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설위원 칼럼

▲ 류경주 교무/교정원 기획실장
학창시절, 교당에 가는 재미가 있었다. 많은 청소년들이 똑같은 즐거움으로 내왕하진 않았겠지만 교당은 두 가지 즐거움이 있는 공간이었다. 하나는 배움이고, 둘은 나눔이었다. 학교 밖의 청소년 문화가 부족했던 그 때의 교당은 젊은이의 문화를 배울 수 있었고, 교과서 밖의 세상에 대한 탐구의 장이었다.

많은 시간이 흘러, 교화대불공을 중요정책으로 추진한 지도 여러 해가 지났다. 교화성장을 위해 대불공이 어떤 의미로 시작되어야 하는지를 살펴야 한다. 무엇보다 교화와 불공이 개인의 문제로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조직에도 반영되어야 미래가치를 창조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교화와 불공의 시작점을 되돌아봐야 한다.

교화는 상식이다. 교화자로서의 교화는 상식을 벗어나지 말아야 한다. 그 기준을 "소소한 일이라도 먼저 몸으로써 성의껏 시범하여…"라고 정산종사는 밝혔다. 중요한 것은 '성의껏'이다. 개인의 체험과 앎의 정도에 차이가 있으므로 시범하는 데에도 차이가 생길 수밖에 없다. 중요한 것은 얼마나 성의를 다 하느냐는 것이다. 조직에 있어서도 개인의 역량과 헌신이 헛되지 않도록 조직관리에 있어서 성의를 다하고 있다는 신호를 구성원들에게 지속적으로 보내야 한다.

교화는 교화자의 헌신 없이는 성장할 수 없으므로 조직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교화자가 상식을 벗어나지 않으려면 자기불공에 소홀해서는 안 된다. 교화자로서 자기불공은 실지로 느끼고 체험하여 신념이 우러나는 것이다. 내 삶에 대한 진지한 체험과 신념을 키워가는 자기불공이 있어야 하고, 조직은 합리적인 원칙과 제도의 공감경영이 되고 있다는 신념이 보편화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교화는 데이터(data)다. 요즘은 빅데이터(big data)의 시대다. 수많은 정보 속에서 살아가지만 그 정보를 데이터화해서 내게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도록 가공하는 것에 소홀하지 말자.

교화대상자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와 변화하는 정보를 수시로 수집해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교화에 종사하는 사람은 "진실한 정성으로 질병, 재난, 애경 등에 그 인사를 잃지 말라"고 했다.

교화 대상자에 대한 정보관리를 최적화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은 조직이 할 수 있는 교화다. 구성원들이 수집한 정보가 유용한 자료로 가공될 수 있는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제공해 줘야 현장과 조직이 동반성장 할 수 있다.

교화는 나눔이다. 종교의 신앙과 수행이 개인의 영적 성장에만 머물러 있다면 종교 본연의 자세는 아니다. 내적으로 성숙된 영적인 성장과 그 교법으로 사회적 역할을 하는 것이 나눔 실천이다.

교화자는 교도들의 신앙심이 이웃과 사회를 통해 구현되는 나눔을 실천할 수 있도록 안내해야 한다. 그래서 그 나눔을 통해 신앙의 새로운 가치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조직은 제도와 정책 지원을 통해 교법이 사회화 될 수 있는 나눔 실천의 구조를 개선하고 창조해 가야 그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상식을 지키고 정보를 구조화하여 나눔을 실천하는 것이 교화라면 불공은 무엇일까?

불공은 비움이다. 끊임없이 비워가는 것이다. 아상과 욕심으로 채워져 가는 나를 비워 내는 것이다. 불공에 '나'가 있다면 진정한 불공은 안 된다. 상대가 감화를 받으려면 나를 내려놓아야 한다. 조직에 있어서도 털어내야 할 것이 있다면 과감히 털어야 새로움을 담을 수 있다. 옛 제도에 사로잡히거나 관습에 묶여 조직의 유연성을 떨어뜨린다면 구성원에 대한 조직 불공은 안 되는 것이다.

둘째는 키움이다. 나를 드러내는 것이 아닌 상대를 드러내고 세우는 것이며, 잃어버린 불성을 회복하고 치유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 불공이다. 상대의 능하고 장한 점을 높이 세우고 키워서 활용될 수 있도록 봉사하며, 구성원의 필요를 해결 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교단의 역량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구성원들의 치유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그들의 헌신이 헛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조직이 실천할 불공이다.

이 교법을 신앙하는 구성원 모두가 교화자이다. 재가와 출가가 각각의 영역에서 그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교정은 정책과 제도개선을 통해 동방성장의 틀을 만들어 갈 것이다. 교화의 기초를 회복하는 것이 새로운 창조보다 우선해야 함을 잊지 말고, 창립정신을 재조명하여 결복교운 교화의 핵심가치로 키워내야 할 과제 앞에 서 있다.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