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사회에서 불교의 미래

▲ 글렌 윌리스 박사/
미주선학대학원 선응용학과 교수
Last night, I saw a documentary on the artist Toko Shinoda. It included a lengthy interview with her conducted this year, approaching her 100th birthday. Shinoda is a remarkable human being. She has devoted herself in near ascetic isolation to her art since her teen years. Although she said many fascinating things about creativity and the making of art, it was a passing comment that really caught my attention. Shinoda said that in her native country, Japan, she was and still is considered 'selfish.' It was only when she visited New York City that she realized that her so-called selfishness was, in fact, a yearning for 'freedom.' When I heard her say this, it occurred to me that we can use her statement to understand something about the differences separating traditional forms of Asian Buddhism from contemporary American ones.

Recognizing her talent early on, Shinoda's parents encouraged her development as an artist. Given the restrictions facing young women her age at that time, she was extremely fortunate. He father even arranged for her to study under a master of calligraphy. She quickly attained proficiency in that form. At the same time, however, she began feeling terribly 'limited' and 'constricted' by the countless rules governing the production of traditional calligraphy. She had a strong desire to explore new forms. More than anything, she says, she felt a compulsion 'to express' herself. Traditional Asian art, of course, eschews individualized expression. So, how could Shinoda simultaneously persist as a working artist and express herself? It seemed unlikely that the tension between these two demands could ever be resolved. A work stemming from this period captures the conflicted strain of Shinoda's inner life. It shows a typical Chinese character flawlessly drawn in sumi ink-so far, quite traditional-but with the character becoming increasingly fragmented, jagged, and finally fading away to the point of non-recognition. As she continued to experiment along these lines, however, Shinoda was met with hostile reactions from the art community, not to mention from her peers and teachers.

In the 1950s, an American art dealer happened to hear of her while on a tour of East Asia. He invited her to come to New York, the center of avant garde modernist art in America, and perhaps the world, at that time. Arriving in 1956 with some eighty paintings in tow, Shinoda was met with extraordinary enthusiasm by both the art community and the general public. The decades-old ideal of the western art world to 'Make it New!' resonated perfectly with what she had been feeling for years. Overnight, she says, her 'selfishness' was reborn as 'freedom'-the freedom to 'be herself' without fear or restriction. Although returning to Asia just two years later, she would never abandon this ideal.

As I have discussed in my previous essays for this newsletter, this spirit of making it new, is currently coursing through American Buddhism as well. The spirit calls for a robust individualism, one rooted, moreover, in a certain wariness of received traditions. This spirit, however, is not necessarily winning the day-just yet. It is being countered by another one, one that proclaims the time-tested authority of the Asian Buddhist traditions. It is still too early to know what an 'American' Buddhism will look like. Must it necessarily involve the kind of fragmentation and radical re-orientation that Toko Shinoda subjected traditional calligraphy to? Or will it represent a vibrant blending of tradition and innovation, East and West? Shinoda, after all, in her quest to 'Make it New!,' never abandoned the most basic features of ancient calligraphy: sumi ink on paper.

지난밤 필자는 예술가인 토코 시노다에 관한 내용을 읽었다. 나이가 100세에 이른 그와의 긴 인터뷰 내용도 포함되어 있었다. 시노다는 탁월한 사람 중의 하나다. 그는 10대 나이 때부터 거의 금욕주의적으로 고립된 삶을 살아왔다. 그가 비록 창조성과 예술작품을 만드는 일에 대해서 매력적인 일들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를 했지만, 그가 하는 말 가운데 나의 관심을 끄는 내용이 있었다. 시노다는 모국인 일본에서 '이기적'인 사람으로 간주됐다. 그는 뉴욕시를 방문했을 때 자신의 소위 이기성이 사실은 '자유'에 대한 갈망이었음을 깨달았다고 털어 놓았다. 그의 말을 듣고 그의 언급이 전통적인 아시아 불교형태들이 현대 아메리칸 불교의 모습들과 구별되는 차이점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린 시절부터 보여준 재능을 생각하면 시노다의 부모님은 예술가로써의 그녀가 성장할 수 있도록 격려했다. 그 당시 그 나이의 젊은 여성들이 직면해야 했던 규제들이 있었음에도 그녀는 대단히 행운아였다. 그녀의 부친이 딸이 서예의 대가에게 배울 수 있도록 조처를 해 주기까지 하였다. 그녀는 빠르게 스승의 서법을 터득했다. 그러나, 그녀는 전통적 서예법에서 통제하는 셀 수 없는 규율들에 의해서 엄청나게 '제한되고' 그리고 '옴짝 달싹 못하게 하는' 숨막히는 느낌을 갖기 시작했다.

그녀는 새로운 서체를 표현하고 싶은 강력한 욕구를 느꼈다. 더 강력하게 그녀는 스스로를 '표현하고 싶은' 충동을 느꼈다고 말했다. 물론 전통적인 아시아의 예술은 예술가의 개성을 표현하는 것을 금지했다. 그런 속에서 시노다는 예술가로서 활동하면서 동시에 자신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었을까? 전통과 새로움에 대한 두 가지 욕구 사이의 긴장은 결코 해결될 수 없는 것처럼 보였다. 이 시기에 나온 한 작품에서 시노다의 내면적 삶의 갈등적인 긴장을 볼 수 있다. 즉 먹물(sumi ink) 로 막힘 없이 그려진 특유한 중국식 특징이 나타나서 아주 전통적이라고 볼 수 있는데, 그러나 점차적으로 단절되고 다듬어지지 않은 듯한 특징이 나타나고 마침내는 의식되지 않은 지점으로 사라져 버린다.

이러한 라인들을 계속 체험하면서 시노다는 그러나 예술공동체로부터 적대적인 반응을 만나게 되지만 그녀의 동료들과 스승들로부터 어떤 언급도 듣지 않았다.

1950년대에 한 아메리칸 예술품 매매자는 동아시아 여행을 하는 중에 그에 대한 이야기를 듣게 됐다. 그 매매자는 아메리카, 아마도 세계 아방 가드(전위예술) 모더니스트 예술의 센터가 당시에 있었던 뉴욕에 시노다를 초청했다. 1956년에 80여점의 작품을 이끌고 온 시노다는 예술공동체와 일반대중들의 열렬한 환호를 받았다. 서양 예술세계에서 '새롭게 만들어라' 라고 외쳐온 수십년간의 이상은 시노다가 수년간 느껴온 것과 완전히 일치하는 것이었다. 하룻밤 사이 시노다의 '이기성'은 '자유'라는 이름으로 거듭났고, 그 자유는 두려움이나 어떤 제재도 없는 '그녀 자신이 되는 것'이었다라고 시노다는 말했다. 2년 후에 아시아로 돌아온 이후 그녀는 결코 이 이상을 포기하지 않았다.

필자가 〈원불교신문〉에 기고한 이전의 글에서 언급한대로 '새롭게 만들어라'는 이 정신은 현재 아메리카 불교에서도 그대로 적용되는 말이다. 이 정신은 확고한 개인주의*를 요구하는 것이며, 더욱이 전수된 전통들을 주의 깊게 점검해야 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정신은 이 시대에 유일한 이상은 아니다, 적어도 아직까지 이 정신은 현재 우리가 경험하는 아시아 불교전통들의 권위와 상반된다. '아메리카의' 불교가 어떤 것일까를 안다는 아직까지는 너무 이르다.

토코 시노다가 전통적인 붓글씨에 대해서 했던 일종의 전통 파괴나 급진적인 재조정이 반드시 필요한가? 혹은 그것이 전통과 혁신 그리고 동과 서의 생생한 융합을 대변하는 것일까? 무엇보다도 시노다가 자신의 '새롭게 만들어라'라는 요구 속에는 종이 위의 먹물(sumi ink)이라는 가장 기본적인 고대 붓글씨 법들을 결코 버리지는 않았다.

■ a robust individualism을 확고한 개인주의라고 번역한다. 동서문화의 차이점을 말하자면 서구문화는 개인주의이고 동양은 집단주의라고 한다. 개인주의는 개인의 개성과 자율성을 기초로 한 개념으로 이기주의와는 전혀 다르다. 특히 개인주의는 민주주의 이념의 기초가 되는 것으로 서구인들에게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