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단이 한국사회에 4대 종교로 우뚝 설 수 있었던 원동력은 교단 초기의 고등교육기관 설립과 성직자 양성 프로그램이 기반이 됐다. 초기교단은 수준 높은 성직자들이 양성되면서 단시간 내에 교화활성화를 꾀할 수 있었다.

이후 교단은 예비 성직자들의 교육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게 되는데 원기75년 '교육이 교운이다'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교육발전위원회를 탄생시킨다. 여기에는 교육을 받는 학생들의 욕구 불만과 더불어 시대에 뒤떨어진 교과운영, 교수법 등이 이유로 등장한다.

그렇게 탄생한 것이 4+2체제다. 원기82년 원불교대학원대학교 과정이 신설됐고, 교과과정, 교육평가 환경개선 등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손질한 것이다. 원기94년에도 신입생 감소와 대외 교육환경의 어려움 등을 이유로 교정원 자체적인 교육개혁안을 마련했었다. 1년간의 논의 끝에 육영기관 통폐합 안을 마련했지만 정책은 교정원이 바뀌면서 유야무야됐다. 하지만 원불교2세기를 앞두고 교육개혁에 대한 요구가 다시 꿈틀거렸다.

이런 분위기는 원기98년 11월 제205회 임시수위단회에서 '교육개혁위원회' 발족 의결로 이어졌다. 교정원 교육부 산하에 위원회를 뒀지만 참여한 면면을 살펴보면 범교단적인 위원회라 할 정도로 진용이 꾸려졌다. 발족의 직접적인 원인은 전무출신 지원자 감소와 이에 따른 교육재정 문제로 귀결된다.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 영산선학대학교, 원불교대학원대학교 3개 교육기관에 대한 통폐합 문제가 이때부터 공식적으로 나오게 된 것이다. 2014년 5월 수위단회 연찬에서 보고된 교육개혁위원회 활동보고서는 3가지 안으로 요약된다.

1안은 기존 체제를 유지할 경우로, 신입생 유치에 빨간불이 켜진다. 원기99년 신입생 충원율을 보면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는 30명 정원에 15명이 지원했고, 영산선학대학교는 50명 정원에 2명이 지원했다고 보고됐다. 2안은 영산선학대로 원불교학과를 통합, 원광대에 전문대학원을 설립하는 경우로 학부 신입생 유치가 단점으로 부각됐다. 쟁점사항은 원광대학교 학부에 원불교학과가 없다는 것에 건학이념의 정체성 문제와 원불교대학원대학교 해산에 대한 교단적인 입장 정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3안은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로 통합, 영산에 대학원대학교 이전이었다.

최종적인 결론은 그해 10월25일 나왔다. 교육개혁위원회가 현 교육체제를 유지하면서 제도와 교육과정의 운영에서 점진적인 개혁을 진행하겠다는 것이다. 위원회는 전무출신 지원자 감소 문제를 육영기관 어느 한 쪽으로 통합하는 것은 해결책이 아니고, 3개 교육기관이 교육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노력하는 쪽으로 의견의 일치를 봤다. 의견 일치를 본 사항은 개혁의 우선순위로 정해 개혁을 추진해 가겠다는 뜻이다. 제도적 측면과 교육과정운영 측면으로 개혁을 추진하겠다는 의견에 대해 김혜광 교수(원광대학교 교육학)는 의문을 표했다.

그는 "각 교육기관들의 발전안이 과연 제대로 실행될 수 있는지 의문이 든다"며 "각 교육기관마다 의사 결정 시스템이 다르고, 인사 및 재정 등 당무기관과 복잡한 협의,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구체적인 실행안이 나와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교육개혁위원회가 결론을 낸 지 딱 1년이 지났다. 점진적 교육개혁안이 얼마나 실행되고 있는지 점검할 때다.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