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홍인 교무·만덕교당(논설위원)
'가지 많은 나무 바람 잘 날 없다'는 속담을 매일 실감하고 살아가는 현장에서 근무한다. 국가사업으로 운영하고 있는 북구청소년문화의집 사업중에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방과후 활동을 지원하는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등대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어려운 가정의 청소년부터 우선 참여가 가능한 국가사업이고, 많은 학생들이 정서적, 학습적, 문화적인 체험활동과 생활적인 측면까지 지원한다.

이 사업은 운영하는 기관만의 책임이 아니라, 지역사회 자원과 함께 연계하는 것을 적극 권하고 있다.

그동안 청소년활동 일을 하면서 이론과 현장의 청소년들은 많이 달랐다. 무엇보다 하루 종일 바쁘다. 그것도 자신의 의지대로가 아닌 누군가 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는 불안감이 조성된 상태에서 아이들은 바쁘다. 그래서 인지 말도 행동도 거침없이 빨라서 당황할 때가 많다.

아이들의 분주함에는 아이들의 생각보다는 부모님의 기대와 욕구로 바쁘다는 것이다.

최근에 등교하지 않아 찾아다니는 담임선생님을 피해 방과후 아카데미에 화가 난 채로 씩씩거리며 한 아이가 들어왔다. 폭력적인 행동이 학교에서 물의를 일으켰고, 그 아이가 감당하기에는 버거운 일이 되어 있었다.

학교에 가지 않는 이유였다. 평소에 자신의 욕구가 좌절되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기보다는 공격적인 말과 폭력으로 대응하는 아이였기에 기관내에서도 잦은 다툼을 일으키곤 했었다. 그 아이의 공격적인 행동에는 강압적인 아버지의 양육태도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라고 들었다. 아버지를 그대로 따라가고 있는 아이를 만나는 것은 때론 두려움이고, 때론 희망이다. 폭력의 학습은 파괴이고, 두려움이지만, 반대로 가정이 건강하면 평화를 학습하기에 희망으로 보인 것이다.

경산종법사님께서 지도자의 길을 말씀하셨다. 가정, 사회, 국가, 세계에도 지도자 가 있어야 된다고 하셨다. 가정의 지도자는 누굴까? 어른이 지도자가 되는 것이 가장 쉬운 방법일 것이다.

대가족 속에서 자연스럽게 학습했던 어른 되는 연습이 핵가족화 되면서 개인본위의 삶이 우선시 되는 형태로 변화됐다. 그 속에 우리의 아이들도 자라나고 있었다. 가족의 분화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우리 사회가 미쳐 준비하기도 전에 가족해체현상도 급속도로 생겨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청소년들은 내가 보듬어 줄 수 있는 능력의 한계를 자주 경험하게 한다. 그것은 내 능력과 정성의 문제 이전에 일차적인 가정 안에서 이루어져야 할 과제의 생략에서 비롯된다. 가정 안의 문제가 점점 집단화되고, 사회 문제화 되어 우리 모두의 일이 되었다.

대안은 지역사회가 함께 해야 한다는 것이다. 가정에서, 학교에서, 지역사회에서 종교계에서, 모두가 어른이 되어주어야 한다.

울고 있는 아이에게 다가가 무엇이 문제인지 물어줄 수 있는 지역사회가 필요하다. 교복입고 흡연하는 학생을 만나면 진심으로 다가가 건강을 염려해주는 어른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그것이 대종사님께서 대각하시고 이 회상을 연 까닭이다. 사은 사요의 가르침은 공동체적인 안목으로 세상과 만나라고 하신다. 너와 내가 다르지 않다고 하셨다.

대종사님의 대각은 우리들로 하여금 건강하고 행복하라고 하셨다. 너만이 아니라 모두가 함께 하는 길을 열어주셨다.

그 길에 우리 청소년들이 함께 하게 하자. 자라나는 아이들은 거침없이 받아들이고, 거침없이 따라하고 있음을 잊지 말아야겠다.

대종사님의 대각을 기뻐하는 4월, 청소년들에게 기쁨이 되는 우리가 되자고 권한다. 교당 안에서도 청소년들이 닮아가고 싶은 모델이 되어주자.

지역사회에서도 간격 없는 마음으로 다가갈 수 있는 어른이 되어주는 것이다. 따라가도 좋을 지역사회 어른 역할에 우리 교도님들이 앞장서 주는 것이 곧 일원의 진리를 전하는 일이라고 본다. 수 많은 바람과 추위속에 꽃망울 터뜨리는 봄소식을 우리가 먼저 경험했듯이,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 믿고 따라가도 좋을 어른, 멘토가 되어주기를 감히 제안한다.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