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연구소 4차 혁신세미나, 김준안 교무 제언

원불교정책연구소 4차 혁신세미나에서 김준안 교무가 '전무출신 품과제도 개선을 위한 제언'에 관한 주제발표를 했다. 이번 세미나는 원불교100년을 몇 년 남겨둔 시점에서 교단 혁신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전무출신 품과 교무로 단일화'에 대한 심화과정으로 볼 수 있다. 김 교무는 연구를 위해 덕무와 도무를 대상으로 서면면접과 집단면접을 실시해 현장의 목소리를 담아냈다.

13일 중앙총부 법은관에서 실시한 '전무출신 품과제도 개선을 위한 의견'의 내용은 품과제도의 시행 배경과 시행 경과, 그리고 도무·덕무 현황과 품과제도의 문제점, 품과제도 개선을 위한 제언의 순으로 발표했다.

김 교무는 연구를 준비하며 "도무와 덕무들을 면접을 통해 만나면서 마음이 많이 아팠다. 그들에게 평소에는 듣지 못했던 차별, 상처, 무시, 예속이라는 단어를 너무 많이 들었기 때문이다"며 "품과제도로 전무출신간의 암묵적 차별 현상을 해소하고 불필요한 박탈감을 제거하자"고 피력했다.

품과제도 개선은 개정안 마련부터 시행까지 5년여의 준비기를 통해 원기79년에 전무출신 3품과가 최초로 승인됐다. 시행 목적도 인재수급 제도의 체계화, 인력의 전문성 제고, 인력의 합리적 관리 운영에서 비롯됐다.

품과제도의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김 교무는 "극소수만 도무와 덕무를 선택하는 제도의 실효성 부족과 처음부터 품과 간 서열화 계급화를 잉태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교무는 교화를 비롯한 교단의 모든 분야에 근무할 수 있지만 도무와 덕무는 활동 분야에 제한을 둔 점을 예로 들었다. 인사에 있어서도 교무와 도무는 5급에서 4급으로 승급이 4년 근무라면, 덕무는 6년을 근무해야 하며, 복지면에서 교무는 15년을 주기로 휴양을 신청할 수 있지만 도무와 덕무는 휴양이 제도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결정적인 것은 도무나 덕무는 품과 전환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오히려 교무자격검정고시에 불합격한 경우 교무품과에서 도무품과로 전환하는 사례가 늘고 있음을 꼬집었다. 결국 이러한 문제점으로 품과제도는 '전문인력 수급'이라는 품과제의 취지를 퇴색시켰고, 의료·행정·연구·기술 분야 등에 전문 인력이 나오고 있지 않는 실정이 되었다.

김 교무는 품과제도 개선을 위한 제언으로 "전무출신의 품과를 교무로 단일화하자"는 의견을 내세웠다. 이 의견은 작년 출가교화단 총단회시 단원들로 부터 70%의 지지를 받은 바 있다. 김 교무는 "품과 단일화는 전무출신간의 유대감 및 동질성 회복을 위해서도 시급한 문제다. 빠른 시일내에 정책적 판단이 내리길 기대한다"며 "잘못된 제도와 규정은 고칠 수 있지만 우리들이 가진 차별의식은 쉽게 고칠 수 없어서 더 걱정이다"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