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충고와 비판을

 관중 1천명 이상, 강연 시간 3시단, 단독 포스터 프로그램, 강연 쇼묘프린트, 조건이 많고 까다롭기로 유명한 동양철학자이며 사상가인 도올 김용옥 박사의 강연을 너섬 청년들이 청탁하러 갔을 때, 자신은 이미 외인이 아니니 너무 강연료 때문에 걱정을 하지 말라고 오히려 격려를 아끼지 않았다는 말을 전해듣고 이 시대의 기인이며 천재이고 괴짜인 선생을 강연 전에 꼭 한번 만나보고 싶었다.
의외로 그 기회가 빨리 찾아왔다. 지난 9월 15일, 노환으로 자리하시던 도올 선생의 아버님이 열반에 드셨다는 소식을 듣고 문상을 간 것이다. 그 바쁜 와중에도 우리 일행을 자신의 서재로 안내하고 환담을 나누는 자상함을 보여 주었다. 형제 중에서 자기가 가장 유명한데 문상 온 손님은 제일 적다면서 그러나 질은 최고라고 우스개 소리를 하며 아마 조직이 없는 야인이기 때문에 그런가보다 했다. 그러면서 원불교는 다른 종교와 달리 확 타올라 사그라지지 말고 향이 타서 향기가 스며들듯 이 세상에 그렇게 스며들어야 한다는 충고와 함께 존경하는 송천은 교무나 김재백 선생 같은 분을 뵈오면 그 인격에 자신이 왜소해지는 느낌이 들어 나는 지금까지 무엇을 했는지 모르겠다고 겸손해 한다.
 확실히 학자라 그래서 그러지 맑은 기운이 느껴졌다. 상쾌했다. 명불허전은 이를 주고 한 말인 것 같다. 작년 언제인가 국립극장에서 그의 작품인 백두산 신곡이라는 뮤지컬을 보고 그 웅대한 스케일과 천재성에 감탄사를 연발한 적이 있었는데, 이번 여의도 교당 봉불식의 강연 3시간을 일추의 여지가 없이 들어선 1천5백여 청중을 압도하며 열강을 하는 모습에선 차라리 한 편의 대서사시를 보는 것 같은 감동을 불러 일으켰다.
 깊은 자혜와 폭넓은 지식에서 거침없이 쏟아져 나오는 원불교의 새로운 해석, 그리고 충고와 비판, 방향의 제시, 한 학자의 소박한 양심에서 터져 나온 외침은 일찍이 쉽게 접할 수 없었던 명강으로 우리들의 가슴을 시원하게 뚫어 주었다.
 그런데 일부에선 이번 기 철학과 원불교의 해석이란 제목의 도올 선생 강연을 놓고 비판적이고 부정적인 시각을 감추지 않는 것 같다. 원불교를 잘 알지 못하면서 교리를 지나치게 비판하고 욕을 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결코 욕은 아니었다고 생각한다. 입에 쓴 비판이었고, 몸에 좋은 충고였다. 원불교 학을 전공한 분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그 만큼 일원상의 본질을 꿰뚫고 원불교 전반에 걸쳐 거침없이 해석을 내릴 수 있는 것은 한마디로 놀라움이었다. 설사 그 해석이 잘못되었다 할지라도 회상의 발전을 위하여 한 학자의 의견과 비판을 겸허하게 수용하고 충고나 참고사항으로 받아들이면 될 일이지 그렇게 언짢아하거나 거부감을 나타낼 성질은 아닐 것이다.
 강연이 끝난 며칠 후 열강에 대한 감사의 정을 표할 겸 또 다시 도올 선생의 봉원재를 찾았다. 86년 봄, 양심선언을 하고 학교를 뛰쳐나온 뒤에 30회 가까이 강연을 다녔는데, 이번 여의도교당 봉불식 기념강연 만큼 흡족한 강연은 별로 없었다고 술회하였다. 강연의 열기와 흥분이 가라앉지 않아 귀가 후 전 가족을 차에 태우고 한강 무너미 땅(고수부지)으로 달려가 한참 동안이나 상기된 마음을 진정시킬 정도였다고 하니 그가 이번 기념강연에 쏟은 준비와 정성, 정열을 가히 짐작할 만 한다.
 여의도교당의 발전을 위하여 강연료까지 사양, 불전헌공을 고집하던 그 분의 순수성이 끝내 가슴을 세차게 부디처 왔다. 언젠가 원불교를 위해 큰 일을 해 보고 싶다는 그 분의 약속 곧 기와 원이라는 제목으로 책을 출판하였다. 봉원재 언덕길을 걸어 내려오는 발걸음이 마냥 가벼운 것은 오랜만에 진인을 만난 기쁨에서일까.
김덕권<교도여의도 교당>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