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 용어

외정정은 내정정과 아울러 동정간 간단없이 공부하는 삼학병진법(<대종경>수행품9)이다.

소태산 대종사는 사람이 육근을 움직이는 때(動)와 움직이지 않는 때(靜)가 있음을 밝히고, 그에 따라 동할 때 공부법과 정할 때 공부법이 있음(<대종경>수행품19)을 제자들에게 세밀하게 가르쳤다.

육근을 사용하고 움직일 때를 주체삼아 공부하는 외정정을 소태산은 "동하는 경계를 당할 때에 반드시 대의를 세우고 취사를 먼저 하여 망녕되고 번거한 일을 짓지 아니하는 것으로 정신을 요란하게 하는 마(魔)의 근원을 없이하는 것(<대종경>수행품19)이다"라고 했다.

이는 소태산이 '공부인이 동하고 정하는 두 사이에 수양력 얻는 빠른 방법'에서 밝힌 "모든 일을 작용할 때에 나의 정신을 시끄럽게 하고 정신을 빼앗아 갈 일을 짓지 말며 또는 그와 같은 경계를 멀리할 것이요, 둘째는 모든 사물을 접응할 때에 애착 탐착을 두지 말며 항상 담담한 맛을 길들일 것이요, 셋째는 이 일을 할 때에 저 일에 끌리지 말고 저 일을 할 때에 이 일에 끌리지 말아서 오직 그 일 그 일에 일심만 얻도록 할 것이요"(<대종경>수행품2장)를 떠올리게 한다. '정신을 요란하게 하는 마의 근원을 없이 하는 것'이 목적인 외정정의 특성상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반드시 대의를 세우고 취사를 먼저하여' 부분에서는 서원, 계문, 솔성요론 등을 중심으로 한 "정의인 줄 알거든 크고 작은 일을 막론하고 죽기로써 실행할 것이요, 불의인줄 알거든 크고 작은 일을 막론하고 죽기로써 하지 않을 것이요"와 연결돼 구체적인 실천의미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