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정의 법은 어려운 데 있지 않다

其於鑒力하야 隨候益盡하면 得名慧乃圓備하라 若久學定靜하야 心無一候라사 是乃圓通修練之士라 但依此法하야 操縱得宜하면 則無日不工이며 無處非禪이니 若促齡離俗하여 索隱行怪然後에 始可得通云하면 則此未達定靜之法者也라 定靜之法在易하고 不在乎難이며 在內不在乎外니라

그 비추는 힘으로 통함을 따라 더해가기를 다하면 지혜가 바로 원만히 갖추었다고 이름 한다. 정정을 오래 공부할 것 같으면 마음에 한 징후도 없으니, 이것이 바로 두렷이 통하여 수련하는 선비다. 다만 이 법에 의지하여 조종하여 마땅함을 얻으면 곧 공부하지 않는 날이 없으며 선 아닌 곳이 없다. 만약 나이를 재촉하여 세속을 떠나 숨어 사는 선비를 찾고, 괴이한 수행을 한 후에 비로소 통함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하면, 곧 이 사람은 아직 정정의 공부법을 통달하지 못한 사람이다. 정정 공부의 법은 쉬운 데에 있지 어려운 데 있지 않으며, 내 안에 있지 밖에 있지 않다.

무시선 무처선의 유래

〈영보정관경〉 원문에는 '그 비추는 힘으로 통함을 따라 더욱 밝아지면 지극함을 얻어 도를 이루어 지혜가 바로 원만히 갖추어진다. 만약 이에 정하는 마음으로 오래토록 공부를 하였으나 몸에 한 가지 통함이 없이, 나이를 재촉하며 예질과 색사로 보내면서 바야흐로 공허히 스스로 지혜를 깨달았다고 하고 또한 도를 이루었다고 일컫는 사람은 도를 구하는 이치와 보소에 못 미친 것이다(其於鑒力 隨候益明 得至道成 慧乃圓備 若乃久學定心 身無一候促齡 穢質色謝方空自云慧覺 又稱成道者 求道之理 寶所未然)'로 밝히고 있다.

이를 정산종사는 〈수심정경〉으로 편수하면서 '비추는 힘으로 통함을 따라 더욱 밝아져 지극함을 얻어 도를 이루면 지혜가 바로 원만히 갖추어진다(其於鑒力 隨候益明 得至道成 慧乃圓備)'를 '그 비추는 힘으로 통함을 따라 더해가기를 다하면 지혜가 바로 원만히 갖추었다고 이름 한다. 정정을 오래 공부할 것 같으면 마음에 한 가지 징후도 없으니, 이것이 바로 두렷이 통하여 수련하는 선비이다. 다만 이 법에 의지하여 조종하여 마땅함을 얻으면 곧 공부하지 않는 날이 없으며 선 아닌 곳이 없다(其於鑒力隨候益盡 得名慧乃圓備 若久學定靜心無一候 是乃圓通修練之士 但依此法 操縱得宜 則無日不工 無處非禪)'로 고쳤다.

공부하지 않는 날이 없고 선하지 않는 곳이 없게 하려면 다만 이 법에 의지하여 조종하여 마땅함을 얻어야 된다고 한다. 이 법이란 정하고 고요하게 하는 정혜쌍수법을 말하고 또는 삼학병진선법을 의미한다. 정산종사가 이 글을 바꾼 때는 아마 내정정 외정정 마음공부인 삼학병진 선법이 나온 이후였다고 본다.

소태산대종사가 밝힌 '때 없는 마음공부 어디나 선방(無日不工=無時禪, 無處非禪=無處禪)인' 내정정 외정정의 삼학병진선 공부법이 아니고는 원만한 도를 이룰 수 없음을 의미한다. 이 법에 근거하지 않고 다른 공부법을 가지고는 공적영지의 일원상 지혜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유가에서는 마음공부라 하고 불가에서는 선이라 한다. 원불교 교리표어 가운데 삼학수행의 표준인 무시선 무처선은 여기서 처음 사용되었다.

〈정전〉 수행편 무시선법에서도 정과 선을 같은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그러므로, 시끄러운 데 처해도 마음이 요란하지 아니하고 욕심 경계를 대하여도 마음이 동하지 아니하여야 이것이 참 선이요 참 정이니)

그리고 '만약 이에 정하는 마음을 오래토록 공부하나 몸에 한 가지 징후도 없이 나이를 재촉하며 예질과 색사로 보내면서 공허하게 스스로 지혜를 깨달았다고 하고 또한 도를 이루었다고 일컫는 사람은 도를 구하는 이치와 보소에 못 미친 것이다(若乃久學定心 身無一候促齡 穢質色謝方空自云慧覺 又稱成道者 求道之理 寶所未然)'를 '만약 나이를 재촉하여 세속을 떠나 숨어사는 선비를 찾고, 괴이한 수행을 한 후에 비로소 통함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하면, 곧 이 사람은 아직 정정의 공부법을 통달하지 못한 사람이다. 정정의 법은 쉬운 데에 있지 어려운 데 있지 않으며, 내 안에 있지 밖에 있지 않다(若促齡離俗하여 索隱行怪然後에 始可得通云하면 則此未達定靜之法者也라 定靜之法在易하고 不在乎難이며 在內不在乎外니라)'로 고쳤다.

정정공부의 생활화 대중화 구현

원만한 지혜를 얻으려는 수행인은 절대 기이하고 어려운 데서 찾지 말고, 삼학병진의 대승 선법에 따라 말로 배우고 몸으로 실행하고 마음으로 증득한 데서 얻어진다는 것을 부촉하고 있다.

소태산대종사는 무시선의 강령을 간명하게 밝혀 정정의 선 수행법을 제시하고 있다("다시 이 무시선의 강령을 들어 말하면 아래와 같나니라. 육근(六根)이 무사(無事)하면 잡념을 제거하고 일심을 양성하며, 육근이 유사하면 불의를 제거하고 정의를 양성하라")

육근이 일 없을 때 하는 공부는 잡념을 제거하고 일심을 양성하는 염불과 좌선으로 하게 하였고. 육근이 일 있을 때 하는 공부는 불의를 제거하고 정의를 양성하는 연구 공부와 취사 공부로 하게 하였다. 이로써 도를 얻는 법을 생활 속에서 대중과 함께 하면서 수행하는 삼학병진의 대승선법으로 변용했다.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