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Challenges do you see for Won Buddhism in America?

▲ 글렌 윌리스 박사 / 미주선학대학원 선응용학과 교수
I have been asked this question many times over the last seven years. I'll offer some general comments here.

The greatest challenge that I see is one that confronts every Buddhist tradition that migrates to America: becoming American. Scholars of Buddhism in contemporary America often speak of a 'two Buddhisms' phenomenon. On the one hand, there are the, variously called, 'ethnic,' 'immigration,' or 'heritage' Buddhist communitie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the 'convert' communities. These 'two Buddhisms' are similar in that both types of community derive their authority from an Asian figure whose teachings are then brought to America by his or her followers. They differ, however, in one crucial regard. The 'immigration' communities place ethnic preservation above adaptation, and so tend to remain insular. The 'convert' communities forego their original 'heritage' for the sake of assimilation, and thus tend to thrive in their new homeland. The challenge is encapsulated in this question: how much of their heritage are Won Buddhist leaders willing to risk in the effort to attract American practitioners?

I can be more specific. This challenge of preservation vs. adaptation contains within it many additional challenges. These challenges have to do with the Korean value system that is, at present, inseparable from Won Buddhism. The Won Buddhist 'heritage' in other words, involves much more than its Buddhist tradition. In several previous newsletters, I have pointed out what I see as powerful trends in American Buddhism. I mentioned, for instance, that American 'convert' Buddhists are forcing changes that stem from their democratic, egalitarian, skeptical biases. Americans, as I have mentioned, are showing a preference for a meditation-oriented, non-devotional, non-doctrinal form of Buddhism. Values are perpetuated because those who embrace them consider them superior to other values. But what should we do when values collide, so to speak? That is a question, I imagine, that challenges Won Buddhists in America today.

I see another significant challenge. A colleague of mine recently returned from a visiting professor stint at a prominent American university. He is an historian of medicine, so it made perfect sense when they asked him to teach a course on 'healing and Buddhism.' He was taken aback, however, when they requested he do so in the Religion Department. "Why?" he asked. "Because no one is taking religion courses anymore, and your topic might attract some students," came the answer. This academic trend is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the Pew Research Center, which I cited in my first contribution:

The number of Americans who do not identify with any religion continues to grow at a rapid pace. One-fifth of the U.S. public-and a third of adults under 30-are religiously unaffiliated today, the highest percentages ever in Pew Research Center polling.

Surely, this trend presents a challenge to Won Buddhism in America. Won Buddhism, after all, explicitly displays all of the markings of a 'religious' tradition, such as an origin narrative involving an enlightened master; a lay-ordained distinction; devotional rituals; belief in re-birth; a spiritualized vocabulary, and more. (If any reader questions this assertion, a brief comparison to the various secularized forms of Buddhism that are gaining ground in America should prove the point.) All of these features of Won Buddhism certainly hold power and beauty. But what if they, at the same time, present a hindrance in a rapidly secularizing society? That's a challenging question, indeed.

필자는 지난 7년간 이 질문을 받아 왔다. 이 질문에 대해서 몇 가지 일반적인 논평을 여기서 밝힌다.

필자가 보는 원불교가 직면한 가장 큰 과제는 미국에 이주해 온 모든 불교전통들이 직면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것이다. 즉 미국식으로 되는 일이다. 지금의 미국에 있는 불교학자들은 '두 종류의 불교' 현상에 대해서 자주 언급한다. 하나는 '민족적', '이주해 온', 또는 '전통적'이라고 다양하게 일컬어지는 불교 공동체이다. 다른 하나는 '개종'한 사람들의 공동체이다.

이 '두 종류의 불교'가 유사한 점은, 바로 그 두 형태의 공동체는 그들의 권위가 가르침을 미국에 전해 준 아시안 추종자들로부터 나온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 두 공동체에는 중대한 차이가 있다. '이주해 온' 공동체는 적응이라는 이면에 민족적인 것을 보존하고 있고, 그로 인해 고립된 섬으로 남아 있는 경향이 있다. '개종한' 공동체는 동화를 위해서 공동체 본래의 '유산(전통)'을 우선시하며, 그렇게 새로운 고향에서 성장하는 경향이 있다. 그 도전에는 이러한 질문이 감추어져 있다: 원불교 지도자들이 미국인 수행자들을 끌어들이고자 하는 노력에 대해서 자신들의 전통문화가 얼마나 위협적인 요소가 되고 있는가? 라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전통을 보존 하는 것, 적응이라는 이 도전(과제)은 그 이면에 여러 부가적인 도전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 부가적인 도전들은 현재 원불교와 분리할 수 없는 한국적 가치 체계와 관련이 있다. 바꾸어 말하자면, 원불교의 '전통'은 원불교 전통보다 더 많은 것을 내포 한다는 점이다. 이전의 글들에서 필자는 미국 불교의 강한 경향들에서 본 바를 지적하였다. 예를 들자면, '개종한' 아메리칸 불자들은 자신들의 민주주의, 평등주의, 회의주의적 관점에서 기인하는 변화를 강력히 요구한다고 필자는 언급한 바 있다.

필자가 언급한 대로 미국인들은 선수행을 중심으로 하는 불교를 선호하고, 의례나 기도 중심이 아닌, 교리나 이론 중심이 아닌 불교를 선호한다. 가치관을 중시하는 사람들이 자신들의 가치를 다른 가치들보다 우수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가치관들이 존속되는 것이다. 그러나, 가치관들이 충돌을 할 때는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필자가 생각하기에는 이것이 현대 미국에서 원불교가 도전받고 있는 과제이다.

필자가 보기에 미국 원불교가 당면한 또 하나의 도전이 있다. 최근 내 동료 한 사람이 저명한 미국 대학에서 객원교수로 잠시 있다가 돌아왔다. 그는 의학의 역사를 전공한 사람이다. 그 학교에서 그가 "치유와 불교"라는 과목을 가르치도록 부탁했을 때 분명한 상황이 전개되었다. 종교학과에서 가르치라고 했을 때 그는 무척 놀랐다고 한다. 그가 '왜?' 종교학과냐고 물었을 때, "아무도 종교 과목은 더 이상 선택하지 않기 때문에 당신의 주제는 일부 학생들에게 관심을 가질지 모른다" 라는 대답을 들었다. 이러한 학문적 경향은 필자가 맨 처음 글에서 인용한 바대로 Pew Research Center에서 보고한 바와 일치한다.

어떤 종교도 갖지 않으려고 하는 미국인의 숫자는 급속히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미국인구의 5분의 1-그리고 30세 이하의 3분의 1-은 현재 종교에 가입하지 않고 있는데, Pew Research Center에서 유례없는 최고의 퍼센트에 달하는 것이다.

분명히 이러한 경향은 미국 원불교에 한 도전(과제)임을 보여준다. 무엇보다도 원불교는 '종교적' 전통의 모든 특징들을 명백히 나타내고 있다. 즉 깨달음을 얻은 스승과 관련된 근본 이야기, 출가 재가 구별, 신앙적인 의례들, 윤회에 대한 믿음; 종교화된 어휘 등, (만약 어떤 독자가 이 주장에 대해서 의문을 제기한다면, 미국에서 진척되고 있는 세속화된 다양한 모습의 불교에 대한 간단한 비교로 이 점을 증명해 보일 수 있다.) 원불교의 모든 특성들은 분명히 힘과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그 특성들이 급속하게 세속화의 방향으로 가고 있는 사회에서는 장애가 된다면 어떨까? 사실상 그것이 도전적인 질문이다.

번역 / 하상의 교무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