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광우병 논란과 관련해서 절대로 놓치고 지나가서는 안 되는 것은 인간의 먹이가 되는 소를 비롯한 가축들의 생명권이라고 생각합니다.

존 라빈슨은 ‘육식을 하는 것은 고기와 함께 그 동물의 불행도 함께 먹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지금 이 시간도 인간의 먹이감이 되기 위해 무수한 동물들이 지옥과 같은 고통을 당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광우병은 말할 것도 없고, 조류 독감으로 수십 만 마리의 닭과 오리가 죽임을 당하는 상황은 근본적으로 인간의 식탐과 잘못된 영양학적 신화로 발생한 것이니, 이 같은 아비규환이 어찌 먼 세상의 일이겠습니까? 바로 내 식탁위에서 하루 세 끼 일어나는 반성 없는 음식 문화로 인해, 우리 가족과 이웃 등 가장 가까운 인연들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공업(共業)의 인과인 것입니다.

광우병 논란 속에 더욱 기가 막히는 것이 30개월 이상이다 미만이다하는 월령입니다. 더욱이 일본은 24개월 미만 소만 수입한다고 하는데, 수백에서 천 킬로그램을 넘어가는 무게에, 최장 25년까지 가는 수명을 이렇게 빼앗을 수 있단 말입니까? 인간 나이는 연령이라 하면서, 소의 나이는 고작 월령으로 말하니 그 생명이 참으로 애절할 뿐입니다. 다른 생명을 단축시켜 내 생명을 연장시키려고 하는 이런 행위들은 진리적으로 결코 타당하지 않으며, 내 수명이 단축되는 과보를 피할 수 없을 것입니다.

저는 이번 사태를 보며 원불교 교도들이 먼저 상생의 먹거리 문화를 만들어나가는데 동참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현하 인류가 겪고 있는 수많은 질병과 재난도 육식을 극복하는데서 많은 부분 해결의 실마리를 풀 수 있지 않을까 하는 희망 때문입니다. 우선 원불교 출가, 재가 교도들의 식생활이 과연 진리적으로, 종교적으로, 생태적으로 부합하는 것인지 시급히 살펴보아서, 대안을 세워야 할 것입니다. 대종사께서는 법마상전급 10계문에서 ‘연고 없이 사육을 먹지 말 것’임을 매우 구체적으로 직시하고 경계하셨습니다. 사은 사상은 물론하고, 교리상 이처럼 분명한 가르침을 내리셨으니 마땅히 이에 대한 지혜로운 실행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그렇다고 모두가 다 채식주의자가 되자는 것이 아닙니다. 채식을 온전히 실천하면 더 좋겠지만, 다만 우리 인간과 아주 근친(近親)한 사육(四肉)을 먹을 때에는 그 생명의 가치를 생각하며 ‘존절히’ 해야 할 것이며, 매우 ‘귀한’ 섭생이 되어야 함을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육식이든 채식이든 가리지 않고 수용하는 것을 걸림 없는 도인의 모습으로 여겨 ‘무애행’을 하는 것은 도무지 대종사의 본의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부디, 인간이 먹기 위해서 비참하게 길러졌다가 죽임을 당하는 생명들을 더욱 애민히 생각하시어, 지혜롭게 육식 문화를 극복해주시기를 기원합니다. 한 사람의 채식이 1,200평의 숲을 살립니다. 밝게 헤아려주십시오.

<원경고등학교>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