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w would be a great time for the order to begin providing publications

▲ 캐롤 크레이븐 박사/미주선학대학원 원불교학과 교수
Won Buddhism in America is growing. That is great news. But the bad news is that it is growing without proper support from the order. Americans seeking the truth about life and morality find Won Buddhism on their own, by seeing a sign outside the temple or reading a newspaper article or meeting someone who knows about it, or seeing an ad for the Won Dharma Center. There's almost no public message from the order to reach out to us.

As I learn more each year about the Won Buddhist teachings, taking them to my heart and letting them open up my understanding of human affairs, I appreciate their power to change my life. The psychological depth and truth of the practice is irrefutable and powerful for anyone who is willing to let go of pride and practice with discipline and sincerity. Freedom lies at the end of this road. We have to share this practice widely, and soon. The Won Institute of Graduate Studies, the Won Dharma Center, and the temple kyomus are increasing their ability to do that, year by year. The Institute, which has already outgrown its first building, is influencing people in the Glenside area who happen to discover it, and it is blessing the lives of people who enroll as students in its programs. The Won Dharma Center is making a difference in many people's lives with its regular dharma services, retreats, and moving meditation classes. Those temple kyomus who have good English are doing all they can to bring the dharma to Americans.

Now would be a great time for the order to begin providing publications that reflect an understanding of the American point of view. To begin offering kyomus incentives to become fluent in English so that they can come here and lead kyohwadans. To have more meetings with Americans like those that occurred recently, for the Principal Book Translation Workshop at the Won Institute and the grand opening of the Won Dharma Center. Americans had a chance to be heard and to hear from the leaders of Won Buddhism in Korea.

These are exciting times, but sometimes I get the feeling that the leaders of Won Buddhism in Korea are too humble in their dependence on Master Sotaesan's words. We have many people who could explain Won Buddhism in a brilliant and inspiring way to non-Koreans, but they would have to place the teachings in a global context, playing down the Korean traditional aspects and using metaphors and examples that speak to modern Americans and other Westerners. Are we so attached to the words of Master Sotaesan that we are afraid to interpret them for the sake of new devotees? Can't we find a way, can't we ask ourselves, if Master Sotaesan were alive today, would he explain Won Buddhist teachings exactly the same way? Or would he make new Scriptures, new Discourses to explain the doctrine to Americans? I think we can. And I think a dialogue between American lay members and Won Buddhist thought leaders can lead to a fruitful and creative renewal of Won Buddhism for Westerners.

Or would he make new Scriptures, new Discourses to explain the doctrine to Americans? I think we can. And I think a dialogue between American lay members and Won Buddhist thought leaders can lead to a fruitful and creative renewal of Won Buddhism for Westerners.

미국의 원불교는 성장하고 있다는 것은 좋은 소식이다. 반면에 좋은 않은 소식은 교단으로부터 적절한 지지가 부족한 속에 성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삶과 도덕에 관한 진리를 추구하는 아메리칸들이 스스로 원불교를 찾게 되는 것은 교당을 나타내는 표시를 보고서 혹은 신문에 나온 글을 읽고서나 혹은 원불교를 아는 사람과 만남을 통해서이거나 혹은 원다르마센터에서 나온 광고를 보거나 하여 이루어진다. 그 가운데 교단이 우리들을 향해 직접적으로 보내는 공적인 메시지는 없다.

필자가 원불교 가르침에 대하여 매년 더 배우게 되는 것은 그 가르침들이 내 마음에 와 닿고 그리고 인간사에 대한 나의 이해의 눈을 열어준다는 것이다. 필자는 교법의 힘이 나의 삶을 바꾸게 하는 것에 감사드린다. 심리학적 깊이와 진리적 수행의 면에서는 논박의 여지가 없고 힘이 있어서 정성과 신심으로 수행하고자 하는 사람이 자부심을 느끼고 수행을 할 수 있게 한다. 이 수행의 결과는 해탈이다. 우리는 이 수행법을 더 널리 그리고 빨리 퍼뜨려야 한다.

미주선학대학원, 원다르마센터, 그리고 교당 교무님들은 해가 다르게 자신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설립 당시의 첫 번째 건물은 이미 정원을 넘어서고 있는 미주선학대학원은 글렌사이드 지역에서 학교의 존재를 알게 된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것은 학생으로써 미주선학대학원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삶에 축복이다. 원다르마센터는 정규적인 법회나 선수행 프로그램, 그리고 동선 교실 등을 운영하면서 많은 사람들의 삶을 변화시키고 있다. 영어를 잘 구사하는 교당 교무님들은 교법을 아메리칸들에게 전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하고 있다.

이제 원불교 교단이 아메리칸식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교법의 해석을 반영하는 출판물들을 제공하도록 노력해야 할 중대한 시점에 이르렀다. 영어가 능숙한 교무에게 인센티브를 주어서 그들이 미국에 와서 교화단을 이끌도록 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최근에 해 자연스럽게 이루어졌던 것처럼 미국인과 더 자주 모여서 미주선학대학원에서는 교전번역 워크샵을 하고 원다르마센터에서는 더 큰 모임을 갖는 것이다. 그러면 아메리칸들은 한국의 원불교 지도층에게 그들의 뜻을 전달할 수 있고 동시에 원불교 지도층들로부터 의견을 들을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이런 일은 고무적인 시간이 되기는 하지만, 때로는 한국의 원불교 지도층들이 소태산대종사의 말씀에 의존하여 너무 겸손하다는 것을 필자는 느낀다. 비한국인들에게 화려하게 고무적인 방법으로 원불교를 설명할 수 있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그렇지만 그들이 주의해야 할 점은 한국전통적인 측면들을 덜 강조하고 현대 아메리칸들이나 다른 서양인들에게 말하는 비유나 예화들을 사용하는 글로벌한 맥락에서 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새로운 교도를 만들고자 하면서도 소태산 대종사의 말씀들을 그들에게 맞게 해석하는 일을 두려워 할 정도로 소태산 대종사의 언어들 자체에 너무 집착하고 있지는 않은가? 만약 소태산대종사가 오늘날 살아 계신다면 그 당시와 같은 방법으로 원불교 교법을 설명하실까를 생각하면서 방법을 찾을 수 없을까? 우리 자신에게 물어볼 수 없을 까? 혹은 소태산대종사는 새로운 경전을 만들거나 아메리칸들에게 교법을 설명할 새로운 법설들을 하지 않으셨을까?

필자는 우리가 그렇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필자는 아메리칸 재가교도들과 원불교 사상 지도자들 사이에 대화는 서구인들을 위해서 원불교의 성과있는 창의적인 갱신으로 이끌 수 있다고 생각한다.

번역 / 하상의 교무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