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상영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사무국장

"북한의 농업, 축산업을 지원한다면 북한 주민들에게 실질적 도움도 될 뿐 아니라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북한 주민에 대한 이해와 더 가까워질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입니다." 지난해 2014년 박근혜 대통령이 신년기자회견에서 언급한 내용이다. 대북인도지원사업 목적과 의미가 바로 여기에 있다.

민간차원의 대북인도지원사업은 굶주리는 북한 동포를 돕는 동포애에서 시작되었다.

1990년대 중반 북한은 심각한 기근현상에 직면한다. 농업 및 경제정책의 실패에다 대규모 자연재해가 겹친 결과였다. 이렇게 출발한 민간차원의 대북인도지원사업은 초기 긴급구호 차원에서 식량이나 의약품을 지원하다 2000년대 이후 보건의료, 농업, 축산, 산림복구 분야에서 점차 자활역량을 키우는 방식 즉 물고기 잡는 법을 전수하는 개발지원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지난 10여년 이상을 대북인도지원사업을 추진하는 민간단체들은 북한의 평양, 남포, 사리원, 개성, 신의주, 금강산 등 다양한 지역에서 개발지원사업을 추진했다. 작은 병원을 세워서 의사를 교육하고, 임신부나 어린이를 위한 식료품공장을 운영했다. 북한주민과 함께 협동농장에서 함께 농사를 짓거나 양돈장이나 양계장에서 돼지나 닭을 키워내기도 했다. 양묘장을 조성해서 조림에 필요한 나무묘목을 생산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 실로 수많은 남쪽사람들이 북측을 방문했다. 여기에는 분야의 전문가와 기술자, 연구자, 정치인 언론인 단체의 후원자 등 각계각증이 망라되어있다.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의 경우 지난 1998년 방북을 시작으로 2013년까지 총 510회에 걸쳐 연인원 6487명이 북한을 방문했다.

남쪽에는 약 60여개의 민간대북지원단체들이 있는데 이들 단체의 방문인원을 합하면 적어도 수만명이 북한을 방문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적어도 수십만명에서 많게는 수백만명의 북한주민이 남쪽사람들을 만나서 남쪽의 변화상황을 접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지원사업장은 남북 주민들이 마음과 마음을 접하면서 서로 기술을 교류하고 협력하고 갈등하면서 함께 신뢰를 쌓아가는 통일의 학습장이었다.

안타깝게도 이러한 개발지원사업은 지난 2010년 우리정부의 5.24 조치로 현재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정치군사적 문제는 그 차원에서 대응해 나가되 민간차원의 인도적지원사업은 분리해서 꾸준히 지속해야 한다. 그편이 오히려 남북간의 갈등을 줄이고 긴장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는 또한 박근혜 대통령의 공약사항 이기도 하다. 민간차원의 인도적대북지원사업이 조만간 재개되어 남북간 화해협력의 가교역할을 다시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