 것은 거기에 설령 거친데가 있다손 치더라도 그에게 눈부신 미래가 약속돼 있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으며 원불교의 장래에 큰 기대를 걸 수 있다고 단언한다. ―」초기 교단의 신선한 긍지를 매우 부러운 눈으로 관찰하고 깊은 감명을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미 다 알고 잇는 바와같이 대종사께서는 이 세상에서 오래동안 살고 가신것도 아니고 개교시대도 길지않은 28년이며 대종사 생애의 역사적 배경도 식민지 시대에 갖은 고난 다 겪으시며 사시다가 별 수 없이 식민지 시대 바로 그 안에서 돌아가시고 말았다는 사실에 대하여 우리는 깊은 뜻을 읽지 않으면 안된다. 우리는 5천년 이래 처음있는 인간혼이 단절된 36년의 수난기를 겪은 것을 비롯하여 이 단절의 시대, 단절의 땅에서부터 시작된 대종사의 역사적 대각과 원불교의 개교는 격변하는 20세기로 이어지는 그 총체적인 역사와 함께 오늘날 더욱 심화되는 동서불열과 남북분단의 이 처절한 현장을 모조리 照用하고 모조리 사로잡는 이 세상 대명천지의 진리의 횃불이라는 것을 자각하지 않으면 안된다. 물론 아직은 천단한 원불교 전통이면서도 이것은 결코 어느 특정인의 뛰어난 창작에 의하여 이뤄진 것이 아니라는 것, 그것은 대종사의 역사적 대각을 통하여 무시광겁으로부터 일체생령의 염원이 쉬지않고 끊임없이 두루 섭용하여 온 역사적 공동체 의식, 그 총화적 상징인 것을 깨달아야 한다.
대종사는 임 새 시대의 결실을 위하여 불시에 가셨지만 진리의 뜻은 그 열매를 끊임없이 거둬들이고 있다. 우리는 대종사 가신 뜻을 새기며 그 말씀을 생활하지 않으면 안된다.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