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룩조개에 입맞추며 자랐나/ 눈이 바다처럼 푸를 뿐더러 까무스레한 네 얼굴/ 가시네야/ 나는 발을 얼구며/ 무쇠다리를 건너온 합경도 사내

바람소리도 호개(胡犬)도 이젠 무섭지 않다만/ 어두운 등불 밑 안개처럼 자욱한 시름을 달게 마시련다만/ 어디서 흉참(凶慘)한 기별이 뛰어들 것만 같애/ 두터운 벽도 이웃도 못미더운 북간도 술막

온갖 방자의 말을 품고 왔다/ 눈포래를 뚫고 왔다/ 가시내야/ 너의 가슴 그늘진 숲속을 기어간 오솔길을 나는 헤매이자/ 술을 부어 남실남실 술을 따르어/ 가난한 이야기에 고히 잠거다오

네 두만강을 건너왔다는 석 달 전이면/ 단풍이 물들어 천리 천리 또 천리 산마다 불탔을 겐데/ 그래두 외로워서 슬퍼서 초마폭으로 얼굴을 가렸더냐/ 두 낮 두 밤을 두루미처럼 울어 울어/ 불술기 구름 속을 달리는 양 유리창이 흐리더냐

차알삭 부서지는 파도소리에 취한 듯/ 때로 싸늘한 웃음이 소리 없이 새기는 보조개/ 가시내야/ 울 듯 울 듯 울지 않는 전라도 가시내야/ 두어 마디 너의 사투리로 때 아닌 봄을 불러줄게/ 손때 수집은 분홍 댕기 휘휘 날리며/ 잠깐 너의 나라로 돌아가거라

이윽고 얼음길이 밝으면/ 나는 눈포래 휘감아 치는 벌판에 우줄우줄 나설 게다/ 노래도 없이 사라질 게다/ 자욱도 없이 사라질 게다.

'전라도 가시내'- 이용악(李庸岳 1914-1971 시인)

일제 때 백석과 함께 북방정서를 대표하는 시인 이용악은 함북 경성 출신이다. 향토색 물씬 풍기는 이 작품은 일제의 수탈로 피폐해진 전라도의 갯마을을 떠나 만주를 유랑하는 술집 아가씨를 통해 민족의 피폐한 삶을 탁월한 시어로 형상화한 작품이다.

고학으로 도쿄의 죠치대학을 졸업한 시인의 애정이 눈물겹도록 따뜻하다. 연변 동포 중에 그처럼 팔려간 여인의 후손도 있지 않을까.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