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성훈 교도·남산교당(논설위원)
자전거 타는 방법을 배운 후에는 평생 잊지 않는다고 하며, 그 이유는 자전거 타는 방법은 몸으로 기억되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머리로, 생각으로, 추측으로, 상상으로 기억하는 것은 오래가지 못하고 체험을 해서 우리 몸에 기억시킨 것은 장기 기억 내지 평생 기억이 된다고 한다. 따라서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필자는 이것을 어떻게 교육에 접목시킬 것인가를 고민한다. 학교에서 배우는 용어와 개념을 말로 설명하는 것에는 많은 한계가 있다. 그래서 시청각으로 보여주면 훨씬 이해가 깊고, 실제 실습이나 체험을 하게 하면 완전히 이해하게 된다. 내가 해본 것은 그 방법과 실체를 몸으로 체득하기 때문이요 이는 훈습된 단계이다.

원불교의 주요 핵심 주제인 일원, 사은 사요, 삼학 팔조가 무엇인지 확실하게 몸으로 체험하게 하면 우리의 종교생활이 활력을 얻고 우리의 일상생활이 확 달라질 것이다. 수년간 똑같은 말로 교리를 설교해도 효과가 떨어지는 것은 말뿐이기 때문이다. 행동으로 몸으로 그것을 실천하는 순간을 목격할 때, 수많은 말을 대신하여 감동을 받고 교도는 몸으로 이해하며 몸으로 기억하게 된다. 그것은 진실로 남아 큰 힘이 된다. 대종사님은 말이 아닌 실체를 보여주신 분이다. 점점 교화의 탄력을 받지 못하는 것은 말은 있되 실천이 없어지며 그 말도 모두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이 해야 할 일을 말하기 때문일 것이다.

대종사님은 방언공사, 저축조합 등 상대가 믿지 못하는 일을, 실제로 실천으로 몸소 보여 줌으로써 말없이 제자들이 신뢰하고 따라 오게 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산 속에 보물이 있다고 우겨 채굴하게 하는 강요를 거부하고 실제 자신이 그 보물을 캐서 사용하는 실체를 보여줌으로써 이웃이 믿고 자연스럽게 보물을 캐게 하는 설법을 내렸다. 어떤 경우에도 대가들은 자신의 실력과 실체를 언제라도 보여줄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이다.

원불교는 사실과 진리에 입각한 종교의 색채가 짙다. 최근에는 이런 원래의 색깔이 퇴색해 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어려울 때 배고픈 심정이면 진실을 찾게 되는데 아직 배부르지도 않은 상태에서 그 원래의 상태를 망각해 가고 있다는 느낌을 많이 받게 된다. 지자본위의 덕목에서 가급적 많은 지식을 입수하고 존중하고 개발하는 노력이 교단적으로 추진되어야 함에도 소홀한 점이 있는지 챙겨봐야 할 것이다. 시대적 흐름을 따라 후진들을 양성하고 미래를 개척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게 여건을 조성하고 권한을 위임해 가야 한다고 본다.

인과의 이치, 이소성대의 원리, 공적영지의 뜻 등 이런 기본 개념만 철저히 몸으로 이해한다면 원불교 교도는 확연히 다른 모습이 될 것인데… 나 자신부터도 일상생활에서 항상 말로만 이런 것을 사용하고 있다. 행동으로 24시간 살아야 하는데… 이렇게 글이나 말을 해야 하는 경우는 가급적 피해야 할 것 같다. 그냥 실천하면 될텐데 지금 이시간도 글로 허비하고 있다.

우리 교단에도 경외할 수 있는 법사님이 많이 계신다. 그러나 일상생활의 교당에서는 그것을 접하기가 쉽지 않다. 대다수의 교도와 교단으로부터 오는 소식은 아주 부정적인 뉴스가 더 많다. 감동과는 아주 거리가 멀다. 검은 소가 흰 소가 되려면 적어도 50% 이상은 흰 색이 있어야 한다. 몇 개의 흰 점으로는 흰 점박이 밖에 되지 않는다. 대다수가 하얗게 될 때 우리는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흰 소가 된다. 검은 점을 빼는 과정과 흰 점을 만들어 내는 과정을 동시에 가속화하는 기도와 체험이 필요하다. 이제는 후진에서도 존경받을 수 있는 법사들이 배출되어 원불교의 법을 이어 가야한다. 선진 법사님은 한 분 한 분 사라지고 있다. 우리 대다수가 좋은 법사가 되자. 원불교 100년이 눈 앞에 있다.

원래의 원불교 모습을 그리자. 교전에서 볼 수 있다. 모든 교리를 생각으로 이해하지 말자. 실체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자. 체험으로 몸으로 체득하자. 종국에는 모두가 하나가 되도록 해야 한다. 원불교는 하나 되는 종교이다. 교도와 교무와 교단이 하나로 현실이 되었을 때 허물없이 말을 주고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이 원불교가 하나 되는 기억의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나를 포함한 모두에게 거는 기대다.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