山霞朝作飯 산 노을로 아침밥을 짓고
蘿月夜爲燈 밤엔 담쟁이덩굴 사이로 보이는 달로 등불 삼아
獨宿孤庵下 홀로 외로운 암자에 묵는데
惟存塔一層 오로지 한 층만 남은 저 탑.

'승축에 붙여(題僧軸)'-양녕대군 이제(讓寧大君 李禔 1394-1462 조선 태종의 장남)

조선 태종의 맏아들인 양녕대군은 1404년 왕세자로 책봉되었는데 학문에 게으르고 행동이 무절제하다고 1418년 폐위되어 둘째 동생인 충녕대군에게 왕세자 지위가 넘어갔다. 그 후 풍류를 즐기면서 여생을 보낸 그는 여러 번 탄핵을 당했지만 세종의 배려로 무사했다. 시와 글씨에 뛰어난 양녕대군은 남대문의 다른 이름인 숭례문(崇禮門)의 현판을 썼다고 전해진다.

이 시는 암자에서 탑을 보고 지은 시이다. 산의 노을로 아침밥을 짓고, 담쟁이덩굴 사이로 보이는 달로 등불을 삼겠다는 것은 분명 풍류적이다. 또한 한 층만 남은 탑을 보면서 외롭게 암자에서 묵는 자기 신세를 한탄하는 장면은 아주 서정적이다. 형식과 명분, 권력투쟁에 얼룩진 궁중을 떠나 그는 자유롭게 살았다. 살아서는 왕의 형이고 죽어서는 중의 형이니 거리낄 것이 무엇이랴 면서.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